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4(5); 2001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1;44(5): 549-552.
Two Cases of Jugular Phlebectasia.
Hyung Ro Chu, Sun Mo Yang, Jin Hyung Kim, Jin Hak Cho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Chunchon, Korea. hrchu@netsgo.com
경정맥확장증 2예
주형로 · 양선모 · 김진형 · 오원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주제어: 정맥확장증경정맥.
ABSTRACT
Anterior or lateral neck mass that appears on straining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laryngocele, jugular phlebectasia and superior mediastinal cysts or masses. The most common cause of aneck masses which that appears on straining is alaryngocele. The jugular phlebectasia may present itself in a similar manner, although it occurs rarely. The cause of the jugular phlebectasia is unclear. The diagnosis is made on a clinical basis and confirmed by the less invasive radiological technique. No treatment is indicated because of its self-limiting, benign condition. However, the surgical removal is needed for cosmetic purposes by a unilateral excision of the jugular vein. We experienced two cases of jugular phlebectasia, one anterior and the other internal. One case of The anterior jugular phlebectasia was successfully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and the other case of internal jugular phlebectasia was treated conservatively.
Keywords: PhlebectasiaJugular vein

교신저자:주형로, 200-704 강원도 춘천시 교동 153번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전화:(033) 252-9970 · 전송:(033) 241-2909 · E-mail:hrchu@netsgo.com

서     론


   정맥확장증(phlebectasia)은 정맥의 고립된 낭형 혹은 방추상 확장을 이르는 말로 1928년 Harris가 선천성 정맥 낭종(congenital venous cyst)이라고 보고한 이후 다양한 이름으로 보고되어 왔다.1) Valsalva법, 기침과 재채기 등에 의하여 흉곽내압이 증가할 때 나타나는 경부 종물의 가장 흔한 원인은 후두기종이지만 그 외에 감별하여야 할 질환 중 하나가 정맥확장증이다.1)2) 정맥확장증은 내경정맥에 가장 흔하며 외경정맥, 전경정맥, 안면정맥과 표재성 경부정맥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3)4)5) 이 질환은 양성 자가 국한성(benign self-limiting) 질환으로 대개는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6)7) 따라서 불필요한 수술을 피하기 위해서는 이 질환을 감별진단에 포함하여 적절한 진단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경부종물로 내원하여 Valsalva법 하에 조영증강 경부 전산화단층활영으로 진단 후 미용상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전경정맥확장증 1예와 보존적 치료를 한 우측 내경정맥확장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증  례 1:
   46세 여자 환자로 3년 전부터 힘을 줄때 나타나는 전경부의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10년 전부터 당뇨로 경구 혈당강하제를 복용하고 있었다. 이학적 검사상 상부호흡기에 이상소견 없었으며 Valsalva법을 하면 갑상연골 부위에 무통성의 낭성 종물이 관찰되었다(Fig. 1). Valsalva법 하에 조영증강 경부 전산화단층촬영 시행하여 전경정맥의 확장소견을 확인하였다(Fig. 2). 전경정맥확장증으로 진단 후 보존적 치료를 권하였으나 종물이 터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과 미용적 교정을 원하여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전신마취 하에 경부에 횡절개를 가하고, 활경근(platysma) 심부에서 주위조직과 유착되어 있는 전경정맥을 확인하고 근위부와 원위부 혈관을 결찰한 후 주위 연조직과 함께 절제하였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는 정맥벽이 얇아지고 확장된 소견이 관찰되었다(Fig. 3). 환자는 재발이나 합병증 소견 없이 술 후 7개월째 추적관찰 중이다.

