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6(3); 2003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3;46(3): 250-252.
A Case of Pleomorphic Adenoma of the Nasal Vestibule.
Seong Kook Park, Kyung Wook Heo, Eun Seok Choi, Mi Seon Kang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Busan, Korea. sinus4@chollian.net
2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Busan, Korea.
비전정에 발생한 다형성 선종 1예
박성국1 · 허경욱1 · 최은석1 · 강미선2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1 해부병리학교실2
주제어: 전정다형성 선종.
ABSTRACT
Pleomorphic adenoma is most frequently seen in the major salivary glands, but can also be found in oral mucosa, hard and soft palate, temporal bone, hypophyseal duct, limbs, skin, inguinal region as well as in the nasal cavity. The majority of intranasal pleomorphic adenomas originate from the mucosa of nasal septum and lateral nasal wall. The treatment of choice is local but adequate excision. The authors experienced a rare case of pleomorphic adenoma that arose from the nasal vestibule: it was treated with local excision. We report the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Keywords: NoseVestibuleAdenomaPleomorphic

교신저자:박성국, 614-735 부산시 부산진구 개금동 633-165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전화:(051) 890-6379 · 전송:(051) 892-3831 · E-mail:sinus4@chollian.net 

서     론


  
다형성 선종은 두경부에서 선조직 기원의 양성종양 중 가장 흔하고 대부분 이하선과 악하선에서 발생하며, 8~10%가 소타액선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상기도에서는 비강, 상악동, 비인두의 순서로 발생하며2) 드물게 비중격,1)2) 외비,3) 외이도,4) 그리고 이개5) 등에서 발생된 예가 보고된 바 있다. 
   비전정에 드물게 발생한 양성종양으로 호산성과립세포종6) 및 표피 봉임낭(epidermal inclusion cyst)7) 등이 보고된 바 있으나 다형성 선종의 발생은 국내 및 영문으로 보고된 바가 없다. 최근 저자들은 비전정에 발생한 다형성 선종 1예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45세 여자환자가 4개월 전부터 우측 비전정에서 촉지되는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경도의 비폐색감과 소양감 외에 다른 증상은 호소하지 않았으며 과거력과 가족력상 특이 사항은 없었다. 이학적 검사 및 비내시경 검사상 지름 약 1 cm의 딱딱하게 촉지되는 종물이 우측 비전정의 외벽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종물을 덮고 있는 피부는 다소 발적된 소견을 보였다(Fig. 1). 임상 검사소견상 혈액, 뇨, 간기능 및 신기능 검사, 심전도 검사 등은 정상이었다. 
   2001년 11월 28일 국소 마취하에 비전정 외벽의 내측면에 절개를 가하고 피하조직을 박리하였다. 종괴는 주위 조직과 경한 유착이 있었으나 비익연골은 침범하지 않았고 비교적 피막이 잘 형성되어 있었다. 피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종괴를 완전히 제거하였으며 절개부위는 단순봉합술을 시행하였다(Fig. 2). 
   육안 소견상 종괴는 1.5×0.8×0.5 cm의 크기로 얇은 섬유성 피막으로 잘 싸여 있었다(Fig. 3). 병리조직 소견상 섬유성 또는 점액성의 기질내에서 관이나 선상 구조를 보이는 상피성 세포들의 증식이 관찰되었고 부분적으로는 상피세포의 밀도가 다소 높은 곳도 있었으며, 핵의 이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4). 환자는 수술 당일 귀가하였고 술 후 10개월간의 추적관찰 결과 재발의 소견은 없었다(Fig. 5). 

