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2(10); 1999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9;42(10): 1244-1250.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poptosis, and Apoptosis Inhibition in Inverted Papillomas.
Byoung Joon Baek, Cheon Hwan Oh, Chang Jin Kim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honan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Chonan, Korea. bjbaek@sparc.sch.co.kr
2Department of Pathology, Chonan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Chonan, Korea.
반전성 유두종에서 상피세포 증식과 아포토시스 및 아포토시스 억제
백병준1 · 오천환1 · 김창진2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천안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1;병리학교실2;
주제어: 반전성 유두종Ki-67 지수아포토시스 지수Bcl-2 지수.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Inverted papillomas (IPs) are rare benign tumors of nasal epithelium with high recurrence rates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potential. Tumor development results from imbalance between cell proliferation and "programmed cell death", also named apopt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ell proliferation, apoptosis, and apoptosis inhibition in hyperplastic epithelium from IPs and nasal polyps (NPs), and also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growth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of IPs.
MATERIALS AND METHODS:
IP samples were obtained after surgical removal of tumor in 15 patients, and NPs were sampled during endoscopic sinus surgery in 7 patients as a control. IP samples were classified in three groups: group I (n=9) -IP without dysplasia or carcinoma, group II (n=3) -IP with dysplasia, group III (n=3) -IP with carcinoma.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hibition, respectively, were assessed by immunohistochemical identification of the Ki-67 and the oncoprotein Bcl-2. Apoptosis was evaluated by analyzing the DNA fragmentation using TUNEL method.
RESULTS:
Ki-67 index was increased in IPs compared to NPs (p=0.001). Of the IPs, Ki-67 index was increased progressively from IP without dysplasia or caccinoma, through IP with dysplasia, to reach the highest level in IP with carcinoma. Apoptotic index was also increased in IPs (p=0.002) with the highest level in IP without dysplasia or carcinoma. Of the IPs, apoptotic index was decreased as the tumor progress. Bcl-2 index was decreased in IPs (p=0.004), but, of the IPs, as the tumor progress, bcl-2 index was more decreased.
CONCLUSION:
Tumor development of IPs could result from the imbalance between hugely increasing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slightly increasing apoptosis, and the inhibition of apoptosis via bcl-2 oncoprotein seems to be involved in the growing process of IPs. Although we can not exactly mention due to limited number of cases, these imbalance may be involved in dysplastic or malignant transformation of IPs, but may be independent of the expression of bcl-2.
