|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50(10); 200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7;50(10): 860-868.
Development of Web-Based Digital Air-Conduction Pure Tone Audiometer with Automated Masking.
Dong Hoon Lee, Kyong Myong Chon, Il Woo Lee, Yun Sung Ro, Jin Dong Kim, Soo Keun Kong, Sung Soo Park, Soo Geun Wang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School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chonkm@pusan.ac.kr
2Ro Yun Sung ENT Clinic, Namyangju, Korea.
자동차폐가 가능한 웹 기반하 디지털 기도순음청력검사기기의 개발
이동훈1 · 전경명1 · 이일우1 · 노윤성2 · 김진동1 · 공수근1 · 박성수1 · 왕수건1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비인후과학교실1;노윤성 이비인후과의원2;
주제어: 청력검사자동차폐.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Recently, internet-based applications of medicine are in the process of rapid development, where concepts of telemedicine and multimedia are important in these application. Hearing test is one of the essential procedures in the otologic field, especially in telediagnosis. A current study for tele-hearing test has some limitations in masking problems or making fully automated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gital air-conduction pure tone audiometer with automated making, which can be used through web-based or off-line to compare the threshold of hearing using conventional and digitalized audiometer in both normal and handicapped hearer.
SUBJECTS AND METHOD:
To develop an automated audiometer system, we prepared a test scenario data file according to the pure tone test procedure. This scenario was executed in the audiometer main, which is supported by sound card and keyboard (mouse) for output and feedback, respectively, for the examinee. Pure tone for test and white band noise for masking is generated in audiometer sound generation block. To compare this automated audiometer with the conventional one, 25 normal hearers (50 ears) and 25 handicapped hearers (50 ears) were tested.
RESULTS:
Easy Audiometer 1.0 was developed. The difference of hearing threshold between the two different system was 3-6 dB in the normal hearer group and 2.5-3.5 dB in the handicapped hearer group. Scatter plots show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different systems.
CONCLUSION:
Easy Audiometer 1.0 showed reliable results of hearing threshold in the patient with unilateral hearing who needs masking procedure. Screening and basic hearing tests may be conducted through this Easy Audiometer 1.0 and it could play a part in telediagnosis in the otologic field.
Keywords: Hearing testAutomated masking

교신저자:전경명, 602-739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1가 10번지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비인후과학교실
교신저자:전화:(051) 240-7330 · 전송:(051) 246-8668 · E-mail:chonkm@pusan.ac.kr

