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5(8); 2002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2;45(8): 831-833.
A Case of Lipoma of the Tonsil.
Seong Ki Ahn, Sea Yuong Jeon, Jin Pyeong Kim, Sung Moon Baek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hinju, Korea.
2Department of Otolaryngolgy,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Ulsan, Korea.
구개 편도에 발생한 지방종 1예
안성기1 · 전시영1 · 김진평1 · 백승문2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경상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1;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2;
주제어: 편도지방종.
ABSTRACT
Lipomas are one of the most common benign neoplasm in the subcutaneous tissues, but tonsil of lipoma is extremely rare. To our knowledge, there are about fifteen previously reported cases of tonsillar lipoma in the world literature review. The pathogenesis of lipoma represents a benign neoplastic growth or a harmatomatous malformation. Lipomas of tonsil may be asymptomatic or it can manifest as a foreign body sensation in the throat, such as in coughing, soreness or even respiratory obstruction. The treatment of choice is excision of the mass with its stalk or unilateral tonsillectomy with excision of the mass. We report a case of lipoma of the tonsil with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Keywords: TonsilLipoma

교신저자:안성기, 660-702 경남 진주시 칠암동 90번지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경상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55) 750-8178 · 전송:(055) 759-0613 · E-mail:skahn222@hanmail.net

서     론


   지방종은 주로 피하조직에 흔하게 발생하지만 구개 편도에 발생하는 지방종은 매우 드물다.1)2)3) 1860년 Lamb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된 후로 전세계적으로 약 15예 정도 보고2)4)가 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1967년에 Park 등5)이, 1981년에 Yang6)이, 그리고 2000년에 Kwon 등7)이 보고한 3예뿐이다. 증상은 크기에 따라서 무증상에서부터 구인두 이물감 또는 동통, 기침, 호흡 곤란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1)7)8) 치료는 종양을 완전 절제하는 외과적 방법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최근 저자들은 구인두 이물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조직검사에 의해 구개 편도에서 발생한 지방종으로 확진된 1예를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환자는 45세 여자로 수년 전부터 시작된 구인두 이물감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다른 특이 증상은 없었고 과거력이나 가족력도 특이 사항이 없었다.
   이학적 검사에서 우측 편도에 표면이 평활하고 단단한 약 2.5×2 cm 크기의 용종성 종괴가 관찰되었다(Fig. 1A). 촉진시 동통은 호소하지 않았고 경부의 촉지되는 림프절은 없었다. 임상검사에서 심전도, 혈액검사, 소변검사, 혈액화학검사에서도 모두 정상 범위였다. 이상의 검사 소견으로 구개 편도에 생긴 양성 종양을 의심하여 국소 마취 하에서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소견으로는 우측 구개 편도 에 약 2.5×2 cm 크기의 평활하고 단단한 노란색 종괴가 구개 편도의 중앙 부위에서 관찰되어 종괴 및 종괴의 경(stalk)을 포함하여 완전 절제를 하였다(Fig. 1B).
   수술 후 시행한 병리 조직학적 검사에서 종괴는 난원형으로 장경이 2.5 cm 이었다. 점막은 팽창되어 보일 뿐 미란 또는 궤양을 동반하지 않았고 매끈하였다. 주위조직과는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노란색의 종괴로 절단하였을 때 표면이 균질하고 이차적 변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미끈미끈하였다. 현미경 소견상 종괴는 각질을 형성하지 않은 편평상피 아래로 조밀한 섬유성 결체 조직들 및 림프액을 함유하고 있는 확장된 림프관들이 관찰되었고 그 아래로 성숙한 지방 조직 및 그 지방 조직 사이로 섬유 조직이 관찰되며 그 섬유 조직들은 확장된 모세혈관들을 함유하고 있었다(Fig. 2).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구개 편도에 발생한 지방종으로 진단되었으며 환자는 외래 추적 관찰 중이며, 현재 특별한 재발 소견은 없는 상태이다.