Keywords: Inverted papillomaKi-67 indexApoptosis indexBcl-2 index
서론 반전성 유두종은 비강과 부비동에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는 양성 상피 종양이지만 임상적으로 국소 침윤, 비교적 높은 재발율, 악성종양 동반, 악성 전환 등의 특징을 갖고 있어 수술 후에도 주기적이고 세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한 질환이다. 반전성 유두종에 관해 지금까지 여러 연구가 행해져 왔으나 그 성장과 악성변화로의 기전에 관해서는 충분히 알려진 바가 없다. 종양(tumor)의 형성은 세포 증식과 아포토시스(apoptosis)라는 예정된 세포 사멸과의 불균형의 결과로 나타남이 제시되어져 왔고1) 세포 증식과 아포토시스는 많은 모델에서 발암과정의 기전으로도 알려져 왔다.2) 조직이나 종양의 증식 능력(proliferative activity)은 세포주기(cell cycle)에 속한 세포의 수를 나타내는 성장분획(growth fraction)과 세포주기를 마치기까지 걸리는 시간에 의해 결정되어지며 이러한 증식 능력을 알아보기위한 표지자로서 3H-thymidine 혹은 bromodeoxyuridine incorporation, DNA 유세포분석, AgNOR, 증식핵항원(PCNA), Ki-67 등이 있고 특히 Ki-67의 발현정도를 전암단계와 악성종양의 예들을 비교하거나3) 여러 종양에서 예후인자로서 비교한 경우도 있다.4)5) Ki-67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위해서는 동결절편을 이용하여 왔으나 최근 Ki-67 유전자 산물에 대한 MIB1 단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파라핀 포매 조직에서도 염색이 가능하게 되었다.6) 아포토시스란 유전자 지배를 받는 세포 자신의 자살과정으로 Kerr 등7)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된 이후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아포토시스는 여러 종류의 세포 외적 및 내적 요소에 의해 개시되며 배자형성(embryogenesis), 정상 조직의 교체(turnover), 면역계의 발달과 방어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아포토시스를 인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겔 전기영동에서 DNA laddering 현상을 관찰하는 것이지만 이것은 조직의 특정 세포에 국한되어 발생되는 아포토시스는 관찰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조직의 형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아포토시스를 관찰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소개되었으며 이 중에서 in situ TDT(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즉 TUNEL 방법9)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Bcl-2(B-cell leukemia/lymphoma-2) 유전자는 18번째 염색체에 위치하는 원종양 유전자(proto-oncogene)로서 여포상 림프종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아포토시스를 억제함으로서 세포사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0) Bcl-2 유전자 산물인 bcl-2 단백은 분자량이 25 kD이며 미토콘드리아의 막, 핵막, 내형질세망에 존재하며 혈액종양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종양에서 그 발현이 보고되어 왔으나11-13) bcl-2가 아포토시스와 연관되어진 종양의 발생기전에 대해서는 학자들 마다 연구결과가 다르다. 이에 저자들은 반전성 유두종과 대조군으로 반전성 유두종과 같이 비강 점막에서 기원하며 부분적으로 상피세포의 과증식이 나타나나 임상적 양상이나 예후적인 면에서 반전성 유두종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비용의 상피에서 상피세포 증식과 아포토시스 및 아포토시스 억제와의 관계를 관찰함으로써 반전성 유두종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1990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까지 9년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천안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에서 조직검사로 진단된 반전성 유두종 중 조직의 재검토가 가능하고 파라핀 블록이 충분한 15예와 대조군으로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시 채취한 비용조직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반전성 유두종 중 이형증(dyspalsia)이나 악성종양 동반이 없는 군을 Ⅰ군(9예), 이형증 동반 군을 Ⅱ군(3예), 악성종양 동반 군을 Ⅲ군(3예)으로 하였으며 연령분포는 29∼68세로 평균연령은 52.2세였고 성별은 남자 11예, 여자 4예였다. 연구재료는 보관상태가 양호한 조직을 각각 5 μm 두께로 6개의 연속절편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방법 Ki-67의 검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채취된 조직의 절편을 60℃ 오븐에서 녹인 후 슬라이드에 부착시키고 xylene으로 탈파라핀 시켰다. 