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6(1); 2003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3;46(1): 27-34.
Interleukin-1beta-Mediated MUC5AC Gene Expression and Mucin Secretion via PKC-ERK/p38-COX-2-PGE2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Yong Dae Kim, Chang Hoon Bai, Hyun Jae Woo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호흡기 상피 암세포에서 PKC-ERK/p38-COX-2-PGE<sub>2</sub>의 활성화를 통한 Interleukin-1β에 의한 MUC5AC 점액유전자의 발현과 점액 생성
김용대 · 배창훈 · 우현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주제어: Interleukin-1MUC5ACProtein kinase C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Cyclooxygenase.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Mucus hypersecretion is a major problem in inflammatory airway disease. Interleukin-1beta (IL-1beta) has been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inflammatory airway diseas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and the IL-1beta-mediated MUC5AC secretion.
MATERIALS AND METHOD:
In cultured human airway NCI-H292 epithelial cells, the IL-1beta-mediated MUC5AC gene expression and mucin secretion were analyz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assay. To identify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 of the IL-1beta-mediated MUC5AC expression, we used specific inhibitors.
RESULTS:
IL-1beta induced COX-2 and MUC5AC expression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Mucin secretion was blocked by NS398 and resveratrol, selective COX-2 inhibitors. Prostaglandin E2 (PGE2) directly induced MUC5AC expression at both mRNA and protein levels in a dose-dependent manner. Cells activated by IL-1beta showed increased extracellular-regulated protein kinase (ERK) 1/2 and p38 phosphorylation. IL-1beta-induced MUC5AC gene expression and mucin secretion were blocked by PD98059, the MEK/ ERK inhibitor and SB203580, the p38 inhibitor. Furthermore, inhibition of both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reduced the IL-1beta-induced COX-2 expression and PGE2 synthesis. Ro31-8220, the PKC inhibitors prevented the IL-1beta-induced COX-2 expression and mucin secretion. Also Ro31-8220 inhibited the IL-1beta-mediated MAPKs phosphorylation.
CONCLUSION:
IL-1beta-induced MUC5AC gene expression and mucin secretion are regulated through the sequential activation of PKC-ERK/ p38-COX-2-PGE2 in the human airway NCI-H292 epithelial cells.
Keywords: Interleukin-1MUC5ACProtein kinase C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Cyclooxygenase

교신저자:김용대, 705-717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5동 317-1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전화:(053) 620-3784 · 전송:(053) 628-7884 · E-mail:ydkim@med.yu.ac.kr

