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4(8); 2001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1;44(8): 901-903.
A bronchogenic cyst presenting as a parathyroidal mass.
Hong Shik Choi, Jun Ho Park, Han Soo Kim, Jae Yol Lim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g Dong Severance Hospital, Seoul, Korea.
부갑상선 부위에 발생한 기관지원성 낭종 1예
최홍식 · 박준호 · 김한수 · 임재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기관지원성 낭종부갑상선 종양경부선천성 질환.
ABSTRACT
A bronchogenic cyst is congenital malformation of the foregut which was generally encountered within the mediastinum and detected in pediatric patients with symptoms of infection or compression on vital structures. They are rarely detected in adult population as a neck mass. We have recently experienced one case of bronchogenic cyst as a parathyroid mass in a 50-year-old female. It was incidentally detected by routine neck ultrasonography and interpreted as a parathyroid cyst with hemorrhage preoperatively, but confirmed as a bronchogenic cyst at pathologic examination.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Keywords: Bronchogenic cystNeoplasmParathyroidNeckCongenital disorder

교신저자:최홍식, 135-720 서울 강남구 도곡동 146-9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2) 3497-3600·전송:(02) 3463-4750·E-mail:hschoi@yumc.yonsei.ac.kr 

서     론


   경부에 발생한 선천성 낭종은 흔히 관찰할 수 있는 질환이다. 그 중 대부분은 갑상설관(thyroglossal duct)이나 새열(branchial cleft)에서 기원한 것이다. 기관지원성 낭종은 폐와 종격동에 주로 위치하는 기관, 기관지(tracheobronchial tree)의 선천성 이상이다.1) 따라서 발생학적으로 전형적으로는 종격동의 중부(middle compartment)에 기관과 기관지를 따라 위치하거나, 혹은 종격동 후부의 식도근처에서 생긴다.2) 경부의 종괴로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특히 성인에서 부갑상선 부위에 위치하여 발견된 예는 아직까지 보고된 예가 없다.3) 최근 저자들은 50세 여자환자에서 부갑상선 부위에 발생한 기관지원성 낭종을 수술적으로 완전 적출하여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50세 여자환자가 건강검진에서 경부초음파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우측 부갑상선 부위의 출혈성 낭포를 주소로 2000년 7월 24일 내원하였다.
   환자의 과거력과 가족력상 특이사항은 없었으며 문진상 애성등의 음성변화 소견은 없었고 자통(tingling sensation)이나 심계항진등 고칼슘혈증을 의심할만한 소견도 없었다. 이학적 소견상 우측 경부 갑상선부위에 약 3×5 cm 크기의 부드럽고 압통을 동반하지 않은 유동성의 종괴가 촉진되었으나 다른 임파선의 종대소견은 없었다. 후두내시경 검사상 양측 성대의 운동성은 정상이었다. 술전에 시행한 갑상선 기능검사와 혈액검사상 총칼슘과 이온화 칼슘은 모두 정상 범위였다. 흉부촬영소견상 폐내에 종괴를 의심할만한 특이소견은 없었으며 경부초음파검사상 우측 부갑상선 부위에 출혈성 낭종이 관찰되었고 2000년 6월 8일 타병원에서 시행한 경부전산화단층촬영상 우측갑상선의 후하방으로 약 3×2×3 cm 크기의 종괴가 관찰되었다. 이 종괴는 비교적 경계가 분명하고 주변으로의 침윤소견은 없으며 내부는 균일한 저음영을 나타내고 있었다(Fig. 1).
   이상의 소견으로 부갑상선에서 발생한 출혈성 낭종으로 생각하여 2000년 7월 28일 종괴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갑상선의 협부 높이에 피부의 주름을 따라 평행한 절개를 가하여 접근하였다. 우측 갑상선의 후하방 부근에 7×5 cm 크기의 낭종성 종괴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주변조직과 유착이 없이 잘 박리 되었다. 종괴의 크기는 2개월전의 경부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비해 상당히 증가한 상태였다. 종괴와 심부조직과의 연결된 소견은 없었다. 이 종괴의 표면 위로 우측 반회후두신경이 지나가고 있었고 이는 종괴에 의해 늘어나 있었으며 이를 확인하고 보존하였다(Fig. 2). 종괴는 얇은 벽을 갖는 낭종이었으며 이 벽의 손상 없이 종괴를 완전히 적출 하였다(Fig. 2).
   조직병리 소견상 가중층섬모원주상피(pseudostratified ciliated columnar epithelium)로 싸여 있는 낭종이며 이는 일부의 편평화생(squamous metaplasia)과 주변을 둘러싼 평활근층이 있는 것으로 폐외에 생긴 전형적인 기관지원성 낭종이었다(Fig. 3).
   술후 시행한 혈액검사상 칼슘수치는 정상이었으며 후두내시경 검사 상에서 성대의 운동성은 정상이었다. 술후 7일째 환자는 퇴원하였으며 술후 6개월 후인 현재까지 재발을 의심할 만한 다른 이상소견은 없이 외래추적 관찰 중이다.