조직내 항원을 표출시키기 위하여 함수된 조직을 1 mM citrate buffer(pH 6.0)에 넣고 10분간 microwave oven내에서 끓였다. 그 후 증류수로 3회 수세 후 내인성 과산화 효소(endogenous peroxidase)의 반응성을 억제하기 위해 메타놀로 3% 과산화수소 용액을 만들어 조직을 30분간 반응시켰다. 비특이적 단백 반응을 없애기 위해 blocking serum(UltraTech HRP kit, Immunotech S.A., Marseille Cedex, France)을 10분간 반응 시킨 후 일차항체로 Ki-67에 대한 MIB-1 단클론 항체(Immunotech S.A., Marseille Cedex, France)를 1:50으로 희석하여 상온에서 2시간 처리한 후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로 세척하고 biotin과 결합된 이차항체(UltraTech HRP kit, Immunotech S.A., Marseille Cedex, France)를 20분간 반응시켰다. PBS 세척 후 streptavidin peroxidase를 상온에서 20분간 처리 후 다시 PBS로 세척하고 DAB(3, 3’-diaminobenzidine tetrahydrochloride, Ultratech DAB chromogen kit)로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켜 발색한 후 hematoxylin(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으로 대조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판독 염색된 조직표본을 저배율(100배 시야)에서 염색이 잘 된 부위 3∼5군데를 선정한 후 고배율(400배 시야)에서 약 1,000개의 세포를 세어 핵내 뚜렷하게 적갈색의 과립형으로 염색된 세포수의 백분율을 구하고 이들의 평균값으로 Ki-67의 지수(index)로 하였다. 관찰부위는 이형증이나 악성종양이 동반된 반전성 유두종의 경우는 이들이 동반된 부위에서 지수를 구하였고 조직괴사 부위는 제외하였다. 아포토시스체(apoptotic bodies)의 검출 in situ TdT-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TUNEL) 방법 채취된 조직의 절편을 유리 슬라이드에 부착시키고 60℃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xylene과 계열에탄올로 탈파라핀 및 함수과정을 거친 후 PBS로 세척하였다. 그 후 조직 절편내의 단백질을 소화시키기 위해 proteinase K(20 μg/ml)로 37℃에서 20분간 처리한 후 내인성 과산화 효소의 차단을 위해 3% 과산화수소 용액에 1시간 처리하여 PBS로 세척하였다. 그후 In Situ Cell Death Detection, POD kit(Boehringer Mannheim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였다. 즉 DNA 편절의 끝에 붙어 있는 3’-OH기를 표지(label)시키기 위해 PBS로 처리 후 TdT(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효소와 fluorescein이 부착된 nucleotide를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다음 PBS로 세척하고 anti-fluorescein-peroxidase를 가하여 37℃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그 다음 PBS로 수세하고 DAB(3, 3’-diaminobenzidine tetrahydrochloride)로 10분간 실온에서 발색시킨 후 methyl green으로 대조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염색의 판정은 고배율(400배 시야)하에서 핵이 농축되거나 핵분절을 보이면서 진한 갈색으로 염색된 세포를 양성으로 하였으며 아포토시스 지수(apoptotic index)는 Ki-67과 같은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Bcl-2의 검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일차항체로 Bcl-2에 대한 단클론항체(clone 124, Signet Lab. Inc., Dedham, USA)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고 그 방법은 Ki-67에 대한 염색과 동일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인체의 편도조직을 이용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은 일차항체 대신 생리식염수를 사용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한 것으로 하였다. 염색의 판정은 세포의 세포질에 과립상의 갈색으로 염색되는 것을 양성으로 하였으며 Bcl-2 지수는 Ki-67과 같은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통계학적 검증 통계분석은 SPSS 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non-parametric Kruskal-Wallis test를 시행하였으며 사후 분석을 위해 모수적 방법인 ANOVA test를 시행한 후 Duncan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각 군간의 유의성 검정을 시행하였고, 각 지수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검정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를 의미있는 것으로 하였다. 