서     론


  
점액소(mucin)는 대부분이 분비성 상피세포에서 분비되는 고분자의 당단백(glycoprotein)으로 인체의 호흡계, 위장관계 및 생식계의 점막에서 분비되어 윤활작용을 담당하며, 특히 상기도와 하기도에서는 정화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그러나 만성기관지염이나 천식, 낭종성섬유증, 만성부비동염 등과 같은 기도염증 질환에서는 점액이 과다하게 분비되거나 점도가 변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이와 같은 점액의 과분비성 질환(hypersecretory disease)에서는 점막하 분비선 및 배세포(goblet cell)의 비후 혹은 과증식과 같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것은 점액을 합성하는 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 및 분화와 관계가 있다.
   한편 지금까지 알려진 점액유전자 중 호흡기에서는 MUC2, MUC4, MUC5AC, MUC5B, MUC6, MUC7과 MUC8 등이 중요한 점액유전자이다.2)3) 특히 MUC5AC가 가장 중요한 호흡기 유전자이며, 사이토카인이나 염증성 매개물질 등에 의해 MUC5AC 점액유전자가 발현이 된다.4)5)
   천식과 같은 염증성 기도질환에서는 Interleukin-1β(IL-1β)의 농도가 상승되어 있으며 상승된 IL-1β의 농도는 증상의 심한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6) 한편 최근 연구에 의하면 IL-1β가 점액생성에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고,7)8) 그 외 몇 가지 종류의 사이토카인(cytokine) 등이 점액분비를 유도하는데 그 발현기전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9)10)
   여러 종류의 세포에서 다양한 자극에 의해 점액생성이 촉진되는 과정에 protein kinase C(PKC),11)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APK),12) epidermal growth factor(EGF)4) 등이 관련된다는 보고가 있으나, IL-1β에 의한 점액 생성과정의 신호전달체계는 명확하지 않다.
   Prostaglandin(PG)은 여러 가지 염증반응과 관련이 있으며13) cyclooxygenase(COX)에 의해 arachidonic acid가 PGH2로 전환되고, 다시 이것이 대사되어 다양한 종류의 PG과 thromboxan으로 전환된다. COX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COX-1은 정상 세포에서 발현되어 세포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COX-2는 정상적인 환경에서는 존재하지 않거나 아주 미약한 농도로만 존재하지만, 사이토카인과 성장인자 및 종양 촉진제(tumor promotor) 등에 의해 생성이 빠르게 유도되어 염증이나 발암에 관여하는 PG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PG 중 PGE2는 인체의 폐조직에 존재하는 arachidonic acid의 주 대사산물 중 하나로 그 역할은 아직 분명하지 않지만, PGE2가 대장세포에서 점액 분비를 조절한다는 보고가 있다.14)
   이상의 사실로 미루어 보면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COX-2와 그 대사 산물이 호흡기의 점액 분비를 조절하는데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연구결과에서 IL-1β는 상피세포에서 점액분비를 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여기에 관여하는 특이적인 신호전달경로는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호흡기 상피세포에서 IL-1β에 의해 유도되는 점액유전자의 발현과 점액 생성에 관여하는 신호전달체계를 관찰하고, 특히 COX-2와 PGE2와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점액 분비에 있어서 COX-2와 PGE2가 관여한다면 그 상위에 어떠한 신호전달물질이 관계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인체 폐점액표피양 암세포주인 NCI-H292 세포(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사이토카인은 human recombinant IL-1β(R&D Systems, Minneapolis, MN)이며, 세포배양은 RPMI 1640 배지와 fetal calf serum(FCS, GibcoBRL, Grand Island, NY)을 이용하였다. 신호전달체계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억제제는 NS398, resveratrol, Ro31-8220, PD98059, SB203580(Biomol Research Laboratories, Inc., Plymouth Meeting, PA)을 사용하였다. 각종 항체, 즉 extracellular-regulated kinase 2(ERK2), anti-mouse IgG-HRP(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rabbit polyclonal COX-2 항체(Cayman Chemical, Ann Arbor, MI), goat anti-rabbit IgG-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phospho-ERK1/2, phospho-p38 항체(New England BioLabs, Beverly, MA), MUC5AC 항체(NeoMarkers Inc., Fremont, CA) 등을 사용하였다.

세포배양 및 처리
   NCI-H292 세포를 6-well plate에 1×106/ml의 세포 수로 RPMI 1640 배양액(10% FCS, penicillin 100 U/ml, streptomycin 100 μg/ml, 2 mM L-glutamate를 추가)에 37°C, 5% CO2에서 배양하였다. 80% 융합단계(confluent stage)가 되면 세포를 24시간 동안 0.5% FCS를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고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으로 세척한 후 각 억제제 또는 IL-1β를 처리하였다. IL-1β의 처리 농도 변화에 따른 MUC5AC, COX-2, PGE2의 생성을 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IL-1β를 0.02, 0.2, 2, 20 ng/ml의 농도로 투여한 후 RPMI 1640 배양액(0.5% FCS, penicillin 100 U/ml, streptomycin 100 μg/ml, 2 mM L-glutamate를 추가)에서 37°C, 8시간 동안 배양하여 IL-1β에 의한 PGE2, COX-2, MUC5AC 등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고, 억제제의 작용을 보기 위한 실험의 경우 80% 융합단계에서 24시간 동안 0.5% FCS를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고 PBS로 세척한 후 각 억제제를 먼저 투여하고, 1시간 뒤에 IL-1β 20 ng/ml로 처리한 후 37°C에서 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PGE2 assay
  
