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59(7); 2016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16;59(7): 547-550.
doi: https://doi.org/10.3342/kjorl-hns.2016.59.7.547
A Case of Nonfunctioning Parathyroid Cyst in the Mediastinum.
Hong Chan Kim, Seung Bum Kim, Sung Hoon Kang, Dong Hoon Lee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 Hwasun, Korea. leen3l@hanmail.net
종격동에 발생한 비기능성 부갑상선 낭종 1예
김홍찬 · 김승범 · 강성훈 · 이동훈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ABSTRACT
Parathyroid cysts, which are classified as either functioning or nonfunctioning, are rarely observed as neck masses, especially in the mediastinum. Herein, we present a 38-year-old woman with a nonfunctioning parathyroid cyst in the mediastinum. Physical and radiologic examinations of parathyroid cysts are not specific and preoperative diagnosis is usually difficult. Therefore,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parathyroid cysts occuring in the mediastinum mimick other more frequently observed lesions.
Keywords: CystsMediastinumParathyroid glands

Address for correspondence : Dong Hoon Lee, MD, Ph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 322 Seoyang-ro, Hwasun-eup, Hwasun 58128, Korea
Tel : +82-61-379-8190, Fax : +82-61-379-8199, E-mail : leen3l@hanmail.net


부갑상선 낭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주로 전경부에서 발견되며 드물게 종격동 및 흉선에서 발생할 수 있다.1,2,3) 부갑상선 낭종은 부갑상선 호르몬의 분비 유무에 따라 기능성과 비기능성 부갑상선 낭종으로 구분된다.1,2,3,4) 국내에서는 최근까지 전경부에서 발생한 2예의 비기능성 낭종이 보고되었다. 최근 저자들은 전산화단층촬영상 우연히 종격동의 비기능성 부갑상선 낭종을 발견하여,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38세 여자 환자가 어려서부터 반복적으로 발생한 편도선염의 수술을 위하여 본원에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특별한 기저 질환은 없었으며, 본원 흉부외과에서 2년 전에 좌측 폐상엽의 동정맥기형에 대하여 비디오 흉강경 수술을 시행받은 적이 있었다. 흉부외과 수술 당시 시행한 전산화단층촬영상 폐의 동정맥기형 외에 종격동에 3×2 cm 크기의 양성 낭종성 병변이 발견되었다(Fig. 1). 환자의 자각 증상이 없어서 동정맥기형에 대한 수술만을 시행한 후 주기적인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종격동의 낭성 종양은 크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환자는 전신 마취 하에 양측 편도 절제술을 시행하기로 하였고, 종격동의 종양에 대해서도 동시에 제거를 원하였다.
이학적 검사상 갑상선 및 경부에 만져지는 종물은 없었으며, 후두 내시경 검사상 양측 성대의 움직임은 정상이었다. 술 전 시행한 갑상선 기능 검사는 정상 범위였으며, 총 칼슘 및 이온화 칼슘, 이온화 인산도 정상이었다. 경부초음파검사상 종격동에 3.3×1.5 cm 크기의 경계가 분명한 낭종성 병변이 관찰되었다.
추가적인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하지 않았고, 흉선 낭종 의심 하에 수술적인 치료를 시행하였다. 전신마취 하에 흉골 상부에 피부 절개 후에 갑상선을 확인하였고, 주변을 박리하여 갑상선을 위로 젖힌 후 종격동으로 접근하였다. 수술 소견상 갑상선이나 부갑상선과는 구분되는, 경계가 분명하고 맑은 장액성 액체로 채워져 있는 낭종이 종격동에서 관찰되었다. 낭종은 주변조직과 유착 없이 잘 박리되었으며, 벽의 손상 없이 종양을 완전히 적출하였다(Fig. 2). 조직병리 소견상 낭종 내벽에 깨끗한 세포질(clear cytoplasm)을 가지는 부갑상선 주세포로 싸여있는 부갑상선 낭종으로 진단되었다(Fig. 3). 술 후 혈액 검사 및 후두내시경검사상 특이 소견은 없었다. 종격동 종양 술 후 5개월째, 흉부외과에서 동정맥기형의 추적을 위하여 시행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상 부갑상선 낭종의 재발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Fig. 4). 환자는 현재까지 특별한 이상소견 없이 외래 통원 치료 중이다.