결과 Ki-67 발현 비용조직에선 상피의 기저층(basal layer)에서 주로 발현되었고 반전성 유두종군의 경우 기저층과 기저상층(suprabasal layer)에서 발현되었다(Figs. 1A and B). 반전성 유두종군의 Ki-67 지수는 9.3∼34.1%까지 넓은 분포를 보였고 평균은 19.53±8.81%였으며, 비용조직에서의 Ki-67 지수는 4.7∼9.7%까지 분포하였고 평균 6.66±1.77%로 반전성 유두종군에서 Ki-67 지수가 비용조직에 비해 약 3배정도 높았다(p<0.05). 반전성 유두종군의 경우 Ki-67 지수는 Ⅰ군의 경우가 가장 낮았고 Ⅱ, Ⅲ군으로 갈수록 높았으며 Ⅰ군과 Ⅲ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Table 1). 아포토시스체 발현 반전성 유두종군과 비용조직 모두 기저상층과 선단층(apical layer)에서 발현되었다(Figs. 2A and B). 반전성 유두종군의 아포토시스 지수는 0.9∼3.4%까지 분포하였고 평균은 1.62±0.56%였으며, 비용조직에서의 아포토시스 지수는 0.4∼1.5%까지 분포하였고 평균 0.86±0.21%로 반전성 유두종군에서 비용조직에 비해 높았다(p<0.05). 반전성 유두종군의 경우 아포토시스 지수는 Ⅰ군의 경우가 가장 높았고 Ⅱ군 Ⅲ군으로 갈수록 낮았으며 각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Table 1). Bcl-2 발현 비용조직에선 상피의 선단층에서 주로 발현되었으며 반전성 유두종군의 경우 상피 전층에 걸쳐 불규칙하게 발현되었다(Figs. 3A and B). 반전성 유두종군의 Bcl-2 지수는 0∼4.4%까지 분포하였고 평균은 1.32±1.21%였으며, 비용조직에서의 Bcl-2 지수는 1.4∼5.6%까지 분포하였고 평균 3.16±1.27%로 비용조직에서 반전성 유두종군에 비해 높았다(p<0.05). 반전성 유두종군의 경우 Bcl-2 지수는 Ⅰ군의 경우가 가장 높았고 Ⅲ군에서는 0로 Ⅰ군과 Ⅲ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Table 1). Ki-67 지수와 아포토시스 지수, Bcl-2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보기위해 Pearson 상관 분석상 반전성 유두종의 Ⅰ군에서만 Ki-67 지수와 아포토시스 지수간에 r=0.87(p=0.011)로 상관 관계가 있었고 그 외에서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Table 2). 고찰 종양의 발생기전을 설명하는 데 있어 그 동안은 주로 세포의 증식에 관심을 갖고 연구되어져 왔으나 최근들어 아포토시스에 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러한 세포증식과 아포토시스간의 불균형이 종양형성 및 다양한 형태의 질병을 유발하는 병인으로 제시되어져 왔으며 본 연구에서도 상피세포 증식과 아포토시스간의 불균형이 반전성 유두종의 생성에 관여하며 이형증이나 악성종양에서는 이런 불균형이 더욱 심화된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종양세포들의 증식 능력을 평가하여 종양의 성장을 간접적으로 알기위한 여러 가지의 표지자 중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에 의한 증식세포의 측정은 간단하고 조기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세포주기를 관찰하는 연구가 과거에는 신선한 조직을 이용한 동결절편에만 염색을 시행할 수 있었으나 최근의 분자생물학적 기법의 발달로 파라핀 포매조직에서도 염색이 가능하게 되었다. 최근 이러한 세포의 증식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anti-ribonunucleotide reductase, anti-DNA plymerase α, PCNA, Ki-67 항체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 중 Ki-67 항체는 세포주기 중 후기 G1기, S, G2, M기에 발현하는 비히스톤성 단백인 345와 395 kD의 핵항원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 항원은 G0기에서는 발현되지 않으므로 종양세포의 증식능을 간편하고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Ki-67은 종양조직에서 뿐만이 아니고 편도의 배중심(germinal center), 상피의 기저세포(basal cell), 고환의 미분화된 정조세포(undifferentiated spermatogonia), 말초혈액 임파구 등 정상조직에서도 관찰된다.14) Guichard 등15)은 반전성 유두종에서 Ki-67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비용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고 하였고 후두부 질환을 대상으로 연구한 Silvestri 등3)은 정상 조직에 비해 이형증, 악성종양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고 하였으며, 다른 조직을 대상으로 연구한 저자들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고,2)3) 본 연구에서도 비용에 비해 반전성 유두종군에서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이형증이나 악성종양으로 갈수록 더욱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 