PGE2의 측정은 EIA(enzyme immunoassay) 키트(Amersham Pharmacia, Piscataway, NJ)를 사용하였다.‘세포배양 및 처리’에서 설명한대로 세포배양과 IL-1β 및 각 억제제 처치를 하고 반응시킨 후 냉각한 PBS로 세척하였다. Trypsin 처리 후 4°C에서 700×g로 침전시켜 침전된 세포를 lysis buffer(50 mM Tris·Cl, pH 8.0, 5 mM EDTA, 150 mM NaCl, 1% Triton X-100, 1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로 다시 부유시켰다. 이것을 다시 원심분리를 하여 세척한 다음 상청액을 whole-cell lysate로 보관하였다. 여기서 얻어낸 whole-cell lysate 100 μl를 피펫을 사용하여 96-well plate에 담은 후 마우스 다클론 PGE2 항체와 PGE2를 각 well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각 well을 PBS로 6회 세척한 뒤 tetramethylbenzidine 기질을 첨가하였다. 30분 후 각 well을 ELISA 판독기로 670 nm에서 측정하였다.

Western blot에 의한 단백 측정
‘세포배양 및 처리’에서 설명한대로 세포배양과 처리를 하고 냉각한 PBS로 세척하였다. Trypsin 처리 후 4°C에서 700×g로 침전시켜 침전된 세포를 lysis buffer(50 mM Tris·Cl, pH 8.0, 5 mM EDTA, 150 mM NaCl, 1% Triton X-100, 1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로 다시 부유시켰다. 이것을 다시 원심분리를 하여 세척한 다음 상청액을 whole-cell lysate로 보관하였다. 여기서 얻어낸 정량된 단백(50 μg)을 10% SDS-polyacrylamide gel에 주입하여 2시간 동안 20 mA에서 전기영동을 하였다. 분리된 단백은 300 mA로 3시간 동안 나이트로셀룰로오즈막에 이동시킨 후, 5% non-fat milk로 비특이적 단백 결합을 방지하였다. 각 항체를 1:2,000으로 희석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다시 세척하고 horseradish peroxidase에 결합된 이차항체를 1:5,000으로 희석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 번 세척 후 enhanced chemiluminescence(ECL, Amersham Pharmacia Biotech. Inc., Buckingham Shire, England) 시약으로 X-선 필름으로 감광하여 각각의 단백을 확인하였다.

면역분석법(Immunoassay)을 이용한 MUC5AC 점액의 분석
  
MUC5AC 점액은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를 처리한 NCI-H292 세포에서 점액의 분비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lysis buffer로 단백을 추출하여 정량하였다. 추출한 단백 100 μg을 96-well에 첨가하여 40°C에서 4시간 이상 방치하여 젤판에 단백을 부착하였다. 2% bovine serum albumin으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차단한 후, PBS용액으로 세 번 씻어내었다. MUC5AC 일차항체(1:100)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이차항체인 horseradish peroxidase-goat anti-mouse IgG conjugate(1:10,000)를 첨가시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PBS로 세 번 씻은 후 3, 3’, 5, 5’-tetramethylbenzidine peroxidase 용액으로 발색반응을 시켜서 ELISA reader로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세포군에서 측정된 MUC5AC 점액의 양은 IL-1β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세포군에서 검출된 양을 초과하는 만큼의 양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RT-PCR에 의한 MUC5AC 점액유전자의 분석
  
