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0(5); 199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7;40(5): 670-681.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2 and Angiogenesis in Human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Chong Nahm Kim, Sung Min Chung, Jung Ha Min, Sung Sook Kim, Min Young Kim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Department of Biochemistry, Hanhyo Institute of Technology, Seoul, Korea.
사람 후두의 편평 상피세포암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2,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2의 발현과 신생혈관형성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김종남1 · 정성민1 · 민정하1 · 김성숙2 · 김민영3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병리학교실2;한효과학연구소3;
ABSTRACT
The clinical staging systems for laryngeal cancer is limited as a prognostic indicator because of different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ancer in this region. To determin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ryngeal cancer and whether the matrix metalloproteinase-2(MMP-2),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2(TIMP-2) and angiogenesis can be used as prognostic indicators, the authors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MMP-2, TIMP-2 and factor VIII related antigen in 20 cases of surgically treat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ositive rates of MMP-2 and TIMP-2 expression in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were 55% and 95% respectively.(2) As the clinical stage was advanced, the expression of MMP-2 and TIMP-2 increased significantly(p=0.043, p=0.014).(3) The microvessel count(MVC) did not correlate with the clinical stage and histopathologic grading.(4) As the MVC increased, the expression of MMP-2 and TIMP-2 increased significantly(p=0.0004, p=0.0025). In conclusion, MMP-2 and TIMP-2 can be used as a prognostic indicator of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s MMP-2 increases, so does neovascularization. And as neovascularization increases TIMP-2 does also in order to inhibit it. Since TIMP is an expression of the host response to a tumor and this response is different in each tumor, studies on MMP, TIMP and angiogenesis in other tumors should also be encouraged.
Keywords: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MMP-2TIMP-2Angiogenesis