고     찰

   폐기원성 낭종은 폐와 종격동에 주로 위치하는 기관이나 기관지(tracheobronchial tree)의 발달성 이상이다. 이 낭종은 때때로 기도와 연결이 없이 경부의 하부에서 피하조직에 존재하기도 한다.1)4) 어른에서 발견되는 경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다른 이유로 촬영한 흉부단순촬영상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어린이에서 생기는 경우 위치와 발생연령에 따라 다른 증상을 나타낸다. 유아의 경우 호흡곤란, 청색증, 연하장애, 천명 등이 나타나고 아주 드물지만 연하장애가 생길 수 있으나 소아의 경우 폐감염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1) 대부분 단발성이고 내부에는 맑은 액체나, 드물게 출혈성 삼출물 혹은 공기를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도와 연결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드물지만, 연결이 있는 경우에는 박테리아가 들어와 감염이 잘 될 수 있다.5) 흉부 단순촬영과 전산화단층촬영이 가장 좋은 진단 수단이며 경부단순촬영이나 바륨 연하 검사(barium swallow study)는 어린이에 있어서 진단적 가치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낭종은 가중층섬모원주상피(pseudostratified ciliated columnar epithelium)로 싸여 있고 장액점액성 샘과 평활근과 연골을 가진 섬유혈관성 결합조직(fibrovascular connective tissue)을 포함한다. 이차 감염에 의해 편평화생(squamous metaplasia)이 생기거나 완전히 미란(erosion) 되어 감별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6) 심부구조와 연결을 가진 경우는 드물지만 몇례가 보고되었다.7) Gessendorfer는 후하부 목삼각에 피하조직에 위치한 기관지원성 낭종에 대하여 보고한바 있으며 이는 첫째 늑골과 쇄골하동맥에 쇄골의 결손부를 통한 관을 통해 강하게 유착되어 있었다.7)
   소아에 있어서는 점차적인 종괴의 성장과 이에 따른 종격동의 압박을 방지하기 위해 수술적 제거가 필요하며8)9) 성인에 있어서도 폐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흔히 기관낭종루(bronchocystic fistula)가 생기므로 반드시 절제가 필요하다.9) 일부에서 경기관지(transbronchial) 또는 종격동경하 세침흡인 감압술(mediastinoscopic needle decompression)을 통한 보존적 치료가 언급되었으나 수술적 제거가 최선의 치료이며 흡인술(aspiration)은 별로 이득이 없다.10) 완전 적출후 예후는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부갑상선 종양은 단일 선종이 81%, 양측 선종은 6%, 다발성 부갑상선 증식증은 10%, 암종은 1%이하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전산화단층활영의 경우 대부분의 부갑상선 선종은 조영 증강을 보이는 경계가 분명한 종괴로 나타난다.12) 부갑상선 종양은 대부분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을 동반하나 그 결과 나타나는 고칼슘혈증에 의한 임상증상은 매우 비특이적이어서 다른 질환들과의 감별이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다.13) 부갑상선 종양에 있어서는 수술시 종양이 발견된 부갑상선 이외의 나머지 부갑상선의 종대 유무를 수술장에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수술의 범위가 확대된다.14)
   본 증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갑상선 부위에는 고식적인 종양 뿐만 아니라 폐외에서 생긴 기관지원성 낭종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감별 진단에 포함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를 술전 혈청 칼슘과 부갑상선 호르몬 검사와 영상진단을 통하여 감별하거나 혹은 술중 냉동절편검사를 통해 감별진단 함으로써 종괴이외의 부갑상선을 확인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 없어져 수술 범위와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고 또한 반회후두신경의 손상에 의한 수술 합병증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일단 기관지원성 낭종으로 진단이 된 경우 심부조직과의 연결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완전적출로 치료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REFERENCES

  1. Baxter SG, Meakins JF. Developmental bronchial cysts. Ann Intern Med 1953;38:967-80.

  2. Barsotti P, Chatzimichalis A, Massard G, Wihlm JM. Cervical bronchogenic cyst mimicking thyroid adenoma. Eur J Cardiothorac Surg 1998;13:612-4.

  3. Chae SW, Choi G, Choi CS, Kim AR. Bronchogenic cyst presenting as an anterior neck mass. Korean J Otolaryngol 2000;43:1372-4.

  4. Kim SC, Seok SR, Cho JS, Ahn HY. A case of paralaryngeal bronchogenic cyst. Korean J Otolaryngol 1993;26:1378-83.

  5. Yerman HM, Holinger LD. Bronchogenic cyst with tracheal involvement. Ann Otol Rhinol Laryngol 1990;99:89-93.

  6. Rapado F, Bennett C, Stringfellow M. Bronchogenic cyst: an unusual cause of lump in the neck. J Laryngol Otol 1998;112:893-4.

  7. Gessendorfer H. Cervical bronchial cyst. J Pediatr Surg 1973;8:435.

  8. Ribet M, Copin M, Gosselin B. Bronchogenic cysts of the mediastinum. J Thorac Cardiovasc Surg 1995;109:1003-10.

  9. Ginsberg RJ, Atkins RW, Paulson DL. A bronchogenic cyst successfully treated by mediastinoscopy. Ann Thorac Surg 1972;13:266-8.

  10. Naunheim K, Andrus CH. Thoracoscopic drainage and resection of giant mediastinal cyst. Ann Thorac Surg 1993;55:156-8.

  11. Boonstra CE, Jackson CE. Hyperparathyroidism detected by routine serum calcium analysis: prevalence in al clinic population. Ann Intern Med 1965;63:468.

  12. Stark DD, Gooding GA, Moss AA, Clark OH, Ovenfors CO. Parathyroid imaging: comparison of high-resolution CT and high-resolution sonography. Am J Roentgenol 1983;141:633-8.

  13. Shim YS, Lee YS, Kwon SU, Lee BC, Seong MS, Lee SS, et al. A clinical study of parathyroid gland tumors. Korean J Otolaryngol 2000;43:1116-21.

  14. Wang CA. Surgical management of primary hyperparathyroidism. Curr Probl Surg 1985;22:1-50.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