서     론


  
최근 4
~5년간의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획기적인 발달은 인간생활의 모든 방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한 각종 정보교환 및 상거래 등의 발전은 생활의 모든 분야가 가상공간에서 구현될 수 있는 획기적인 시대의 도래를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1,2)
   의료분야에서도 원격진료라는 개념이 도입되어 주로 의료상담, 예약, 진료에 대한 정보교환 및 교육에 이용되고 있다.3,4,5) 즉 웹 기반하의 가상공간이 진료실의 일부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앞으로 이러한 원격진료는 현재보다 더 광범위한 분야로 확대되어 나갈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비인후과 영역에서는 Mackersie 등,6) Mason,7) Kavanagh,8) Henry 등9)이 각각 어음청력검사, 청성뇌간반응검사, 노인성난청, 이명검사 등에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웹 기반하에서 검사를 시행하여 이과 영역의 청력검사에서도 웹을 기반으로 한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앞으로도 이러한 시도는 계속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과 영역의 진단에 핵심적인 순음청력검사에 대한 연구는 2001년부터 Givens와 Elavgovan10,11)이 그 실현 가능성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이러한 개념으로 웹 환경 하에서 모든 사람이 손쉽게 청력검사를 받을 수 있다면 가상공간에서의 완벽한 의료 환경 구현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디지털화되거나 웹 기반으로 시행이 가능한 청력검사에 대한 연구는 보청기 전문회사인 D사가 개발하여 홈페이지상에서 회원으로 가입된 사람만 접근할 수 있는 "on-line pure tone audio-test"라는 프로그램이 있고,12) 영국에서는 Home Audiometer v 1.9 Hearing Test Software가 개발되어 웹 기반하에서 다운로드받아 가정에서 청력검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13) 국내의 E사에서는 AMA-PTA라는 시스템을 노트북 컴퓨터에 탑재하여 시판 중에 있는데 이는 웹 기반 하에서의 작동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14)
   양측이의 청력이 현저히 다른 일측성 난청 환자의 청력검사 시, 두 귀의 청력차이가 일정 강도 이상(이간감쇄)으로 날 때 난청이(耳)의 청력검사 시 반대측 귀가 검사음에 반응하는 것을 교차청취(cross hearing)라고 하는데, 이러한 교차청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대측 귀에 일정음을 주어 차폐(masking)를 시행하여야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15) 그러나 이제까지 개발되거나 활용 중인 기기들은 이러한 차폐(masking)를 할 수 없어 청력검사 결과를 임상에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국내외적으로 이렇게 개발된 검사기기를 통한 실제 청력검사는 정상 청력자에서만 실시하여, 실제 난청 환자에서 검사를 시행하고 기존의 검사기기에 의한 결과와 비교, 분석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임상에서 신뢰할 수 있는 청력검사 결과를 얻기 위해 자동차폐가 가능하도록 프로그램화된 웹 기반하 디지털 기도순음청력검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정상 청력자와 난청자의 청력을 이 프로그램을 통해 검사하여 기존의 순음청력검사기기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실제 임상에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자동차폐가 가능한 공기전도 순음청력검사기기의 개발
  
개발된 디지털 순음청력검사기기는 청력검사 웹 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개인 컴퓨터상에서 실행된다(Fig. 1). 순음청력검사기기의 구성은 기능상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 청력검사 web server 연동부로서 피검자가 프로그램에 로그인(login)하고 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부분이다. 둘째, 음 생성부(sound generator)는 검사에 필요한 검사음(test tone;pure tone)과 차폐에 필요한 차폐음(masking sound;narrow band noise wave)을 생성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청력검사 실행부는 생성된 검사음이 실행되어 피검자가 헤드폰을 통해 음을 입력받고 마우스 혹은 키보드를 통해 반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Fig. 2). 
   웹 기반하 디지털 기도 순음청력검사는 다음의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1) 사용자는 청력검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을 한다.
   2) 기도청력검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
   3) 기도청력검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4) 기도순음청력검사를 실시한다. 
   5) 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된 data를 홈페이지로부터 받아 분석한 후 종합적인 검사소견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음 생성 방법
  
순음생성을 위한 주요 파라메타는 주파수, 샘플링 속도, dB(데시벨)과 play time(sec)의 네가지이며 파라미터 값이 결정되면 순음생성을 위한 다음의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1) 1 decibel=20×log(amplitude ratio) 식에 의거하여 amplitude를 계산한다.
   2) Sample rate×play time=sample count를 구한다.
   3) Scale=(2.0×frequency)/sample rate를 이용하여 Scale값을 구한다.
   4) Sample count 만큼 반복하고 wave table[count]=(short)(amplitude×sin(count×scale))를 이용하여 순음을 생성한다.
   차폐를 위한 음 생성도 순음 생성을 위한 파라미터와 같은 파라미터 및 방법으로 협대백색소음(narrow band white noise)을 생성한다.
   본 프로그램은 16 bit PCM을 생성하므로 생성할 수 있는 최대 dB은 약 90 dB이다. 향후 24 bit 샘플을 지원한다면 약 130 dB의 순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8000 Hz 주파수의 음을 생성하기 위해 최소 22050 Sample rate로 순음과 차폐음을 생성하였다(Table 1).

