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50(3); 200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7;50(3): 265-267.
A Case of Trichofolliculoma in the Nasal Vestibule.
See Young Park, Wee Jong Han, Ki Jun Kim, Kyung Kook Noh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Ilsan Paik Hospital, Goyang, Korea. aineias1@nate.com
2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Seoul Paik Hospital, Seoul, Korea.
비전정에 발생한 모낭종(Trichofolliculoma) 1예
박시영1 · 한위종1 · 김기준2 · 노경국2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1;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2;
주제어: 모낭종비전정.
ABSTRACT
Trichofolliculoma is a rare skin lesion. It is an adnexal tumor of hair follicles, which was first described by Miescher. Trichofolliculoma is a hamartomatous lesion of hair follicle origin, intermediate in differentiation between a hair follicle nevus and trichoepithelioma as classified by Kligman and Pinkus. It usually manifests clinically as a small, slowly growing, well-demarcated, flesh-colored papule on head and neck. The diagnosis is difficult clinically and is based mainly on histopatholigic appearance. It is commonly misdiagnosed as sebaceous cyst, nevus, and basal cell carcinoma. Treatment is by simple excision and recurrence is rare. We report a case of trichofolliculoma of nasal vestibul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Keywords: TrichofolliculomaVestibule of nose

교신저자:박시영, 411-706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2240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교신저자:전화:(031) 910-7250 · 전송:(031) 910-7747 · E-mail:aineias1@nate.com

서     론


  
모낭에서 기원하는 종양에는 모낭종, 모낭 상피종, 모기질종, 증식성 모낭 종양 등이 있으며 이중 모낭종(Trichofolliculoma)은 모피지선 단위의 비교적 잘 분화된 드문 피부 부속기 종양으로 1944년 Miescher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으며,1,2,3) 1960년 Kligman과 Pinkus는 모낭에서 기원하는 종양의 한 종류로 분류하였다.4,5) Lever는 성인에서 발생하는 단단한 결절(solitary nodule)로 나타나는 양성종양으로 안면에서 발견되나 때때로 두피와 경부에서도 발견된다고 하였다.6) 비전정에서는 보고된 바 없고 안검의 경우 0.1% 이내로 발견될 정도로 위치에 따라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된다.7) 종양은 반구형의 5 mm 정도의 피부색으로 중앙에 분화구 모양의 함몰이 있으며 여기에서 흰 양털 같은 미성숙 모의 다발을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단발성이고 어느 나이에나 발생할 수 있으나 보통 중년의 나이에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는 외과적 적출술이며 재발률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5,6,7,8,9,10,11,12)
   최근 저자들은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비내 모낭종(Intranasal trichofolliculoma)이 보고된 것 이외에8)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 없는 비전정내 모낭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52세 여자환자로 내원 약 4개월 전에 우연히 발견한 우측 비전정 종물을 주소로 본원 외래를 방문하였으며, 과거력, 가족력 및 사회력상 특이소견은 없었다. 신체검사상 우측 비전정에 부착된 흰색의 매끄러운 표면을 지닌 0.5 cm 크기의 연성 종물이외에(Fig. 1) 전신 소견은 양호하였으며, 다른 피부 병변이나 혈액학적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종물의 성상은 둥근 형태의 피부색과 동일한 양상으로 우측 비전정 외측에 부착되어 있었으며, 중앙에 분화구 모양의 함몰이 관찰되었다. 종물로 인한 압통이나 종물 자체의 압통은 관찰되지 않았다. 병변의 확진과 치료를 위한 조직검사 및 단순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국소마취하에 시행하였으며 종물은 우측 비전정 외측에 부착되어 있어 적출이 용이하였고, 주변조직과 유착된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적출된 종물의 육안적 소견은 피부색으로 경계가 뚜렷한 둥근 형태로 크기는 0.5×0.5 cm였다. 조직학적으로 하나의 낭종성 모낭 즉 일차 모낭과 그 주위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다수의 이차 모낭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피지선 세포의 작은 군집을 볼 수 있었다(Figs. 2 and 3). 수술 후 특이한 합병증은 없었으며 3개월까지의 추적관찰에서 재발 소견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

