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7(7); 2004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4;47(7): 700-703.
Aesthetic Correction Using an Auricular Conchal Cartilage Graft and LASER for Nostril and Vestibular Stenosis.
Min Jung Kim, Cheol Young Choi, Chong Ae Kim, Jin Bok Park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Wallace Memorial Baptist Hospital, Busan, Korea.
이개연골 이식술과 LASER를 이용한 외비공 협착증의 교정 1예
김민정 · 최철영 · 김종애 · 박진복
왈레스 기념 부산침례병원 이비인후과
주제어: 외비공 및 비전정부 협착증코성형수술.
ABSTRACT
Stenosis of the nostril is a rare deformity. The most common etiology is trauma. Iatrogenic trauma is a significant contributor; examples being prolonged nasal packing under tension, chemical cauterization, or other nasal procedures. Other causative factors include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infections. This deformity is considered a challenging problem because of frequent relapses and unsatisfactory corrections. The standard technique by which this deformity is reconstructed is by excision of the cicatrical stenosis and insertion of a split-thickness skin autograft over a mold. This technique will enlarge the nostril but will not correct the narrowing of the vestibular stenosis and nasal valve area. So, nasal obstruction symptoms remain. This paper describes a case of nostril and vestibular stenosis in a 58-year-old woman that was corrected successfully in a single stage. In this paper, not only nostril but also vestibular stenosis and nasal valve area narrowing were properly reconstructed by using an auricular conchal cartilage graft, LASER excision, and a nostril stent. The following is a report on this research.
Keywords: Nostril and vestibular stenosisRhinoplasty

교신저자:박진복, 601-836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 374-75  왈레스 기념 부산침례병원 이비인후과
              전화:(051) 580-1344 · 전송:(051) 514-2864 · E-mail:nogarybeer@lycos.co.kr
현근무지:박진복(박진복 이비인후과)

서     론


  
외비공 협착증은 매우 드문 기형으로 그 원인은 크게 선천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원인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1) 대부분의 경우 후천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며 외상, 감염, 의인성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1) 의인성 원인으로는 종양의 절제나 전기소작술 이후 발생가능하며, 비출혈의 화학적 소작술 이후, 코성형수술 이후, 과도한 장력하에 오랜 기간 동안 비공팩킹을 한 경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1)
   외비공 협착증 수술은 매우 드물게 시행하며, 수술이후에도 충분하지 못한 교정과 잦은 재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 보고하고자 하는 환자는 4세 때 수두를 앓고 난 후 발생한 외비공 및 비전정부의 협착을 이개연골이식 및 Surgical Diode LASER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교정한 경우로서, 국내에는 외비공 협착증의 성공적 수술에 대한 보고가 없기에 문헌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58세 여자 환자가 4세경 수두를 앓고 난 후 발생한 전비공 협착 및 비폐색을 주소로 2002년 10월에 본원에 내원하였다.
   진찰소견상 전비공은 이전의 수두로 인해 양측 모두 3×4 mm로 매우 좁아져 있었으며, 전비공을 덥고 있는 피부는 수두 상처로 인해 두터워지고 섬유화가 되어 있었고 위축되어 있었다. 비연골부위는 발육부전으로 잘 촉지되지 않았으나 비골부는 비교적 정상이었다(Fig. 1). 비내시경 시행시 전비공 협착으로 인해 직경 2.7 mm 내시경으로 비강내 관찰이 가능하였으며 비강 가득 비용종이 관찰되었고, 전비극에서 1.2 cm 후방의 비중격 연골부에 8 mm 정도의 천공이 있었다.
   3차원적 전산화단층 촬영상에서 비연골 부위의 발육부전과 비교적 정상적인 비골부를 확인할 수 있었고, 부비동염과 비용종 소견이 관찰되었다(Fig. 2).
   2002년 10월 전신마취하에 코성형수술을 시행하였다. 절개부위에 국소마취를 하고 양측 비익연절개와 경비주절개를 연결하는 비외 접근법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연골막위로 박리를 시행하여 종이처럼 약해져 있는 비익연골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3). 비익연골의 양측 내비각 사이를 박리한 후 우측 이개에서 채취한 이개연골의 일부를 3 mm 폭, 비극에서 비첨부까지 높이로 재단하여 비주 버팀목(strut)으로 사용하였으며 양측 내비각 사이에 삽입한 후 연골간 봉합(transdomal suture)을 시행하여 비첨의 높이를 지지하였다. 남은 이개연골의 일부를 비익연골의 외비각의 외측 끝에서 외비각 및 비전정부의 피부 사이에 삽입하였으며, 그 길이는 비익저부까지 닫는 길이로 재단하였으며, 이식연골과 비익연골의 외비각의 외측 끝을 서로 봉합하여 비전정부를 전반적으로 확장하였다. 외비공 입구부의 피부 협착은 Surgical Diode LASER를 이용하여 비첨부와 비익저부에 절개 확장을 시행한 후 부목을 유치시켜 재협착을 방지하였다(Figs. 4 and 5).
   술 후 1개월 후 확장된 외비공을 통해 내시경적 부비동수술 및 비용종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6개월간 추적 관찰하는 동안 외비공의 크기는 10×12 mm로 유지되었으며 재협착이나 비폐쇄감은 없었다(Fig. 6).