총 mRNA를 Tri-Reagent(Molecular Research Center, Cincinnati, OH)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MUC5AC mRNA의 측정은 변형된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방법을 이용하였다.8) 총 mRNA를 무작위 hexanucleotide primer들과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MMLV) reverse transcriptase (Perkin Elmer, Morrisville, NC)를 사용하여 cDNA로 역전사하였다. RT-PCR에 사용한 oligonucleotide primer는 인체 MUC5AC 점액유전자의 sense와 antisense를 사용하였다. 인체 MUC5AC 점액유전자의 primer 염기서열(Genbank acession no. U0671)은 sense는 5’-ATC ACC GAA GGC TGC TTC TGT C이며, antisense는 3’- GTT GAT GCT GCA CAC TGT CCA G이다. PCR 과정은 초기 가열을 95°C에서 3분간 실시한 후 변성은 95°C/1분, 60°C/1분, 72°C/1분간을 34 cycles을 실시하고 신전(extension)은 72°C에서 20분간 실시하였다. PCR의 산물은 50 ng/ml의 ethidium bromide가 들어있는 1% Tris-boric acid-EDTA 완충용매에서 2% agarose gel을 통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였다. 띠(band)의 정도는 densi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IL-1β에 의한 MUC5AC 점액유전자의 발현과 점액의 분비
  
호흡기 상피 암세포에서 IL-1β에 의해 MUC5AC 점액유전자와 점액이 생성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NCI-H292 세포에서 MUC5AC의 mRNA가 발현되는 정도를 RT-PC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NCI-H292 세포에 IL-1β을 처리하였을 때 MUC5AC mRNA가 IL-1β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Fig. 1A). MUC5AC 점액의 생성정도는 특이 항체를 사용한 면역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유전자 발현에서와 마찬가지로 IL-1β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점액의 생성량이 증가하였다(Fig. 1B). IL-1β 투여 시간에 따른 점액유전자의 발현과 점액의 분비 양상은 MUC5AC 유전자의 경우 IL-1β(20 ng/ml) 처리 후 8시간째에, 점액의 경우 12시간째에 최대치를 나타내었다(Fig. 2A and B).

IL-1β에 의해 유도된 COX-2와 PGE2의 발현
   COX-2가 점액을 생성하는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IL-1β가 COX-2 단백과 PGE2의 합성을 유도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IL-1β를 다양한 농도(0.02~20 ng/ml)로 처리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COX-2 항체를 이용하여 Western blot으로 분석하였다. IL-1β의 농도가 20 ng/ml일 때 COX-2의 발현이 최대로 나타났으며, PGE2의 경우 IL-1β의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생성량이 증가하였다(Fig. 3A). IL-1β처리 후 시간경과에 따른 COX-2의 발현 양상은 IL-1β(20 ng/ml) 처리 후 2시간째부터 COX-2의 합성이 신속하게 이루어졌다. COX-2 발현양은 IL-1β 처리 후 8시간째에 최대치에 도달하였고 12시간까지 유지되었다(Fig. 3B). 

COX-2 및 PGE2에 의한 MUC5AC 점액의 조절
  
IL-1β의 자극에 의해 MUC5AC 생성이 촉진되는 과정에서 COX-2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COX-2가 활성화되었을 때의 생성물인 PGE2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PGE2를 처리한 후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PGE2의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그에 비례하여 MUC5AC 유전자도 높게 발현되었으며(Fig. 4A), MUC5AC 점액도 PGE2에 의해 생성이 촉진되었다(Fig. 4B).
   COX-2가 활성화되어 MUC5AC의 발현을 유도할 것이라는 가정을 증명하기 위해 COX-2 억제제를 이용하여 MUC5AC와 PGE2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COX-2에 대한 특이적 억제제인 NS398(5 μg)을 NCI-H292세포에 전처치했을 때, IL-1β에 의한 MUC5AC와 PGE2의 생성이 억제되었다(Fig. 5A and B). 또 다른 COX-2 억제제로 알려진 resveratrol(100 mM)을 전처리 하였을 때도 IL-1β에 의한 MUC5AC 생성이 부분적으로 억제되었고(Fig. 6A), COX-2의 발현도 감소하였다(Fig. 6B).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MAPKs)에 의한 MUC5AC의 생성조절
  
