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7(9); 2004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4;47(9): 920-922.
A Case of Collision Tumor: Bronchogenic Squamous Cell Carcinoma in Cervical Hodgkin Disease.
Ji Yong Jeong, Jeong Su Woo, Kwang Yoon Jung, In Sun Kim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kyjung@kumc.or.kr
2Department of Path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경부 호지킨병에 발생한 기관지 편평세포암종의 복합암 1예
정지용1 · 우정수1 · 정광윤1 · 김인선2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1;병리학교실2;
주제어: 복합암악성 림프종폐기관지편평세포암종.
ABSTRACT
In the head and neck fields, collision tumor is very rare, especially in the cervical lymph node. Clinical and pathological findings are reported concerning a 56-year-old woman with Hodgkin disease and metastatic bronchogenic squamous cell carcionma within the right supraclavicular lymph node. The primary site of squamous cell carcinoma was diagnosed by transbronchial lung biopsy. Each component retains its own biologic characteristics, so the most suitable treatment must be determined on a case-by-case.
Keywords: Lymphatic metastasisHodgkin diseaseSquamous cell carcinoma

교신저자:정광윤, 136-705 서울 성북구 안암동 5가 126-1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전화:(02) 920-5536 · 전송:(02) 925-5233 · E-mail:kyjung@kumc.or.kr

서     론


  
복합암은 서로 다른 부분에서 발생한 종양이 림프절 등에서 동시에 발견된 경우를 말한다.1) 두경부 영역에서는 매우 희귀하며 치료 및 예후에 대한 보고가 없다. 정확한 형성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 유전적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었다.2) 저자들은 경부 호지킨병에 전이한 기관지 편평세포암종 1예를 경험 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56세 여자가 내원 4개월 전부터 서서히 커지는 우측 측경부 및 우측 쇄골 상부의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20년간 하루 반 갑씩의 흡연력이 있으나 가족력 및 사회력상 특이사항은 없었다. 이학적 소견상 우측 경정맥 중간부 영역에 약 1×0.5 cm 크기의 종물 및 우측 쇄골 상부에 약 4×2 cm 크기의 주변 조직과 유착을 보이지 않는 비압통성 종괴가 촉진되었다. 세침흡입세포 검사에서는 특이한 소견이 없었다. 경부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상 우측 경부 제 2 구역 하부 및 제 3 구역에서 주변부 음영 증강을 보이는 다발성 종괴와 우측 쇄골 상부 및 상부 종격동에서 고 음영을 보이는 종괴가 발견되었고 주변부로의 침윤 소견은 없었다(Fig. 1). 악성 종양을 의심하여 전신 마취하에 절제생검을 시행하였다. 우측 쇄골 상부에서 절제된 림프절에서 광학현미경상 미만성 비전형 세포들의 침윤과 그 내부의 리드-스텐베르그 세포(Reed-Sternberg cell)가 관찰되었고, 같은 종양 병소에서 편평세포암종의 소견도 함께 관찰할 수 있었다(Figs. 2, 3A and 4A). 면역조직화학검사에서 편평세포암종의 종양세포에서는 cytokeratin에 양성을 보였고(Fig. 3B) 리드-스텐베르그 세포에서는 CD15, CD30에 양성 양성발현을 보였다(Fig. 4B and C). 측경부 림프절에서는 호지킨병만 있었다. 혈액도말검사, 골수생검, 복부 및 골반 전산화단층촬영상 특이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갈륨스캔상 우측 기관주변 림프절 및 종격동 림프절에서 섭취증가 소견을 보이고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도 같은 부위의 림프병증 소견을 보였다. 산부인과적 검사 및 위내시경검사상 특이 소견이 없었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좌측폐 설분절의 기관지 내경 감소 소견이 있어 경기관지폐생검을 시행하여 편평세포암종으로 진단되어 경부 림프절에 전이된 편평세포암종은 폐에서 원발한 것으로 판단하였다(Fig. 5). 항암화학요법(Cyclophosphamide, Vinblastine, Procarbazine, Alkyloxan)을 3회 실시하고 경부 및 폐부에 대한 방사선치료를 2160 cGy까지 시행했으나 본인의 치료 거부로 중단되었다. 현재 경부 병변은 완전 관해 되었으나 우측 종격동 림프병증은 변화없으며 폐병변은 진행된 상태다.