증  례 2:
   6세 남자 환자로 6개월 전부터 힘을 주면 나타나는 우측 경부 종물을 주소로 본원 소아과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과거력상 특이소견이나 경부 외상의 병력은 없었으며 상부호흡기 증상이나 경부의 통증도 호소하지 않았다. 청진상 심잡음이나 호흡음에 이상소견은 없었다. 종물은 정상 호흡시에는 만져지지 않았으며 Valsalva법을 시행하였을 때 3×4 cm의 부드럽고 무통성이며 압축 가능한 낭성 종물이 우측쇄골 위쪽에서 흉쇄유돌근의 전내측을 따라 촉지되었다(Fig. 4). 소아과에서 폐첨(cupula of the lung)의 과도팽창(hyperinflation) 및 폐기종 의심하여 흉부 및 경부 단순방사선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이상소견이 발견되지 않아 이비인후과로 의뢰되었다. Valsalva법 하에 조영증강 경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우측 내경정맥확장증 진단 하에 8개월간 추적관찰 중으로 이상소견이나 크기의 변화는 보이지 않고 있다(Fig. 5).

고     찰

   정맥확장증은 정맥의 비정상적인 방추상 또는 낭형 확장으로, 단지 정맥의 확장과 사행성(tortuosity)만을 나타내는 정맥류와는 구분된다.8) 모든 정맥계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경부에서는 내경정맥이 가장 흔하며 외경정맥, 전경정맥, 안면정맥, 표재성 경부정맥 및 그들의 교통정맥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3) 기침, 재채기, Valsalva법과 같은 흉곽 내압을 올리는 행위시에 경부에서 나타나는 종물로는 상부 종격동의 종양 또는 낭종, 후두기종, 정맥확장증, 폐첨의 과도팽창 등을 생각할 수 있다.1) 이러한 경우 가장 중요한 특징은 환자가 안정시에는 종물이 사라진다는 것이다.9)10)11) 이에 반하여 해면성 혈관종, 낭포성 히그로마, 갑상선 종물 또는 낭종, 유피낭종, 갑상설관낭종, 새성낭종, 경부 림프절염, 전이성 경부 림프절 등의 경부 종물에서는 흉곽내압 상승에 따른 크기 변화가 없는 것이 다른 점이다.1)12) 정맥확장증의 남녀 비는 약 1.3:1이며 내경정맥확장증의 경우 우측이 좌측에 비하여 6:1의 비율로 흔하다.6) 대부분 10세 이하의 소아에서 발견되며 성인에서는 좌측에 호발하는 양상을 보인다.7) 절제한 정맥은 병리조직학적으로 혈관벽이 얇아지고 팽창되는 소견을 보이며 탄력섬유층의 감소나 결합조직의 비후를 보이기도 한다. 드물게 확장된 혈관부위에 혈전증이 관찰되는 경우도 있다.13)14)
   원인은 대부분 특발성이라고 생각된다. 가능한 원인으로는 내경정맥에 대한 경부하부의 쇄골, 폐, 굴곡된 대동맥 등의 압박과 그 이외에 상부종격동의 방사선조사, 전사각근(scalenus anterior)에 의한 압박, 내경정맥의 중복, 외상 등이 제시되고 있으며 발병 연령이 10세 미만이라는 점으로 미루어 정맥벽 자체의 선천적 결함도 원인으로 추정할 수 있다.9)10)11)
   진단은 조영제를 이용한 경피적 정맥촬영술(percutaneous contrast venography), 디지탈 감쇄혈관조영술(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등의 침습적 방법으로 확장된 정맥을 확인할 수 있으나 시술상의 어려움과 합병증으로 그 이용이 감소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침습적인 방법인 초음파나 전산화단층촬영이 사용된다. 초음파검사는 특히 소아에서 유용한 검사법으로 병변부와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정맥촬영술과 그로 인한 시술상의 합병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추적관찰 방법으로 용이하여 가장 유용하게 사용된다.15)16) Valsalva법 시행 전후로 나누어 초음파 검사를 시행했을 때 Valsalva법 시행후에 경정맥의 내경이 2배이상 낭형으로 커지며 그 부위에서 color doppler를 이용하여 정맥혈류를 확인할 수 있다. 조영증강 경부 전산화단층촬영은 주위 연부조직 및 혈관 병변을 구분하고 수술적 절제에 도움을 주며 Valsalva법 시행 시에 경정맥의 내경이 뚜렷이 확장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12)15)16)
   치료는 양성 국한성 질환으로서 파열의 위험성이 없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환자를 안심시키고 보존적 치료를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소아나 여성에서 미용적 문제가 있는 경우, 압통성 병변인 경우, 크기가 커지는 경우, 혈전증이나 정맥염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정맥성 와류잡음이 심한 경우, 진단이 모호하여 확진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술적 절제술을 고려할 수도 있다.3)7) 가능한 수술 합병증으로는 미주신경, 횡격신경(phrenic nerve) 및 상완신경총 손상, 공기색전증, 정맥혈전증, 경동맥 손상 등이 있을 수 있다.3) 그러나 미용적인 문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 없으므로 이 질환을 조기에 의심하고 적절한 진단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저자들은 미용적 문제와 심리적 문제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은 전경정맥확장증 1예와 보존적 치료를 한 내경정맥확장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Zobar Y, Tovim RB, Talmi YP. Phlebectasia of the jugular system. J Cranio-Max-Fac Surg 1989;17:96-8.