서론 종양의 성장과 파급에는 종양세포의 증식 뿐만 아니라 종양세포가 자라는 주변조직의 반응이 중요하다. 특히 암전이에 있어서는 종양 침윤이 암세포와 기저막과의 상호작용으로 시작된다고 알려져 있다.16) 이 과정은 세 단계로 요약될 수 있는데 첫째, 종양세포가 세포외 기질에 붙게되고, 둘째, 세포외 기질에 단백분해에 대한 결손이 생기게되고, 셋째, 그 결손 부위를 통해 종양세포가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양세포나 주변 간질세포는 여러 종류의 단백분해효소를 분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중 matrix metalloproteinase(MMP)는 태생기 발달이나 면역세포의 이동 등과 같은 생리학적 상태에서, 류마치스 관절염같은 병리 상태에서 그리고 암 전이시 세포외 기질의 단백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있다.30) MMP family는 현재까지 type IV collagenase, interstitial collagenase 그리고 stromelysin의 세가지 하위군으로 나뉘고, 모두 11종류의 효소가 알려져있다.24) 이 중 type IV collagenase 즉 MMP-2와 MMP-9은 종양침윤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기저막이 주로 type IV collagen으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MMP를 차단시키는 자연억제단백이 숙주나 종양세포 자체에서 생성되는데 이들 억제자는 전이억제단백으로 세포외 기질의 종양세포 침범을 저해하는데 관여하며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TIMP)가 여기에 속한다. 또한 종양의 신생혈관형성(tumor angiogenesis)은 종양의 성장과 전이에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과정 또한 종양침윤과 유사하여 혈관세포와 기저막과의 상호작용으로 기저막에 단백분해에 의한 결손이 생기고 이를 통해 세포이동이 일어난다. 이렇게 새로운 모세혈관이 생성되면 종양세포가 모세혈관을 통해 순환하기가 용이해져서 종양의 원격 전이가 일어나게된다. 이에 저자는 후두편평상피세포암 20례에서 MMP(MMP-2)와 이의 특이적 억제자인 TIMP(TIMP-2) 그리고 혈관 내피세포의 표지자인 Factor VIII 관련 항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그 발현을 관찰하고 병리조직학적 분화도 및 임상적 병기와 비교분석하며 신생혈관형성과 MMP, TIMP와의 관계를 분석하므로써 후두 편평세포암의 생물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전이 가능성의 판정인자로 사용할 수 있는 지를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대상 환자는 1991년부터 1995년까지 5년간 이화여자대학교 동대문 병원에서 후두의 후두편평상피세포암으로 병리조직학적으로 진단되어 외과적 수술 및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로써 이들의 생검 및 수술시 적출한 조직의 보관 및 처치가 양호하였던 20례와 대조군으로 성대 결절 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례의 임상적 병기는 1988년 미국 암협회 분류(AJC classification)에 따라 분류하였다. 2. 연구방법 1) 광학현미경 검색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 파라핀에 포매된 후 hematoxylin-eosin 염색된 조직표본을 1988년 미국 암 협회의 분류에 따라 grade 1(G1)은 분화도가 아주 좋은 예, grade 2(G2)는 분화도가 중등도인 예, grade 3(G3)은 분화도가 좋지않은 예로 재판정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및 판독 (1) 일차항체:MMP-2에 대한 항체는 상품으로 시판되는 것(Ab-3, monoclonal mouse IgG, Oncogene Research Products, Calbiochem)을 사용하였고 TIMP-2에 대한 항체는 한효과학연구소에서 제조한 것을 받아 염색하였다. 이들은 사람의 TIMP를 토끼에 면역시켜 골수종 세포와 융합시켜 만든 hybridoma로부터 얻었다. 한편 조직의 미세혈관 생성수를 세기 위해서는 Dako사의 Factor VIII related antigen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였다. 그 희석 배수와 제조사는 Table 1에 요약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면역조직화학 염색은 Hsu(1984)12)가 기술한 방법에 약간의 수정을 가하여 시행하였다. 즉,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을 5μm의 절편으로 깍아 xylene과 alcohol을 이용하여 탈파라핀과 함수화를 시켰다. Xylene에는 5분간 3회씩 담구었으며 alcohol은 100%, 90%, 80%, 70%의 순으로 각 2번씩 2분간 처치하였다. 