인산에 대한 특이적 항체(phospho-specific anibody)를 이용한 Western immunoblotting으로 MAPKs의 인산화를 측정하여, IL-1β에 의해 NCI-H292 세포에서 MAPKs가 활성화되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IL-1β에 의해 ERK1/ 2와 p38의 인산화가 증가하였다(Fig. 7). 인산화는 ERK1/ 2와 p38 모두에서 IL-1β처리 후 20분 경에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IL-1β의 자극에 의한 COX-2와 MUC5AC의 발현에 ERK1/2와 p38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MEK/ERK 경로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PD98059 (50 μM)와 p38에 특이적인 억제제인 SB203580(5 μM)을 각각 1시간 동안 세포에 전처리하고 IL-1β(20 ng/ml)를 첨가한 후 8시간 뒤에 COX-2 및 MUC5AC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두 억제제는 IL-1β에 의한 MUC5AC의 생성을 강하게 억제하였고(Fig. 8A), 동시에 COX-2의 발현도 감소시켰다(Fig. 8B).

PKC에 의한 MUC5AC 생성 조절
  
IL-1β에 의한 MUC5AC의 생성에 관여하는 신호전달경로에 PKC의 활성화가 관련되어 있는지, 그리고 관계 있다면 어느 단계에서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PKC 억제제인 Ro31-8220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NCI-H292세포를 Ro31-8220(2 μM)으로 1시간 동안 전처치하고 IL-1β(20 ng/ml)를 8시간동안 처리하였을 때, IL-1β에 의한 MUC5AC 유전자와 점액 생성이 억제되었다(Fig. 9A). 동시에 IL-1β에 의한 COX-2의 발현정도가 감소하였으며(Fig. 9B), ERK1/2와 p38의 인산화도 억제되었다(Fig. 9C).