부갑상선 낭종은 매우 드물어, 전체 부갑상선 질환 중 약 0.5%, 전체 경부 낭종 종물 중 약 1% 정도의 빈도로 발생된다.3,4,5) 부갑상선 낭종은 주로 전경부에서 많이 발생하며, 드물게 종격동 및 흉선 등에서도 발견되기도 한다.1,2,3) 본 증례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종격동의 부갑상선 낭종 환자이다. 비기능성 부갑상선 낭종은 주로 중년의 여성에서 호발하며, 기능성 부갑상선 낭종은 남자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1,2,3,4,5,6) 비기능성 부갑상선 낭종의 발생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3번째 또는 4번째 인두낭의 잔유물에서 유래된다는 가설이 받아들여지고 있다.1,2,4)
비기능성 부갑상선 낭종은 주로 무증상으로 이학적 검사나 다른 이유로 시행한 방사선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1,2,3,6) 또한, 갑상선 수술을 하다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1,3) 간혹 드물게 부갑상선 낭종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주위 조직을 압박함으로써 증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1) 종격동에 발생한 경우 기관과 식도를 압박하여 호흡곤란, 연하곤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드물게 반회후두신경을 압박하여 성대마비가 나타날 수 있다.1,2) 본 증례에서는 환자는 전혀 자각 증상이 없었으며, 흉부외과 수술을 위하여 시행한 전산화단층촬영상 우연히 발견된 경우이다.
부갑상선 낭종의 진단은 이학적 검사, 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핵의학 검사 등의 방사선 검사, 세침흡인검사, 조직 검사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1,2) 만약 촉진되는 부갑상선 낭종의 경우에는, 부드럽고, 유동성이며, 압통을 동반하지 않는 종물이 주로 하부 전경부에서 만져진다.1,7) 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등의 방사선학적 검사는 낭성과 고형성 종물 감별과, 종격동으로 확장여부 확인에는 도움이 되나, 이것이 갑상선 기원인지 부갑상선 기원인지 감별하기는 어렵다. 또한 경부의 다른 낭성 질환과도 정확한 감별이 어렵다.1,2,3,8) 본 증례에서도 초음파 검사와 수 차례의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나, 부갑상선 낭종의 가능성을 생각하지 못하였다. 부갑상선 스캔과 같은 핵의학 검사는 부갑상선 낭종에 기능성 부갑상선 조직이 있는 경우에만 양성으로 보이기 때문에 진단적 가치가 낮다.3) 현재까지 부갑상선 낭종의 진단에 가장 유용한 방법은 세침흡인검사로 알려져 있다.1,2,3) 세침흡인을 통해 맑고 투명한 액체가 흡인되는 경우 부갑상선 낭종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색깔이 있는 액체라도 완전히 부갑상선 낭종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1,2,3,5,9) 또한 흡인액에는 높은 parathyroid hormone 수치와 매우 낮은 thyroglobulin, calcitonin 수치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3) 따라서, 부갑상선 낭종은 갑상선 종양, 갑상설관 낭종, 새열낭종, 부갑상선 종양, 흉선 낭종 등과 감별해야 한다.1,3,5,6)
부갑상선 낭종의 치료 방법은 명확히 정해져 있지 않지만, 초기 치료로 가장 선호되는 방법은 단순 흡인 치료이다.1,2,3,5) 단순 흡인 치료의 성공률은 33%에서 92%로 보고되었으며,5,10,11) 치료 성공률이 이와 같이 크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성공에 대한 정의와 추적 관찰 기간의 차이로 생각된다.5) 초기 치료로 시행한 단순 흡인에 실패한 경우에는 반복적 흡인을 하거나, 테트라사이클린이나 에탄올을 이용한 경화 치료를 하거나, 수술을 하는 방법이 있다.1,2,3,5,10,11) 수술적 절제는 기능성 부갑상선 낭종이나, 재발한 비기능성 부갑상선 낭종, 또는 압박 증상을 동반한 비기능성 부갑상선 낭종 치료에 가장 좋은 방법이다.1,3,5) 본 증례에서는 술 전에 부갑상선 낭종의 가능성을 생각하지 못하였고, 전신마취 하에 편도 절제술을 계획하던 중에 수년간 가지고 있던 종격동 낭종 절제술을 같이 원하였기에 초기 치료로 바로 수술적인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는 타 과 검사에서 우연히 종격동에 발생한 낭종을 발견하였고, 편도 절제술과 동시에 수술적인 절제를 시행하여 술 후 병리조직검사에서 비기능성 부갑상선 낭종으로 확진된 예이다. 수술 전에 방사선학적인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부갑상선 낭종 가능성을 생각하지 못하였고, 부갑상선 낭종의 진단에 유용하다는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하지 않아 술 전 진단에 실패하였다. 그러므로, 부갑상선 낭종이 종격동에도 발생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으며, 부갑상선 낭종이 의심되었을 경우에는 세침흡인검사를 포함한 다양한 검사를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Pontikides N, Karras S, Kaprara A, Cheva A, Doumas A, Botsios D, et al. Diagnostic and therapeutic review of cystic parathyroid lesions. Hormones (Athens) 2012;11(4):410-8.

  2. Kim JH, Kim KS, Mun SK, Yang HS. Parathyroid cyst: a case report.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4;47(12):1307-10.

  3. Choi DI, Yim SH, Moon SY, Hong KH. Non functioning parathyroid cyst: a case report. Korean J Head Neck Oncol 2009;25:174-7.

  4. Witherspoon J, Lewis M. Parathyroid cysts: a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llenge. Br J Hosp Med (Lond) 2012;73(2):108-9.

  5. Sung JY, Baek JH, Kim KS, Lee D, Ha EJ, Lee JH. Symptomatic nonfunctioning parathyroid cysts: role of simple aspiration and ethanol ablation. Eur J Radiol 2013;82(2):316-20.

  6. Kaplanoglu V, Kaplanoglu H, Cılız DS, Duran S. A rare cystic lesion of the neck: parathyroid cyst. BMJ Case Rep 2013;2013. http://dx.doi. org/10.1136/bcr-2013-200813.

  7. Haid SP, Method HL, Beal JM. Parathyroid cysts. Report of two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 Surg 1967;94(3):421-6.

  8. Kato H, Kanematsu M, Kiryu T, Iwata H, Shirahashi K, Matsumoto S, et al. Nonfunctional mediastinal parathyroid cyst: imaging findings in two cases. Clin Imaging 2008;32(4):310-3.

  9. Clark OH. Parathyroid cysts. Am J Surg 1978;135(3):395-402.

  10. Ippolito G, Palazzo FF, Sebag F, Sierra M, De Micco C, Henry JF. A single-institution 25-year review of true parathyroid cysts. Langenbecks Arch Surg 2006;391(1):13-8.

  11. Shi B, Guo H, Tang N. Treatment of parathyroid cysts with fine-needle aspiration. Ann Intern Med 1999;131(10):797-8.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