검사방법
  
검사는 우선 잘 들리는 귀를 선택하여 검사를 시작하고 난청이 있는 귀를 이후에 검사하여 양측귀의 청력역치가 이간감쇄율에 해당하는 35
~50 dB 이상 차이가 나면 차폐를 시행하게 된다.15) 이간감쇄율 이내의 차이일 경우 차폐 없이 청력소실 여부를 결정하고 결과를 저장하고 보고하는 과정으로 되어 있다(Fig. 3).
   순음검사의 순서는 우선 1000 Hz에서 검사를 시작하며 반응의 유무에 따라 5 dB씩 검사음을 증감하도록 설정하였다. 1000 Hz 검사가 끝나면 2000, 3000, 4000, 8000 Hz의 순으로 고음역의 검사를 시행하고, 다시 1000 Hz 검사를 하여 이전의 1000 Hz 역치와 10 dB 이상의 차이가 나면 1000 Hz를 다시 검사하는 과정을 거치고, 차이가 10 dB 미만일 경우 500, 250, 125 Hz의 저음역 검사를 하는 과정을 거친다(Fig. 3). 
   차폐방법은 각 주파수별로 양측귀의 차이가 이간감쇄(interaural attenuation, IA)(Table 2) 이상일 경우 실시되는데15) 최초 차폐음은 반대측 귀(잘 들리는 귀)의 청력역치보다 10 dB 강한 음으로 차폐하여 반응여부를 확인한다. 반응이 있으면 차폐음을 5 dB 높여 다시 검사하는 수평법(plateau method)에 근거하여 3번째까지 반응이 있으면 이때의 검사치를 청력역치로 결정하게 된다(알고리듬 1). 최초 차폐음에서 반응이 없는 경우는 검사음을 5 dB씩 높여 검사를 진행한다(알고리듬 2). 높인 검사음에 반응이 있으면 이번에는 다시 차폐음을 5 dB 높이는 알고리듬 1로 검사가 진행된다. 높여진 검사음이 이간감쇄율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 경우 최초 차폐음을 다시 10 dB 높여 알고리듬 1 혹은 알고리듬 2로 검사를 한다(Fig. 4).

기존 청력검사기기와 자동차폐 공기전도 순음청력검사기기의 청력역치 비교
  
개발된 디지털 순음청력검사기기의 청력역치와 기존 순음청력검사기기의 청력역치 비교를 위하여 정상 청력자 25명(50귀)과 난청자 25명(50귀)을 대상으로 두 가지 기기를 이용하여 청력검사를 시행하였다. 정상 청력자는 남자 13명, 여자 12명으로 구성되었고, 나이는 22세에서 38세까지로 평균 28.7세였다. 난청자는 남자 14명, 여자 11명으로 나이는 19세에서 65세로 평균 44.6세였다. 난청자의 진단명은 돌발성난청 13명, 만성중이염 5명, 어지럼증 4명, 기타 3명이었다.
   기존의 순음청력검사기기를 이용한 검사는 Clinical Audiometer AC 40(Interacoustics, Denmark)을 이용하여, 청각사 1명이 이중벽의 방음화된 부스에서 시행하였다. 자동차폐 기도순음청력검사기기는 본 교실과 NGC 정보기술이 공동 개발한 Easy Audiometer 1.0 모델을 사용하여 조용한 방에서 피검자가 직접 컴퓨터를 조작하여 시행하였다. 검사음은 125, 250, 500, 1000, 2000, 3000, 4000, 8000 Hz의 8개 주파수에서 시행하였다. calibration을 위하여 c-type의 filter가 부착된 Larson-davis Lab Model 800B 소음측정기(Fig. 5)에 피검자가 사용하는 헤드폰의 출력부를 측정기의 검사부에 넣어 방음상태를 만들고, 각 주파수별로 70 dB HL의 검사음을 주어 검사부내에서 측정되는 음압을 각각 측정하였다. calibration은 이비인후과 외래에 위치한 각각 다른 세 가지 사운드카드를 탑재한 세 가지 데스크탑 컴퓨터로 시행하여, 각 주파수별로 주어진 70 dB HL의 검사음과 가장 유사한 측정치를 보인 컴퓨터에서 실제검사를 시행하였다(Table 3).