고     찰

   비강의 소타액선들은 대부분 고유비강의 외측벽에 존재하고 비강내 다형성 선종은 비중격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75%, 비강 측벽이나 비갑개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25%로 알려져 있다.8) Matthew 등9)은 비중격에서 다형성 선종의 발생이 많은 것은 배아의 외배엽 상피세포가 비오목(nasal pit)을 통해 비중격으로 이동하여 종양이 발생한다고 하였으나 Stevenson10)은 비중격에서 배아기원의 성장은 드물어 발생학적 원인으로 볼 수 없다고 하였다. Kamal 등11)은 비강의 측면에서 발생한 다형성 선종의 경우 병리 조직검사상 발생기관인 보습코(vomeronasal) 기관의 흔적을 발견하지 못하였고 다형성 선종이 성숙된 침샘조직에서 발생한다고 하였다. 본 예의 다형성 선종이 비전정에 발생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초기 배아에 존재하는 상피조직의 잔존물에서 발생하거나 침샘의 배이동(embryonic migration)에 의해 비전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8)
   비전정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의 증상은 촉지되는 종물, 경미한 통증, 일측성 비폐색, 그리고 비출혈 등이다.6)7)8)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 비전정에 발생할 수 있는 호산성과립세포종,6) 표피 봉임낭,7) 말초신경초종양,8) 그리고 유피낭종8) 등이 있으며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확진이 필요하다. 
   다형성 선종의 조직학적 특징은 상피세포가 점액성 기질과 섞여 있는 것으로, 비강에서 발생하는 다형성 선종은 조직병리학적으로 더 세포성이고 타원형의 상피세포가 넓은 덩어리 형태로 밀집되어 배열되어 있으며 점액성 및 콜라겐 기질이 더 적다.13) 
   치료는 논란이 있으나 적절한 변연을 확보한 외과적 절제가 원칙이다.2) 과거9)에는 비강내 다형성 선종을 악성종양으로 간주하고 광범위 절제를 시행하였으나 근래의 보고들1)2)에서는 국소절제만으로 치료가 충분하며, 특히 비내시경은 수술시 외비접근술을 피할 수 있고 술 후 추적관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14) 그러나 종양이 크거나, 그 위치에 따라 측비절개술이나 안면부 노출술이 필요할 수 있다.15) 본 예에서는 종물이 비전정에 국한되어 비전정 외벽의 내측면에 절개를 가하고 국소절제를 시행하였다. 
   비강내 다형성 선종의 재발은 10%이하로 이하선의 50%나 구강내의 25%보다 좋은 예후를 보이는데 그 이유는 비강의 다형성 선종의 조직학적 특성상 기질이 적어 수술중 점액성 기질이 수술부위에 퍼지는 경우가 적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2) 
   본 예는 드물게 비전정에서 발생한 다형성 선종으로 국소절제를 시행한 경우로, 비전정 종물의 감별 진단에 다형성 선종이 포함되어야 하리라 생각되며 향후 재발 등에 대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REFERENCES

  1. Golz A, Ben-Arie Y, Fradis M. Pleomorphic nasoseptal adenoma. J Otolaryngol 1997;26:399-401. 

  2. Kim JK, Lee MW, Kim JY, Cho SC. A case of pleomorphic adenoma of the nasal septum. Korean J Otolaryngol 2001;44:671-3.

  3. Badia L, Weir JN, Robinson AC. Heterotopic pleomorphic adenoma of the external nose. J Laryngol Otol 1996;110:376-8.

  4. Kim YK, Park JH, Mun SY, Yoon YJ. A case of pleomorphic adenoma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Korean J Otolaryngol 2001;44:105-7.

  5. Goh EK, Lee IW, Park HM, Lee BJ. A case of pleomorphic adenoma of the auricle. Korean J Otolaryngol 1999;42:514-6.

  6. Buchanan JA, Krolls SO, Sneed WF, Wetzel WJ. Oncocytoma in the nasal vestibule.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8;99:63-5.

  7. Yanagisawa K, Yanagisawa E. Epidermal inclusion cyst in the nasal vestibule. Ear Nose Throat J 2002;81:10. 

  8. Zarbo RJ, Torres FX, Gomez J.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and Luna MA. Salivary glands, In: Pilch BZ, Editor. Head and neck surgical pathology. 1st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2001. p.104-15. p284-6.

  9. Matthew S, Ersner MD, Sultzman M. A mixed tumor of the nasal septum, report a case. Laryngoscope 1944;54:287-95.

  10. Stevenson HN. Mixed tumor of the septum. Ann Otol Rhinol Laryngol 1932;41:563-70.

  11. Kamal SA. Pleomorphic adenoma of the nose: a clinical case and historical review. J Laryngol Otol 1984;98:917-23.

  12. Cho JS, Hong SC. Diseases of external nose and nasal vestibule. In: Min YG, Editor. Clinical rhinology. 1st ed. Seoul: Ilchokak Publishing Co., Ltd.;1997. p.144-7. 

  13. Nomomura N, Niijima H, Kimura O, Ikarashi F, Nakano Y, Kimura K.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pleomorphic adenoma of the septum. Auris Nasus Larynx 1992;19:125-31. 

  14. Yiotakis I, Dinopoulou D, Ferekidis E, Manolopoulos L, Adamopoulos G. Pleomorphic adenoma of nose. Rhinology 2001;39:55-7.

  15. Jasser P, Stafford ND, Macdonald W. Pleomorphic adenoma of the nasal septum. J Laryngol Otol 1999;113:483-5.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