고     찰

   이 연구에서는 기도상피세포에서 IL-1β가 PGE2를 통해 MUC5AC의 합성을 자극하는지, 또한 PKC와 MAPKs가 IL-1β에 의한 MUC5AC 점액생성의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에서 보았듯이 IL-1β는 COX-2의 발현과 PGE2의 합성을 증가시켰을 뿐 아니라 MUC5AC의 발현도 촉진시켰다. 또 이러한 반응들은 COX-2에 특이적인 억제제인 NS398와 resveratrol에 의해 모두 억제되었다. PGE2를 처리하였을 때 MUC5AC의 발현이 촉진되었는데, 이는 MUC5AC 점액과 COX-2 신호전달경로가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더욱이 MEK/ERK 억제제인 PD98059와 p38 억제제인 SB203580, 그리고 PKC 억제제를 전처치한 경우 MUC5AC의 생성과 COX-2 발현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IL-1β가 PKC와 MAPK 및 COX-2에 의한 신호전달경로를 통해 MUC5AC를 생성을 유도해 낸다고 할 수 있다.
   IL-1β가 MUC2 유전자와 그 단백의 합성을 상향조절한다는 사실8)이 밝혀지긴 하였으나, 점액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하는 신호전달경로와 그 조절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또 그 이전의 많은 연구자들도 점액에 관한 많은 연구를 하였지만 점액 생성을 활성화시키는 신호전달경로에 대해서는 아직 그 연구결과가 부족한 실정이다. MAPK는 점액 생성과 상피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신호전달경로에서 중요한 물질이다.12)16) Li 등17)은 상피세포에서 세균 생성물에 의해 점액이 생성되는 과정에 Ras/MEK/ERK가 신호전달에 관련된다고 하였다. Takeyama 등4)은 상피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가 점액의 생성을 유도하는 것은 상피성장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에 의해 ERK 경로가 활성화되어 나타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도 NCI-H292 세포에서 IL-1β에 의한 점액생성이 ERK나 p38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는 언급한 바가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두 MAPK, 즉 ERK와 p38이 IL-1β의 자극에 반응하여 활성화되었으며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도 유사하여 IL-1β의 자극 후 20분에 최대의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또 ERK의 활성을 억제하는 약제인 PD98059와 p38억제제인 SB203580에 의해 IL-1β에 의한 MUC5AC의 생성이 강하게 억제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NCI-H292세포에서 ERK와 p38이 MUC5AC 점액생성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또 한가지 유의해야 할 사실은 PD98059와 SB203580이 IL-1β에 의한 MUC5AC의 생성을 억제하는 정도가 COX-2 발현을 억제하는 정도와 비례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들은 ERK와 p38 신호전달경로에 의해 COX-2의 발현이 증가하고 다시 COX-2에 의해 MUC5AC의 합성이 촉진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음 단계로 IL-1β가 어떤 경로를 통해 MAPK를 활성화시키는가 하는 것이다. PKC는 IL-1β의 자극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일어나는 과정에 관여하는 중요한 매개물질이다. PKC를 활성화시키는 염증성 매개물질에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는데 전구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와 TNF-α가 상피세포에서 PKC의 활성화를 자극한다.18)19) 또 여러 연구자들이 다양한 세포에서 PKC가 점액생성에 관여한다고 하였다.11) 본 연구에서는 IL-1β에 의한 점액생성이 PKC 억제제인 Ro31-8220에 의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IL-1β에 의해 유도되는 MUC5AC 점액의 생성에 관련된 신호전달경로에 PKC의 활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Ro31-8220은 IL-1β의 자극에 의한 ERK와 p38의 인산화와 COX-2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런 결과를 본다면 IL-1β에 의해 유도되는 점액의 생성에는 PKC의 활성이 필수적이고 PKC는 ERK와 p38보다 상위단계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Ro31-8220은 PKC를 억제하는 효과 이외에도 mitogen- and stress -activated protein kinase-1(MSK1)를 비롯한 다양한 protein kinase를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20) Ro31-8220에 의한 COX-2 억제작용이 반드시 PKC를 억제하는 것에만 의하지 않고 다른 protein kinase를 억제함으로써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을 것이다.
   IL-1β를 처리하지 않고 resveratrol이나 Ro31-8220만을 처리한 경우 MUC5AC 점액의 생성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 억제제들이 IL-1β에 의한 MUC 5AC의 합성경로에는 억제작용을 하나 그 물질 단독으로는 MUC5AC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지 않을까 하는 유추를 해 볼 수 있다. 또 억제제를 이용한 실험의 결과만으로 억제목표물질, 즉 PKC, MAPKs, COX-2 등이 신호전달 경로에 반드시 관여한다는 절대적인 단정은 할 수 없으며, 이의 뒷받침을 위해서는 더 다양한 억제제를 이용한 실험으로 증명해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PKC-MAPK-COX-2-PGE2경로내에 존재할 수 있는 세부적인 경로와, 이 경로 이외의 다른 경로에 의한 MUC5AC 발현의 가능성에도 관심을 갖고 확대된 연구를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IL-1β는 MUC5AC 점액의 생성을 상향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며, 여기에는 PKC와 MAPK가 차례로 활성화되고 이에 의해 COX-2가 발현되어 PGE2의 생성이 증가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실은 기도염증질환이 있을 때 PGE2의 생성을 저해하거나 PKC, 또는 ERK와 p38 신호전달경로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점액과다분비를 조절할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인간의 호흡기 상피 암세포를 IL-1β로 자극했을 때 PKC의 활성화를 거쳐 ERK나 p38이 COX-2의 생성을 유도하여 PGE2를 거쳐 MUC5AC 점액의 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Kim YS, Gum JR Jr, Crawley SC, Deng G, Ho JJ. Mucin gene and antigen expression in biliopancreatic carcinogenesis. Ann Oncol 1999;10:51-5.