결     과

자동차폐가 가능한 웹 기반하 디지털 기도순음청력검사기기의 사용결과
  
자동차폐가 가능하며 기존의 순음청력검사기기와 검사방법 및 순서가 동일한 Easy Audiometer 1.0을 개발하였다. 새로 개발된 Easy Audiometer 1.0의 사용은 시작 버튼을 눌러 피검자의 기본 정보 입력 후, 검사버튼을 누르면 최초 1000 Hz, 40 dB에서 검사가 시작된다. 피검자의 반응 유무에 따라 검사기기는 5 dB씩 자동으로 음을 증감하게 하여 기도청력검사와 차폐검사가 순서에 따라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Fig. 6). 검사 결과의 기록방법은 기존의 순음청력검사 결과지와 같은 내용으로 출력되는데, 좌우측이 각각 파랑색과 빨강색으로 구별하여 표시되며, 차폐유무에 따른 검사음의 표시방법도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이 1990년 정한 규칙에서의 기호로 출력되도록 하여 차폐유무가 표시되도록 하였다(Fig. 7). 검사결과는 웹서버에 저장되고 피검자는 이전의 자료 혹은 병원에서의 기존 청력검사기기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청력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검사는 인터넷상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피검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청각사 혹은 이비인후과 전문의사의 도움 없이 피검자가 혼자서 검사할 수 있었다.

기존 청력검사기기와 자동차폐가 가능한 웹 기반하 기도순음청력검사기기의 기도청력역치의 비교
  
정상 청력자에서 기존 순음청력검사기에 의한 기도순음청력역치는 우측 5.3±2.1 dB, 좌측 6.6±6.4 dB였고, Easy Audiometer 1.0에 의한 역치는 우측 8.4±1.7 dB, 좌측 12.6±6.3 dB로 청력역치의 차이는 우측 3.1±2.2 dB, 좌측 6.0±3.0 dB이었다(Table 3).
   난청자에서 기존 순음청력검사기에 의한 기도역치는 우측 38.6±24.5 dB, 좌측 40.1±24.9 dB이었고, Easy Audiometer 1.0에 의한 역치는 우측 41.1±19.0 dB, 좌측 43.5±23.7 dB로 청력역치의 차이는 우측 2.5±9.9 dB, 좌측 3.4± 6.7 dB이었다(Table 3). 
   두 검사기기에 의한 청력도의 모양은 주파수별로 일정한 차이를 보이며 동일한 형태를 취하여 각 주파수별 청력역치를 일정하게 반영하고 있었다(Fig. 8).
   난청자에서 기존 청력검사기기와 Easy Audiometer 1.0에 의한 청력검사 결과의 주파수별 상관계수는 우측은 125, 500, 1000, 2000, 3000, 4000, 8000 Hz에서 각각 0.92, 0.80, 0.90, 0.94, 0.92, 0.88, 0.91, 0.66이었고 좌측은 각각 0.87, 0.96, 0.93, 0.95, 0.96, 0.96, 0.94, 0.92로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Fig. 9).