한편 Coste 등16)은 DNA 유세포분석과 PCNA를 이용하여 상피세포의 과증식이 비용의 형성에 기여한다고 하면서 비용에 존재하는 염증세포들에 의해 손상받은 상피세포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이차적으로 상피세포 증식이 일어나거나 혹은 염증세포에서 분비되는 여러 가지 성장인자들에 의해 상피세포의 과증식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반전성 유두종에서 나타나는 상피세포 과증식의 원인에 대하여는 HPV의 E 6 유전자가 자연형 p53과 결합하여 이를 분해시킴으로써 아포토시스를 억제하여 세포증식이 일어난다고 한 보고이외에는 아직 확실히 알려진 바가 없으며 더욱이 상피세포가 기저막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기질내로 반전증식하는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일반적으로 모든 세포들은 항상성의 유지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 세포의 증식과 사멸간의 균형이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균형의 부조화는 다양한 형태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겠고 최근에는 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자가면역 질환, 신경변성 질환 및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등과 같은 여러 질환에서 세포생존과 관련된 아포토시스가 중요한 병인임이 밝혀졌다.17) 아포토시스란 또 다른 세포사멸의 한 형태인 세포 괴사(necrosis)와는 달리 예정되고 조절된 세포자신의 파괴 과정이며 이는 아주 다양한 조절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진화적으로 유지되어온 세포자살 기전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아포토시스의 형태학적 변화는 세포괴사와는 달리 세포의 수축, 핵막 주위로 농축된 염색질의 응집, 핵분절, 세포막의 농포(membrane blebbing) 등의 과정을 거쳐 세포질과 분절된 핵 그리고 단단히 충전된(tightly packed) 소기관으로 구성된 아포토시스체(apoptotic body)가 형성되며 이 아포토시스체는 주위의 실질세포나 대식세포에의해 포식되어지고 주위조직에 염증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을 이용하여 아포토시스체를 검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으나 최근에 개발된 TUNEL 방법이 조직내에서 아포토시스체를 검색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TUNEL 방법은 아포토시스 과정에서 nucleosome 사이에 있는 분절된 DNA에 3`-OH end가 있는 점에 착안하여 biotinylated nucleotide가 TdT의 작용에 의해 3`-OH end에 결합하고 여기에 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를 결합시켜 DAB로 발색하여 조직 내에서 특정세포의 분절된 DNA를 관찰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조직내의 특정 세포에서 국한되어 발생하는 아포토시스를 관찰할 수 있고 형태학적으로는 정상으로 보이지만 아포토시스의 초기에 해당하는 DNA 분절을 가진 세포들도 검색이 가능하다. Ishida 등18)은 위(stomach)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아포토시스 지수가 정상 이나 만성 위염의 점막에 비해 이형증을 동반한 선종(adenoma)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 암에 비해서도 높은 양상을 보였다고 하였고, 구인두와 구강을 대상으로 한 Birchall 등,19) 대장직장을 대상으로 한 Kikuchi 등2)도 정상이나 암 조직에 비해 이형증이나 선종에서 아포토시스 지수가 높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비용조직에 비해 반전성 유두종군(Ⅰ군+Ⅱ군+Ⅲ군)에서 아포토시스 지수가 의미있게 높았으며 반전성 유두종군 중에선 이형증이나 악성종양을 동반한 군에 비해 동반하지 않은 군에서 높게 나타나 이들의 결과와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반전성 유두종을 대상으로 연구한 Guichard 등15)은 악성종양 동반군에서 동반하지 않은 군보다 아포토시스 지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와 다른 소견을 보이나 이는 증례 부족과 사용한 염색 방법의 차이에 의한 판독상의 결과 차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형증이나 악성종양을 동반하지 않은 Ⅰ군의 경우 상피세포 증식의 증가율이 아포토시스의 증가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세포증식의 증가에 따라 아포토시스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손상받은 세포나 체내 불필요한 세포를 제거하는 아포토시스의 기능이 어느 정도는 유지되어 세포증식의 제한이 일어남을 시사하는 소견이라 할 수 있겠고 반전성 유두종이 비교적 서서히 자라나는 종양임을 뒷받침하는 소견이라 할 수있겠다. 