고     찰

   지방종은 피하조직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 중의 하나이지만 인·후두 부위에서의 호발 부위는 대부분 피열후두개 주름(aryepiglottic fold) 또는 후윤상연골 부위(postcricoid region)이며 구개 편도에 발생하는 지방종은 매우 드물다고 알려져있다.1)9) 1860년 Lamb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된 후로 전세계적으로 산발적으로 보고가 되고 있다. 발생 연령은 8세에서 60세까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성별에 대한 차이는 여자에서 약간 높다고 한다.1)
   지방종은 섬유 조직, 확장된 모세혈관, 그리고 림파액의 정도에 따라서 지방종, 섬유지방종(fibrolipoma), 섬유-선지방종(fibro-adenolipoma), 그리고 혈관섬유지방종(angiofibrolipoma) 등으로 기술되고 있다.4)9)10)11)
   구개 편도에서의 지방 조직의 증식에 대한 발생 기전은 크게 두 가지 이론이 있는데 과오종(harmartoma)으로 구개 편도의 림프 조직에 내재되어 있는 간엽(mesenchyme) 구조에서 발생한다는 것2)12)과 구개 편도 조직 내에서는 지방세포를 발견할 수 없기 때문에 과오종보다는 오히려 양성 신생물 성장 때문에 발생할 것이라는 이론이3) 있다.
   임상 증상은 종양의 크기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발현된다고 알려져있다.1)7)8) 증상으로서는 무증상에서부터 구인두 이물감 또는 동통, 기침, 호흡 곤란 등이다. 대부분 무증상인 경우가 많아 우연히 발견되었다고 한다. 저자들이 치험한 예에서는 크기가 컸으므로 구인두 이물감을 호소하였다고 사료된다.
   이학적 검사에서는 대부분 단단하고 평활한 표면을 가진 노란색의 경을 가진 용종성 종괴가 구개 편도의 중앙 부위에서 관찰된다고 한다.8) 저자들의 경우도 이와 같은 소견을 보였다.
   치료는 외과적으로 완전하게 절제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있다.1)13) 수술적 방법은 경을 포함한 종괴의 절제술 또는 종괴와 함께 일측 편도적출술을 시행할 수 있다고 한다. 후자를 주장하는 견해도 있지만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재발은 드물다고 한다.1) 저자들은 국소 마취 하에서 경을 포함한 종괴의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는 각질을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은 편평상피 아래로 조밀한 섬유성 결체 조직들 및 림프액을 함유하고 있는 확장된 림프관을 관찰할 수 있다. 그 아래로 성숙한 지방 조직 및 그 지방 조직 사이로 섬유 조직이 관찰되며 그 섬유 조직들은 확장된 모세혈관들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3)8) 저자들의 경우에서도 위와 같은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구개 편도에 용종성 종괴가 관찰되면 감별 질환들로서 기형종(teratoma), 해면상 혈관종, 편평 세포 유두종, 그리고 전이성 악성 흑색종 등2)이 있다. 따라서 증상, 이학적 검사, 필요하면 방사선학적 검사 등을 통해서 이 질환들의 가능성을 인지하고 의심함으로써 진단 및 적절한 치료에 보다 가깝게 접근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최근 저자들은 구인두 이물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조직검사에 의해 구개 편도에서 발생한 지방종으로 확진된 1예를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Dev VR, Heeringa B, Busch R. Tonsillar lipoma.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0;122:941.

  2. Begin LR, Frenkiel S. Polypoid lipoma of the palatine tonsil. J Laryngol Otol 1993;107:556-8.

  3. Harada H, Kashiwagi S, Morimatsu M, Kameyama T, Takahashi M. Tonsillar lipoma: A case report. J Laryngol Otol 1995;109:662-4.

  4. Douglas JE. Fibrolipoma of the tonsil. Texas State J Med 1961;57:987-9.

  5. Park CI, Park SY. A case of pedunculated lipoma of the tonsil. Korean J Otolaryngol 1967;10:121-3.

  6. Yang CY. A case of lipoma of the palatine tonsil. Korean J Otolaryngol 1981;24:408-10.

  7. Kwon KH, Lee SH, Jin SM, Lee YB. Two cases of lipoma of the oral cavity. Korean J of Head & Neck Oncology 2000;16:80-2.

  8. Sarma NH, Ramesh K. Lipoma of the palatine tonsil. Histopathology 1996;29:95-7.

  9. Mansson I, Wilske J, Kindblom LG. Lipoma of the hypopharynx: A case report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Laryngol Otol 1978;92:1037-43.

  10. Friend LJ. Fibro-adenolipoma of the tonsil. Archives of Otolaryngology 1926;3:448-51.

  11. Krausen C, Becker K, Hamman KF. Angiofibrolipoma of the tonsil. Laryngology, Rhinology, and Otology 1986;65:355-6.

  12. Shara KA, Al-Muhana AA, Al-Shennawy M. Harmartous tonsillar polyp. J Laryngol Otol 1991;105:1089-90.

  13. Benson-Mitchell R, Tolley N, Croft CB, Roberts D. Lipoma of the left tonsillar fossa. J Laryngol Otol 1994;108:507-8.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