고     찰

   외비공 협착증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현재까지 출판된 논문 중 외비공 협착증에 관한 논문은 외국의 논문에서도 극소수이고 국내에는 아직 발표된 논문이 없다. 외비공 협착증 자체가 드문 질환이고 수술 이후에도 충분하지 못한 교정과 잦은 재발로 만족스러운 재건을 하기가 어렵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931년에 Joseph이 처음으로 하부기저피판(inferiorly based flap)을 이용하여 비공 바닥으로 위치를 변환시켜 외비공 협착을 교정하였다.2) 1971년 Maj는 다중 W성형술을 이용하여 외비공 입구부의 협착을 교정했고,3) 최근 들어 1995년 Blandini에 의해 비전정구순 점막피판(vestibular labial mucosa flap)을 이용해 외비공 협착을 교정하였으며,4) 1997년에 이르러 constantian이 처음으로 이개나 비익에서 채취한 복합물이식(composite grafts)을 통해 외비공 협착을 교정하였다.5)6)7)
   W성형술을 이용하여 외비공 협착을 교정할 경우 협착부위가 외비공 입구에 국한되어 있을 경우에는 교정이 가능하나, 비전정부의 전반적인 교정이 불가능하다.5) 비전정구순 점막피판이나 비익기저피판과 같은 국소 피판을 이용하여 교정할 경우 외비공 입구부 및 비전정부까지 교정 가능하나, 협착이 3차원적 원추형 협착인 경우는 국소 피판은 결손부위를 충분히 덮어주지 못한다.5)6)7) 이러한 경우 피부이식이 추천되어 졌다.5) 그러나 피부이식 후 장기간 추적관찰 시 피부이식을 한 경우에서 국소 피판을 이용한 것보다 재협착으로 인한 재발이 많았다.5) 그리고 국소 피판을 이용하여 교정할 경우에는, 본 증례의 환자에서처럼 비연골의 위축으로 비전정부위가 전반적으로 좁아져서, 비판부위(nasal valve area)가 좁아져 있는 것이 교정이 되지 않으므로 수술 이후에도 비폐쇄의 기능적 회복이 불가능하다.5)6)7)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저자들은 비첨 성형술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수술 방법을 이용하여 미용적 교정뿐만 아니라 기능적 회복을 얻고자 하였다. 우선 이개연골을 채취하여 비주 버팀목과 연골간 봉합으로 비첨의 높이를 지지하고 비익연골의 외비각의 외측끝에서 연골을 이식함으로써 너비를 넓혀 비전정부를 전반적으로 확장해 비판부위의 기능을 재건하였고, 외비공 입구부의 피부유착은 Surgical Diode LASER를 이용하여 비익저부와 비첨부에 절개 확장 후 부목으로 재유착을 방지하였다.
   레이저(LASER)를 이용하여 절제시 0.5 mm 이하의 작은 혈관은 절제와 동시에 지혈됨으로써 좋은 시야를 제공해 주며 보다 세밀한 조직의 절제가 가능하며, 또한 수술 후 부종이 적고 고식적인 전기소작술이나 수술용 메스를 이용한 단순절제술에 비하여 위축이나 반흔이 적은 장점이 있다.8) diode 레이저는 접축형으로 사용 가능하며 beam은 600
~3000 μm의 flexible optical fiber로 전달되는데, CO2 레이저나 Nd:YAG 레이저보다 가늘기 때문에 술자에게 넓은 시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9) 전체적인 용도는 유사하나 CO2레이저는 절단과 기화에 보다 유용하고, Nd:YAG는 응고에 효과가 있으며 diode 레이저는 이 3가지 효과를 모두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diode레이저는 주위조직의 0.3~2 mm까지의 영역에서 열손상을 일으키고 다른 레이저와 유사한 생물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지혈이 용이하여 상처 치유가 빠르며 합병증이 적다.9)10)
   이후 6개월간 환자를 추적 관찰하는 동안 코막힘 없이 외비공협착이 성공적으로 재건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Al-Qattan MM, Robertson GA. Acquired nostril stenosis. Ann Plast Surg 1991;27:382-6.

  2. Joseph J. Nasenplastik and sontstige gesichtspplastik. Leipzig: Hartag von curt kabItzsch;1931. p.205.

  3. Maj James O. Stenosis of the nostril. Arch Otolaryng 1971;93:526-30.

  4. Blandini D, Tremolada C, Beretta M, Mascetti M. Iatrogenic nostril stenosis: Aesthetic correction using a vestibular labial mucosa flap. Plast Reconstr Surg 1995;95:569-71.

  5. Constantian MB. An alar base flap to correct nostril and vestibular stenosis and alar base malposition in rhinoplaty, Plast Recon Surg 1997;101:1666-998.

  6. Constantian MB, Clardy RB.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ptal and nasal valvular surgery in correcting airway obstruc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rhinoplasty. Plast Reconstr Surg 1996;98:38-54.

  7. Constantian MB. The incompetent external nasal valv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in primary and secondary rhinoplasty. Plas Reconstr Surg 1994;93:919-31.

  8. Yoon YH, Jang HJ, Kong SK, Park HM, Lee BJ, Roh HJ, et al. Restoration of volume after partial resection of tongue in rabbit: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scalpel, electrocautery and diode LASER with or without closure. Korean J Otolaryngol 2002;45:889-96.

  9. Min YG, Yun YS, Jang YJ, Jung TG. Contact laser turbinate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idiopathic rhinitis. Clin Otolaryngo 1996;21:1-4.

  10. Min YG. Surgical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The first handon laser workshop on otolaryngology(1st ed);1995. p.23-9.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