  2. Lagow E, DeSouza MM, Carson DD. Mammalian reproductive tract mucins. Hum Reprod Update 1999;5:280-92.

  3. Williams SJ, Wreschner DH, Tran M, Eyre HJ, Sutherland GR, Mc-Guckin MA. Muc13, a novel human cell surface mucin expressed by epithelial and hemopoietic cells. J Biol Chem 2001;276:18327-36.

  4. Takeyama K, Dabbagh K, Shim JJ, Dao-Pick T, Ueki IF, Nadel JA. Oxidative stress causes mucin synthesis via transactiv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Role of neutrophils. J Immunol 2000; 164:1546-52.

  5. Perrais M, Pigny P, Ducourouble MP, Petitprez D, Porchet N, Aubert JP, et al. Characterization of human mucin gene MUC4 promoter: Importance of growth factor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for its regulation in pancreatic cancer cells. J Biol Chem 2001;276:30923-33.

  6. Mattoli S, Mattoso VL, Soloperto M, Allegra L, Fasoli A. Cellular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in symptomatic nonallergic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1991;87: 794-802.

  7. Yoon JH, Kim KS, Kim HU, Linton JA, Lee JG. Effects of TNF-α and IL-1β on mucin, lysozyme, IL-6 and IL-8 in passage-2 normal human nasal epithelial cells. Acta Otolaryngol 1999;119:905-10.

  8. Kim YD, Kwon EJ, Kwon TK, Baek SH, Song SY, Suh JS. Regulation of IL-1β-mediated MUC2 gene in NCI-H292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0;274:112-6.

  9. Dabbagh K, Takeyama K, Lee HM, Ueki IF, Lausier JA, Nadel JA. IL-4 induces mucin gene expression and goblet cell metaplasia in vitro and in vivo. J Immunol 1999;162:6233-7.

  10. Shim JJ, Dabbagh K, Ueki IF, Dao-Pick T, Burgel PR, Takeyama K, et al. IL-13 induces mucin production by stimulating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s and by activating neutrophils.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001;280:L134-40.

  11. Hong D, Petrovics G, Anderson WB, Forstner J, Forstner G. Induction of mucin gene expression in human colonic cell lines by PMA is dependent on PKC-ε. Am J Physiol 1999;277:G1041-7.

  12. Meerzaman D, Shapiro PS, Kim KC. Involvement of the MAP kinase ERK2 in MUC1 mucin signaling.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001;281:L86-91.

  13. Tilley SL, Coffman TM, Koller BH. Mixed messages: Modulation of inflammation and immune responses by prostaglandins and thromboxanes. J Clin Invest 2001;108:15-23.

  14. Belley A, Chadee K. Prostaglandin E2 stimulates rat and human colonic mucin exocytosis via the EP4 receptor. Gastroenterology 1999; 117:1352-62.

  15. Beato M, Herrlich P, Schutz G. Steroid hormone receptors: Many actors in search of a plot. Cell 1995;83:851-7.

  16. Taupin D, Podolsky D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regulates intestinal epithelial differentiation. Gastroenterology 1999; 16:1072-80.

  17. Li JD, Feng W, Gallup M, Kim JH, Gum J, Kim Y, et al. Activation of NF-kappaB via a Src-dependent Ras-MAPK-pp90rsk pathway is required for Pseudomonas aeruginosa-induced mucin overproduction in epithelial cells. Proc Natl Acad Sci 1998;95:5718-23.

  18. Wyatt TA, Ito H, Veys TJ, Spurzem JR. Stimulation of protein kinase C activity by tumor necrosis factor-α in bovine bronchial epithelial cells. Am J Physiol 1997;273:L1007-12.

  19. Bin W, Aksoy MO, Yang Y, Kelsen SG. IL-1β enhances β2-adrenergic receptor expression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by activating PKC.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001;280:L675-9.

  20. Deak M, Clifton AD, Lucocq LM, Alessi DR. Mitogen- and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1 (MSK1) is directly activated by MAPK and SAPK2/p38, and may mediate activation of CREB. EMBO J 1998;17:4426-41.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