고     찰

   원격진료는 원격통신(telecommunication)과 멀티미디어가 의료 전문가와 결합되어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초월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첨단시스템을 말한다.1,2,5) 원격진료의 유형은 원격의료상담(teleconsultation), 원격진단(telediagnosis), 원격교육(teleeducation)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원격진료는 의료상담이나 예약, 의료에 대한 정보습득 및 교환에 이용되고 있고, 제한된 분야이지만 시술자의 조작이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로봇에 의해 시술이 이루어지는 로봇수술(robot surgery)에 대한 연구까지 진행되고 있다.
   원격진료가 급격히 발전하고 확산되는 이유는 시간과 공간적 제한을 극복하여 보다 편리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비인후과, 특히, 이과영역에서 필수적인 검사인 청력검사에 원격진료의 개념을 도입하여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검사를 받을 수 있다면 이제까지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환자들이 손쉽게 청력검사를 받음으로서 가상공간에서의 완벽한 의료 환경 구현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Givens와 Elavgovan11)은 소위 원격 청각학(tele-audiology)의 인터넷 응용을 발표하여 45명의 정상 청력자를 대상으로 원격 검사와 기존의 검사 사이에 기도청력 1.3 dB, 골도 청력 1.2 dB의 차이를 보여 원격 검사가 실제 임상에 응용될 수 있다고 하여 순음청력검사가 인터넷상에서 충분히 구현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은 피검자가 인터넷을 통한 프로그램으로 자동검사를 받는 것이 아니고, 청력검사기와 이를 조정하는 검사자 사이에 웹서버가 존재하여 피검자는 기존의 청력검사기로 검사를 받고 이 검사기기를 원격에서 검사자가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검사자는 개인용 컴퓨터 혹은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검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검사자와 피검자 사이에 인터넷이 있어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하였지만, 피검자와 검사자가 같은 시간에 검사를 하도록 되어 있어, 본 연구에서처럼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두어 피검자가 시간적인 제약 없이 언제든지 검사를 받을 수 있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Givens와 Elavgovan의 연구에서는 검사를 모두 정상 청력자만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제 임상에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인터넷상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거나 구입하게 하여 자가측정이 가능하도록 만든 순음청력검사기기는 국내외 몇몇 회사에 의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D사에서 인터넷으로 구현되는 On-line pure tone audio-test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재 운용 중에 있다.12)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청력검사를 받는다는 점은 본 기기와 같지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만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는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실행할 수 없고 차폐검사가 되지 않아 난청이 있는 귀를 검사할 경우 반대편 귀에 의한 교차청취(cross hearing)에 의해 위청취(shadow hearing)가 있어 검사 결과를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E사의 AMA-PTA라는 청력검사 프로그램은14) 실제 휴대용 컴퓨터로 검사를 하게 하여 기존의 청력검사기기에 비하여 장점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영국의 T사에서는 Home Audiometer v 1.9 Hearing Test Software13)는 자체적인 음 생산에 의한 자동검사를 시행하지만, 검사음이 진동음(pulsating sound)으로 되어있고, 검사법은 Bekesy 청력검사법의 원리를 적용하여 출력되는 결과지도 Bekesy 청력검사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미국의 Master Provider Network는 Free Hearing Test라는 프로그램을 online상에 구현하여 500, 1000, 2000, 3000, 4000, 8000 Hz의 6개 주파수에서 검사를 받도록 해 놓았는데 주파수별, 좌우 측별음의 고저를 정확히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6개 주파수에서 같은 강도의 음만을 주어 심각한 난청의 유무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놓았다. 
   본 연구에서의 청력검사기기 개발과는 다르지만, 미국 이비인후과학회(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AAO-HNS)는 홈페이지 상에 Five Minute Hearing Test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Hearing Handicap Inventory 설문지와 유사한 15개의 설문에 답하게 하여 결과를 점수화함으로써 난청이 있을 가능성을 설문에 답한 사람에게 알려주는 방법으로 웹 환경하의 청력검사를 대체하고 있다.16) 