고     찰

   모낭종(trichofolliculoma)은 성인의 얼굴, 두피, 목 같은 두경부에 단발성으로 나타나는 드문 양성 종양으로 1944년 Miescher가 모낭종으로 보고한 이래1,2,3) 1957년 Hyman과 Clayman은 모낭모반(hair follicle nevus)으로15) 1960년 Kligman과 Pinkus는 여포종(folliculoma)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보고하였다.1,2,4) 그 후 1962년 Gray와 Helwig는 모낭종이라는 명칭을 다시 사용하여 임상적 조직학적 특징을 기술하였다.9) 종양의 양상은 반구형의 5 mm 정도의 피부색의 단단한 결절로 안면이나 두피에 나타난다. 이 결절은 때때로 기저세포암처럼 중앙에 분화구 모양의 함몰이 있는데 이러한 특징없는 육안적 소견은 피지선종에서 기저세포암에 이르는 다양한 임상소견에서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조직학적으로 이들을 감별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9,10) 모낭종의 경우 흰 양털 같은 미성숙 모(hair)의 다발을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11) 대개 단발성이고 어느 나이에나 발생할 수 있으나 Gray 등에 의하면 18내지 49세의 연령층에서 호발하고 남녀비는 남자가 84%로 더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2,9,12) 그러나 국내에서는 적은 예였지만 남녀 성비가 동일하였으며 발생 부위는 견갑부에 발생한 1예를 제외한 전예가 안면부에서 발생하였다.2)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하나 또는 수개의 큰 낭종성 모낭 즉 일차 모낭과 그 주위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다수의 작은 이차 모낭으로 구성된다. 일차 모낭의 큰 낭종성 공간은 중심 개구 부분에서 표면 표피와 연결되어 있다. 잘 발달된 이차 모낭은 보통 모발을 포함한 모낭의 전층을 보이며 피지선 세포의 작은 군집을 이차 모낭의 벽에서 볼 수 있다. 성숙된 모낭의 외모근초에서와 같이 많은 양의 글리코겐을 이차 모낭의 외측 초에서 발견할 수 있다. 임상적으로 진단 내리기 쉽지 않으며 종양적출후 병리조직학적 소견에 의해서 진단할 수 있다. 감별진단으로 기저 세포암, 폐쇄성 면포, 표피낭종, 피지선종 그리고 모초 극세포종 등이 있다. 치료는 대부분의 경우 절제 생검 같은 단순 절제로 하며 재발은 드물지만5,6,7,8,9,10,11,12,13) 종양세포에 의해 신경주위가 침습된 사례도 보고 되었으므로 수술후 조직검사결과를 반드시 확인하고 침습이 확인된 경우 광범위 절제나 방사선치료를 고려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14)


REFERENCES

  1. Kim CW, Kim KJ, Lee ES. Trichofolliculoma. Korean J Dermatol 1986;24(4):544-6.

  2. Kim KM, Ko JK, Lee AH, Kang CS, Kim BK, Kang SJ. Trichofolliculoma in Korean Patients. Korean J Pathol 2000;34(11): 957-60.

  3. Miescher G. Trichofolliculoma. Dermatologica 1944;89:193-4.

  4. Kligman AM, Pinkus H. The histogenesis of nevoid tumors of the skin. Arch Dermatol 1960;81:922-30.

  5. Srivastava RN, Ajwani KD. Trichofolliculoma. Ear Nose Throat J 1979;58(4):159-60.

  6. Lever WF, Schaumburg-Lever G. Tumors of the epidermal appendages. In: Int. Histopathology of the skin. 7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1990. p.578-641.

  7. Taniguchi S, Hamada T. Trichofolliculoma of the eyelid. Eye 1996;10(Pt 6):751-2.

  8. Arias Palomo MD, Gutierrez Ortega MC, Hasson Nisis A, Martin Moreno L, Requena Caballero L, Barat Cascante A. A. Intranasal trichofolliculoma. Med Cutan Ibero Lat Am 1990;18(3):159-61.

  9. Gray HR, Helwig EB. Epithelioma adenoides cysticum and solitary trichoepithelioma. Arch Dermatol 1963;87:102-14.

  10. O'Mahony JJ. Tirchofolliculoma of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J Laryngol Otol 1981;95(6):623-5.

  11. Steffen C, Leaming DV. Trichofolliculoma of the upper eyelid. Cutis 1982;30(3):343-5.

  12. Mizutani H, Senga K, Ueda M. Trichofolliculoma of the upper lip: Report of a case.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9;28(2):135-6.

  13. Morton AD, Nelson CC, Headington JT, Elner VM. Recurrent trichofolliculoma of the upper eyelid margin. Ophthal Plast Reconstr Surg 1997;13(4):287-8.

  14. Stern JB, Stout DA. Trichofolliculoma showing perineural invasion. Trichofolliculocarcinoma? Arch Dermatol 1979;115(8):1003-4.

  15. Hyman AB, Clayman SJ. Hair-follicle nevus: Report of a case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this lesion and some related conditions. AMA Arch Derm 1957;75(5):678-84.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