비특이적인 단백의 결합을 막기위해 10% 염소 혈청으로 20분간 반응시키고 조직내 peroxidase의 활동을 억제하기 위해 3% hydrogenoxide에 15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증류수로 2번 수세하고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5분간 담근 후 MMP-2, TIMP-2, 그리고 Factor VIII related antigen의 일차항체를 각각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그 다음 PBS로 5분간 3회씩 수세한 후 DAKO사의 LSAB(labelled streptavidin biotin) Kit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즉, biotin이 결합된 link antibody를 20분간 반응시키고 PBS로 수세한 후 peroxidase가 배합된 streptavidin을 20분 반응시킨 후 다시 PBS로 수세하였다. AEC(3-Amino-9-ethyl carbazole)로 발색하고 Meyer's hematoxylin으로 대조염색한 후 수성 메디아로 mount하고 현미경으로 검색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MMP-2, TIMP-2, Factor VIII 관련 항원에 대한 일차항체 대신 PBS으로 대치시키고 나머지 과정은 그대로하여 이를 사용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가장 반응이 강하게 나오는 슬라이드를 골라 매번 염색시 같이 염색하여 비슷한 염색상을 보이는 지 비교하였다. (3)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의 평가:결과는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음성 대조군에서 보이는 정도를(-)로 하고(Fig. 1a) 염색 정도에 따라 등급을 나누어 10%미만의 세포가 염색되거나 염색정도가 미약하여 고배율로만 관찰될 때를 1등급(+)으로 하고(Fig. 1b) 90%이상의 세포에서 양성이 보이거나 50%이상이면서 강한 적갈색의 염색을 보일 때를 3등급(+++)으로 하였다(Fig.1d). 그 사이의 염색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즉, 10-50% 사이면서 강한 염색인 경우와 50%이상이면서 중등도의 염색을 보일 때를 2등급(++)으로 판정하였다(Fig. 1c). 이런 평가는 MMP-2와 TIMP-2에 똑같이 적용하였다. 미세혈관의 수는 Factor VIII 관련 항원으로 염색하여 쉽게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정상조직과 종양조직에서 각각 세었는데 우선 저배율로 관찰하여 가장 혈관수가 많은 곳을 정하여 200배 시야에서 관찰되는 혈관수를 세었다. 한 혈관이 절편의 영향으로 여러개 나온 경우 1개로 인정하였고25) 본래 존재하는 혈관 또한 수에서 제외하였는데 혈관강내 적혈구의 수가 7개이상 나오는 것으로 구별하였다. 미세혈관의 수는 통계학적 검증을 위해 임의로 20개이상, 21∼30, 31∼40, 41개 이상의 4집단으로 나누었다. 3) 통계적 검증 통계적 검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isher's exact test를 시행하고 유의성은 0.05 미만으로 하였다. 연구성적 1. 대조군과 후두 편평 상피 세포암에서 MMP-2, TIMP-2의 표현 양상과 미세혈관의 수 후두 편평 상피 세포암에서는 MMP-2, TIMP-2 발현이 각각 60%, 95%의 양성율을 보였으나 대조군인 성대 결절에서는 MMP-2, TIMP-2 발현 양성율이 모두 0%였다(Table 2)(Fig. 2). MMP-2인 경우 전반적인 염색상이 TIMP-2에서보다 약하여 3등급(+++)의 염색상은 전 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MMP-2는 주로 암세포에서(Fig. 3), TIMP -2는 암세포보다는 기질세포와 혈관 내피세포에서 발현되었다(Fig. 4). 후두 편평 상피 세포암에서의 미세 혈관의 수는 28.5±13.8이었고(Fig. 5b) 대조군인 정상 후두 조직에서의 미세 혈관의 수는 10.4±1.5였다(Fig. 5a). 2. 종양의 임상적 병기 및 병리조직학적 분화도와 MMP-2, TIMP-2의 발현 양상과의 관계 종양의 임상적 병기에 따른 MMP-2의 표현 양상은 제 1 기에서는 3례 모두 음성을 보였고, 제 2 기는 2례가 음성, 1례가 강양성이었으며 제 3 기는 1례가 음성, 3례가 약양성, 3례가 강양성이었고 제 4 기는 3례가 음성, 4례가 강양성이었다. TIMP-2의 경우 제 1 기에서는 3례 모두 약양성을 보였고, 제 2 기는 1례가 음성, 1례가 약양성, 1례가 중양성이었으며 제 3 기는 2례가 약양성, 5가 강양성이었고 제 4 기는 3례가 음성, 4례가 중양성으로 임상적 병기가 높아질 수록 MMP-2와 TIMP-2의 양성 발현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43, p=0.014)(Table 3). 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화도에 따른 MMP-2의 표현 양상은 분화도가 좋은 G1에서는 5례가 음성, 2례가 약양성, 4례가 강양성을 보였고 분화도가 중등도인 G2는 4례가 음성, 1례가 약양성, 3례가 강양성이었으며 분화도가 나쁜 G3는 1례가 강양성이었다. TIMP-2의 경우 분화도가 좋은 G1에서는 1례가 음성, 6례가 약양성, 1례가 중양성, 3례가 강양성을 보였고 분화도가 중등도인 G2는 2례가 약양성, 3례가 중양성, 3례가 강양성이었으며 분화도가 나쁜 G3는 1례가 중양성으로 병리조직학적 분화도와 MMP-2, TIMP-2의 발현 양상과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Table 4). 3. 