   독일의 보청기 전문회사인 S사에서는 홈페이지 상에 @udio-test라는 청력검사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반인들이 손쉽게 청력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17) 이 프로그램은 피검자의 헤드폰을 제일 낮은 볼륨으로 조절하게 하여 이를 프로그램상 특정 소리강도로 정하게 하는 calibration법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정상 청력자의 경우 0 dB HL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지만 난청자의 경우에는 난청 정도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의 calibration이라 적절한 방법이라고 볼 수 없다. 실제 검사에 있어서도 주파수와 음의 강도를 각각 pitch와 volume으로만 표시하였고, 3종류의 pitch와 다섯 단계의 volume으로 표시하여 상대적인 청력수준을 알 수 있게 한 것으로 각 주파수별 청력수준을 정확한 음의 강도(dB)로 표현하지는 못하고 있다. 
   미국의 New South Wales 대학은 홈 페이지상에 Equal loudness contours and audiometry-Test your own hearing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비교적 정확한 청력검사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다.18) 30 Hz에서 16000 Hz까지 19개의 주파수별로 0 dB에서 -100 dB까지 3 dB 간격으로 34단계의 음 강도를 검사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각 주파수별로 음의 강도에 따라 설정된 블록을 클릭하면 그에 해당하는 음이 헤드폰을 통해 출력이 되며, 19개 주파수의 검사를 한 후 나타나는 청력도를 Fletcher와 Munson에 의해 결정된 equal loudness 곡선19)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청력도의 모양을 파악할 수 있지만, 정확한 청력수준을 검사할 수 없고 좌우측을 구분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차폐에 의한 청력검사를 시행하지는 않고 있다.
   순음청력검사시 양측이의 청력에 차이가 있을 경우 청력이 나쁜 쪽의 높은 검사음이 두개골을 통한 골도전도를 통하여 청력이 좋은 귀에서 들리는 현상을 교차청취(cross hearing)라고 한다.15,20) 이러한 교차청취는 양이의 청력차이가 35
~50 dB 이상 차이가 나면 이루어지며 그 값은 각 주파수별로 정해져 있는데 이를 이간감쇄(interaural attenuation, IA)라고 한다. 각 주파수별 이간감쇄율은 Table 2와 같다.15,20) 즉 양이의 청력차이가 이간감쇄율 이상일 경우 청력이 나쁜 쪽의 검사는 청력이 좋은 귀가 먼저 반응하여 소위 음영청취(shadow hearing)가 일어나 정확한 검사가 될 수 없으며 이때는 청력이 좋은 귀에 잡음을 들려주어 좋은귀의 청력역치를 일시적으로 상승시켜 교차청취를 방지하는 차폐(masking)를 시행하여야 한다.15,20) 차폐음은 주로 대역잡음(narrow band noise)을 사용하며 차폐음의 강도 결정은 수평법(plateau method)을 이용하여 결정한다.15,20) 본 연구에서의 검사음과 차폐음은 소프트웨어에서 사운드모듈을 만들어 시행하여 기능을 극대화하였고, 검사시 주파수별로 양측이의 청력차이가 이간감쇄 이상일 경우 수평법에 의한 자동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램화하여 실제 청각사에 의한 검사와 동일한 방법과 상황에서 검사를 받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검사의 과정이 기존 순음청력검사의 순서 및 방법과 완전 일치하며, 양측이의 청력 차이에 따른 차폐과정을 알고리듬으로 작성하여 이간감쇄율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 일측 난청환자에서도 정확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본 연구의 특징은 첫째, 프로그램 자체에서 검사음을 생성하도록 구성하였고, 둘째, 인터넷 사용자가 간단한 마우스조작으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인터넷이 접속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였으며, 셋째, 차폐를 위한 협대잡음을 생성하여 차폐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독립적인 검사가 되도록 하였다. 
   개발된 Easy Audiometer 1.0에 의한 기도청력측정 시 측정결과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는 것이 피검자의 헤드폰 및 사운드카드의 종류라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웹 환경하에서 검사를 받는 모든 환자가 똑같은 종류의 헤드폰과 사운드카드를 사용할 때 그 신뢰성이 높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각각 다른 세 종류의 사운드카드를 사용하여 calibration을 시행하였고, 실제 주어진 음과 가장 유사한 강도의 음을 보이는 것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이는 추후 인터넷상에서 피검자에게 적절한 헤드폰 및 사운드카드의 종류를 추천하거나, 각 사운드카드 및 헤드폰별 calibration 결과치를 공지하여 실제 검사치에서 보정하여 주는 방법으로 그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Easy Audiometer 1.0은 골도청력검사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추후 웹 기반하뿐 아니라 off-line 상에서도 자동차폐가 가능한 골도검사를 개발하여 본 기기에 장착한다면, 보다 완벽한 청력검사기기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결     론