  2. LaMonte SA, Walker EA, Moran WB. Internal jugular phlebectasia.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76;102:706-8.

  3. Mickelson SA, Spickler E, Roberts K. Management of internal jugular vein phlebectasia.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5;112:473-5.

  4. Jeon SY, Shin SO, Jung SH, Hwang EG. Differentiation of fluctuating neck mass-Internal jugular phlebectasia. Korean J Otolaryngol 1990;33:773-6.

  5. Hong SK, Kim CD, Park MH, Hong HJ. A case of bilateral internal jugular phlebectasia. Korean J Otolaryngol 1997;40:1348-51.

  6. Bowdler DA, Singh SD. Internal jugular phlebectasia.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1986;12:165-71.

  7. Matsuba HM, Thawley SE, Smith PG. Internal jugular phlebectasia. Head & Neck Surg 1985;7:431-3.

  8. Gerwig WH. Internal jugular phlebectasia. Ann Surg 1952;135:130-3.

  9. Gendeh BS, Dhillon MK, Hamzah M. Bilateral internal jugular vein ectasia: A report of two cases. J Laryngol Otol 1994;108:256-60.

  10. Walsh RM, Murty GE, Bradley PJ. Bilateral internal jugular phlebectasia. J Laryngol Otol 1992;106:753-4.

  11. Lipshutz SN, Rubin MH. External jugular phlebectasia. Arch Surg 1960;80:571-3.

  12. Som PM, Shugar JMA, Sacher M, Lanzieri CF. Internal jugular vein phlebectasia and duplication: CT features. J Comput Assist Tomogr 1985;9:390-2.

  13. Yokomori K, Kubo K, Kanamari Y, Takemura T, Yamamoto T. Internal jugular phlebectasia in two siblings: manometric and histopathologic studies of the pathogenesis. J Pediatr Surg 1990;25:762-5.

  14. Danis RK. Isolated aneurysm of the internal jugular vein: A Case report of three cases. J Pediatr Surg 1982;17:130-1.

  15. Leung A, Hampson HB, Carr D. Ultrasonic diagnosis of bilateral congenital venous aneurysms. Br J Radiol 1983;56:588-91.

  16. Steven RK, Fried AM, Hood TR. Ultrasonic diagnosis of jugular vein aneurysm. J Clin Ultrasound 1982;10:85-7.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2,911
View
24
Download
Related articles
A Case of Internal Jugular Vein Thrombosis  1996 ;39(11)
Two Cases of Congenital Choanal Atresia  1996 ;39(4)
3 Cases of Cricopharyngeal Achalasia  1996 ;39(2)
Two Cases of Tuberculous Otitis Media  1996 ;39(2)
Two Cases of Nasolabial Cyst  1995 ;38(5)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