고     찰

   서로 다른 부위에서 발생한 두 가지 악성 종양이 국소부위에 공존할 경우 복합암(collision tumor), 이상성분화(biphasic differentiation), 혼성암(hybrid tumor)으로 분류할 수 있다.1)3) 복합암은 서로 다른 부위에서 발생한 두 종류의 악성 종양이 한 장기에서 만나 서로 침범하는 경우를 말한다. 위 분문부, 직장, 폐, 간, 방광 등에 발생된 예가 보고되었고 선암종과 육종 또는 악성 림프종의 복합된 예가 대부분이다.1) 두경부 영역에서는 매우 드물며 갑상선, 구강, 상기도, 전두동 등에서 보고되었다.4)5) 경부 복합암의 경우 경부 호지킨병으로 전이한 유방암 및 성문하 편평세포암종과 갑상선 유두상선암이 복합된 예가 보고 되었다.4)6) 복합암의 형성 기전으로 단일 림프절내로 두 가지 암종이 이중 착상(double intranodal setting)될 가능성 및 한 암종이 다른 암종의 수용체 역할을 할 가능성이 제시되었다.7) 본 증례의 경우 경부 호지킨병이 폐로부터 전이한 편평세포암종에 대해 수용체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진단은 임상적 혹은 방사선학적으로 특징적 소견이 없기 때문에 어려울 수 있다. 각 암종의 확진과 감별을 위해 광학현미경적 검사 및 면역조직화학검사가 필요하다. 이미 진단된 원발암이 있는 환자에서 림프병증이 발생할 경우 림프절 전이로 오인하여 검사를 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실제 경부 복합 림프전이암의 발생률은 문헌 보고보다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비전형적인 위치에 림프병증이 동반될 경우 반드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며 특히 악성 림프종의 병기가 높을 경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6)8)
   치료는 각 암종의 생물학적 특징에 따라야 한다.9) 본 증례에서 호지킨병에 대해서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폐기관지 편평세포암종은 병기 IIIB(T4N3M0)로서 방사선치료를 선택하였다. 본 증례는 매우 드문 예로 예후에 대한 보고는 없지만 두 암 중 예후가 나쁜 암의 예후에 따를 것으로 사료된다. 호지킨병은 병기가 예후에 가장 중요한 인자이며 I, II기의 경우 5년 생존률이 90% 이상이다.10) 폐기관지편평세포암종의 경우 병기 IIB에서 5년 생존률이 3%이다.11)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폐암의 예후를 따를 것으로 추측된다.


REFERENCES

  1. Seifert G, Donath K. Multiple tumors of the salivary glands- terminology and nomenclature. Eur J Cancer B Oral Oncol 1996;32B:3-7.

  2. Henne T, Schmahl D. Occurrence of second primary malignancies in man-a second look. Cancer Treat Rev 1985;12:77-94.

  3. Spagnolo DV, Heenan PJ. Collision carcinoma at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Report of two cases. Cancer 1980;46:2702-8.

  4. Baloch ZW, Mandel S, LiVolsi VA. Combined tall cell carinoma and Hurthle cell carcinoma (collision tumor) of the thyroid. Arch Pathol Lab Med 2001;125:541-3.

  5. Sirsat MV, Shrikhande SS. Collision tumor in the oral cavity (a report of 2 cases). Indian J Pathol Bacteriol 1966;9:340-3.

  6. Allal AS, Weintraub J, Remadi S, Abele R. Concurrent interfollicular Hodgkin's disease and metastaitc breast carcinoma in lymph nodes. Pathol Int 1996;46:787-90.

  7. Lee SH, Jung KY, Choi JO, Yoon SA, Won NH. Collision carcinoma in a metastatic neck node. Korean J Otolaryngol 1992;35:410-3.

  8. Ng WK, Lam KY, Chan AC, Kwong YL. Collision tumor of oesophagus: A challenge for histological diagnosis. J Clin Pathol 1996;49:524-6.

  9. Kawashima O, Sakata S, Kamiyoshihara M, Maeshima A, Ishikawa S, Morishita Y. Primary pulmonary collision tumor including squamous cell carcinoma and T-cell lymphoma. Lung Cancer 1999;23:67-70.

  10. Urba WJ, Longo DL. Hodgkin's disease. N Engl J Med 1992;326:678-87.

  11.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unresectable nonsmall-cell lung cancer. Adopted on May 16, 1997 by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J Clin Oncol 1997;15:2996-3018.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