한편 이형증, 악성종양의 경우 Ⅰ군에 비해 의미있는 세포증식의 증가가 있었으나 아포토시스는 오히려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이형증이나 악성종양에서는 상피세포 증식과 아포토시스간의 심한 불균형이 나타남을 알 수 있겠고 이런 불균형이 이들 질환의 형성 기전에 관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세포에서 아포프토시스가 유도될 때에는 bcl-2, c-myc, p53, apo-1/fas 등과 같은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감되거나 이들 유전자관련 단백질의 합성이 증감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중 bcl-2 유전자는 Caenorhabditis elegans에 존재하는 anti-apoptotic ced-9 유전자의 포유류 상동물(mammalian homolog)로서 B세포 여포상 림프종에서 처음 기술되었는데 bcl-2 유전자가 위치한 염색체 18번의 일부가 14번 염색체 일부와 전위되어 면역 글로부린 중쇄유전자가 존재하는 부분과 근접해지면서 비정상적으로 많은 bcl-2 단백물질을 생성하여 아포토시스를 억제함으로서 세포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Bcl-2의 기능은 bcl-2 family인 다른 단백질에 의해 조정되어지는데 즉 bax, bad는 bcl-2의 활동을 억제시켜 아포토시스를 촉진시키고 bcl-xl은 bcl-2의 활동을 증가시켜 아포토시스를 억제한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bcl-2 단백물질이 염색체 14 번과 18번의 전위에 의한 결과만이 아니며, 혈액종양 이외의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결장직장암(colorectal carcinoma) 등은 물론 정상적인 여러 조직에서도 발현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0) Sheu 등11)은 비인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bcl-2의 발현이 정상, 이형증, 암 순으로 높았으며 이것은 bcl-2가 아포토시스를 억제하여 비인두암의 다단계 발암과정 중 발생 초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임을 시사하는 소견이라 하였다. 그러나 Kikuchi 등2)은 아포토시스 지수가 용종, 암, 고등급 선종(high grade adenoma) 순으로 높았으며 bcl-2 지수도 용종, 암, 선종 순으로 높게 나타나 아포토시스의 억제에 bcl-2의 역할이 낮다고 하면서 다른 종류의 조절인자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기관상피를 대상으로 연구한 Trmnen 등12)도 화생(metaplasia)-이형증-암의 발생단계에서 아포토시스 지수와 bcl-2 지수간에 연관성이 없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용조직에 비해 반전성 유두종군(Ⅰ군+Ⅱ군+Ⅲ군)에서 아포토시스가 증가한 반면 bcl-2의 발현이 감소된 소견을 보여 bcl-2가 아포토시스를 억제하여 종양 형성에 관여한다고 할 수 있겠으나 반전성 유두종군 내에서는 이형증, 악성종양으로 갈수록 아포토시스 지수가 감소하면서 bcl-2 지수도 감소하여 이형증이나 악성 종양 동반시 아포토시스를 억제하는 물질로서의 bcl-2 역할은 낮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이형증이나 악성종양 동반시 아포토시스 지수와 bcl-2 지수간의 역설적인 관계에 대한 이유로는 아마도 종양이 진행되면서 bcl-2가 아닌 다른 인자에 의해 아포토시스가 조절되며 이로인해 종양의 계속적인 증식이 이루어 짐을 시사한다 하겠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보면 반전성 유두종의 생성은 과다하게 증가한 상피세포의 증식과 상대적으로 덜 증가된 아포토시스와의 불균형에 의한 결과로 생각되며 bcl-2에 의한 아포토시스 억제도 일부 종양형성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실험 대상군의 숫자가 적긴하나 반전성 유두종에서 이형증이나 악성종양의 전환시에도 이러한 세포증식과 아포토시스간의 불균형이 관여할 것이라고 생각되어지며 이때 아포토시스 조절에 bcl-2의 역할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추후 임상적 자료와의 연관성 및 세포증식이나 아포토시스를 조절하는 다른 인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REFERENCES
1) Bursch W, Oberhammer F, Schulte HR. Cell death by apoptosis and its protective role against disease. Trends Pharmacol Sci 1992;13:245-51. 2) Kikuchi Y, Dinjens WNM, Bosman FT.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proliferative lesions of the colon and rectum. Virchows Arch 1997;431:111-7. 3) Silvestri F, Bussani R, Pavletic N, Mannone T, Bosatra A. From epithelial dysplasia to squamous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region: Evolutive and prognostic histopathological markers. Acta Otolaryngol (Stockh) 1997;Suppl 527:49-51. 