   Easy Audiometer 1.0은 청력의 선별검사 및 난청환자의 기본적인 검사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이과 영역에서의 원격진료에 많은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골도청력검사를 위한 골진동기를 본 검사기기에 적용하면 off-line 환경하에서 골도청력의 검사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Choi JW, Kim YH, Lee SG, Lee JO, Oh BH, Cho HI. A telemedicine system using B-ISDN. J Korean Soc Medical informatics 1997;3(2):141-46.

  2. Taylor P. Evaluating telemedicine systems and services. J Telemed Telecare 2005;11(4):167-77.

  3. Jang SJ, Lee YS, Chun DK. Diagnostic agreement between teleconsultation and clinic-based consultation in dermatology. Korean J Dermatol 2002;40(11):1339-45.

  4. Cha EJ, Lee TS, Hwang YI, Goo YS, Lee HM, Kim JW. Multimedia system for management and presentation of medical educational materials. Korean J Medical Education 1994;6:29-38.

  5. Kim Y, Cabral JE, Kim DL. Telemedicine and multimedia: General requirement for telemedicine systems. Korean J PACS 1995;1:29-40.

  6. Mackersie CL, Boothroyd A. Minniear D. Evaluation of the computerassisted speech perception assessment test (CASPA). J Am Acad Audiol 2001;12(8):390-6.

  7. Mason SM. On-line computer scoring of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for estimation of hearing threshold. Audiology 1984;23(3):277-96.

  8. Kavanagh KT. Evaluation of hearing handicaps and presbyacusis using world wide web-based calculators. J Am Acad Audiol 2001;12(10):497-505.

  9. Henry JA, Flick CL, Gilbert A, Ellingson RM, Fausti SA. Comparison of two computer-automated procedures for tinnitus pitch matching. J Rehabil Res Dev 2001;38(5):557-66.

  10. Givens GD, Blanarovich A, Murphy T, Simmons S, Blach D, Elangovan S. Internet-based tele-audiometry system for the assessment of hearing: A pilot study. Telemed J E Health 2003;9(4):375-8. 

  11. Givens GD, Elangovan S. Internet application to tele-audiology-"nothin' but net". Am J Audiol 2003;12(2):59-65.

  12. Hearing114.co.kr [homepage on the Internet]. Dong San Co., Ltd.: On-line pure tone audio-test. Availble from: http://hearing114.co.kr.

  13. Audiometer.co.uk [homepage on the Internet]. Timo Esser: Home audiometer 1.9 Hearing test software. Availble from: http//www.audiometer.co.uk

  14. Earlogic.com [homepage on the Internet]. Earlogic Corporation. AMA-PTA. Availble from: http://earlogic.com.

  15. Katz J, Lezynski J. Clinical Masking. In: Katz J, editor. Handbook of Clinical Audiology. 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2002. p.124-41.

  16. Entnet.org [homepage on the Internet]. AAO-HNSF. Five Minute Hearing Test. Availble from: http://www.entnet.org/healthinfo/hearing/hearing_test.cfm

  17. Hearing-siemens.com [homepage on the Internet]. Siemens. @udiotest. Availble from: http://www.hearing-siemens.com

  18. Phys.unsw.edu.au [homepage on the Internet]. New South Wales University. Equal loudness and hearing- Test your own hearing. Availble from: http://www.phys.unsw.edu.au/ ~jw/hearing.html

  19. Fletcher H, Munson WA. Loudness, its definition, measurement and calculation. J Acoust Soc Am 1933;5:82-108. 

  20. Harrell RW. Puretone evaluation. In: Katz J, editor. Handbook of Clinical Audiology. 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 p.71-87.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852
View
17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