4) Yamanaka N, Harabuchi Y, Kataura A. The prognostic value of Ki-67 antigen in non Hodgkin lymphoma of waldeyer ring and the nasal cavity. Cancer 1992;70:2342-9. 5) Chung TK, Cheung TH, Wong FW, Wong YF. Ki-67 and AgNORs staining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A comparison. Gynecol Obstet Invest 1994;37:127-9. 6) Gerdes J, Becker MH, Key G, Cattoretti G. Immunohistological detection of tumor growth fraction (Ki-67 antigen) in formalin-fixed and routinely processed tissues. J Pathol 1992;168:85-6. 7) Kerr JFR, Wyllie AH, Currie AR. Apoptosis: A basic biological phenomenon with wide ranging implications in tissue kinetics. Br J Cancer 1972;26:239-57. 8) Fleisher TA. Apoptosis. Ann Allergy Asthma Immunol 1997;78:245-9. 9) Fehsel K, Kolb-Bachofen V, Kolb H. Analysis of TNF-αinduced DNA strand breaks at the single cell level. Am J Pathol 1991;139:251-4. 10) Tsujimoto Y, Finger LR, Yunis J, Nowell PC, Croce CM. Cloning of the chromosome breakpoint of neoplastic B cell with t (14:18) chromosome translocation. Science 1984;22:1097-9. 11) Sheu LF, Chen A, Meng CL, Ho KC, Lin FG, Lee WH. Analysis of bcl-2 expression in normal, inflamed, dysplastic nasopharyngeal epithelia, and nasopharyngeal carcinoma: Association with p53 expression. Human Pathol 1997;28:556-62. 12) Trmnen U, Nuorva K, Soini Y, Pkk P. Apoptotic activity is increased in parallel with the metaplasia-dysplasia-carcinoma sequence of the bronchial epithelium. Br J Cancer 1999;79:996-1002. 13) Flohil CC, Janssen PA, Bosman FT. Expression of bcl-2 protein in hyperplastic polyps, adenomas, and carcinomas of the colon. J Pathol 1996;178:393-7. 14) Gerdes J, Schwab U, Lemke H, Stein H. Production of a mouse monoclonal antibody reactive with a human nuclear antigen associated with cell proliferation. Int J Cancer 1983;312:13-20. 15) Guichard C, Gilain L, Samad IAA, Piron G, Brugel L, Escudier E, et al. Epithelial proliferation, apoptosis, and apoptosis inhibition in inverted papillomas. Laryngoscope 1998;108:716-20. 16) Coste A, Rateau JG, Bernaudin JF, Peynegre R, Escudier E. Nasal polyposis pathogenesis: A flow cytometric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cta Otolaryngol (Stockh) 1996;116:755-61. 17) Thompson CB. Apoptosis in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disease. Science 1995;267:1456-62. 18) Ishida M, Gomyo Y, Tatebe S, Ohfuji S, Ito H. Apoptosis in human gastric mucosa, chronic gastritis, dysplasia and carcinoma: Analysis by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biotin nick end labelling. Virchows Arch 1996;428:229-35. 19) Birchall MA, Winterfold CM, Allan DJ, Harmon BV. Apoptosis in normal epithelium, premalignant and malignant lesions of the oropharynx and oral cavity: A preliminary study. Eur J Cancer B Oral Oncol 1995;31B:380-3. 20) Lu Q-L, Poulsom R, Wong L, Hanby AM. Bcl-2 expression in adult and embryonic non-hematopoietic tissues. J Pathol 1993;169:431-7.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