종양의 임상적 병기 및 병리조직학적 분화도와 미세혈관의 수와의 관계 종양의 임상적 병기에 따른 미세혈관의 수는 제 1 기에서는 17.3±4.5, 제 2 기는 27.7±18.0, 제 3 기는 32.0±15.1, 제 4 기는 30.1±13.4으로 전반적으로 임상적 병기가 진행될수록 미세혈관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Table 5). 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화도에 따른 미세혈관 수는 분화도가 좋은 G1에서는 27.1±13.9, 분화도가 중등도인 G2는 28.5±14.3, 분화도가 나쁜 G3는 44.0으로 병리조직학적 분화도와 미세혈관의 수와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p>0.05)(Table 5). 4. MMP-2 및 TIMP-2의 발현양상과 미세혈관의 수와의 관계 후두 편평 상피 세포암에서 MMP-2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정도가(-)인 경우의 미세혈관의 수가 26.6±14.3,(+)인 경우는 32.3±13.5,(++)인 경우는 39.6 ±11.6으로 MMP-2의 발현이 증가할수록 미세혈관의 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5)(Table 6). 후두 편평 상피 세포암에서 TIMP-2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정도가(-)인 경우의 미세혈관의 수가 26.6±14.3,(+)인 경우는 32.3±13.5,(++)인 경우는 39.6 ±11.6,(+++)인 경우는 31.3±16.7로 TIMP-2의 발현이 증가할수록 미세혈관의 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3)(Table 6). 고안 종양의 전이는 주로 type IV collagenase로 이루어져 있는 기저막에 단백분해에 의한 결손이 생기면서 시작되는데, 종양세포나 주변 간질세포는 heparinase, serine proteinase, cathepsin 그리고 MMP 등의 여러 종류의 단백분해효소를 분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0) 이 중 MMP가 세포외 기질분해에 중요역할을 하며 창상치유나 면역세포의 이동, 태생기 발달 및 종양세포 침윤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많은 연구들이 MMP발현이 증가함에 따라 종양 침윤 및 전이가 증가함을 생체외 실험15)17)과 생체내 동물 모델23)28)에서 증명하였다. 두경부 상피세포암의 경우에서도 Huang등13), Polette등22)이 MMP의 발현을 연구하여 모두 MMP가 암침윤 및 전이에 관여한다고 보고하였으며 저자의 연구에서도 임상적 병기가 증가함에따라 MMP-2의 발현이 증가됨을 보여주어 MMP-2가 국소 그리고 원격 전이에 관여함을 나타내었다. 한편 조직분화도와 MMP-2의 발현과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왔는데 이는 후두편평세포암은 대체적으로 분화도가 좋은 암종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MMP의 억제는 생성단계나 잠복기상태의 활성화 단계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이미 활성화된 것은 생체내 억제자인 TIMP에 의해 억제된다.22) TIMP는 자연억제단백으로 숙주나 종양세포 자체에서 생성되어 MMP의 활동성을 조절하므로써 세포외 기질의 종양세포 침범을 저해하는데 관여하며 현재까지는 TIMP-1,2,3 세가지가 발견되었다.24)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MMP-2는 주로 종양세포에서, TIMP-2는 종양세포보다는 주변 간질세포와 혈관 내피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는데 Polette등22)도 저자들의 연구에서와 같이 두경부 상피세포암에서 TIMP가 암세포와 기질세포에서 뿐만아니라 혈관내피세포에서도 나타남을 보여주었고 Hoyhtya등11)도 유방암과 대장암에서 TIMP가 종양세포 주변의 간질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는 것을 관찰한 것으로 보아 TIMP는 MMP에 대한 숙주의 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암침윤 및 전이억제작용이 암-숙주 상호관계에의해 조절되고 혈관기저막의 연속성을 유지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임을 추측할 수 있었다. 몇몇 생체외 실험에서 TIMP가 암침윤을 방지하는 것을 증명하였는데 배아 간세포에서 유래된 원시간엽세포에 TIMP-1 유전자를 선택적으로 파괴시켰을 때 침윤현상이 증가되는 반면 외부에서 TIMP-1을 주었을땐 반대현상이 일어났고2) 양막침윤측정검사에서도 TIMP가 암침윤의 기능적 억제자로 작용함을 밝혔다.27) 또한 Halaka등10)은 TIMP-1이 침윤성 수막종에서 비침윤성 수막종에서보다 적게 생성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생체내 실험에서도 TIMP가 암침윤 및 전이 억제에 관여함을 증명하려는 연구가 있었는데 nude mice에 TIMP-2를 피하주사하여 종양의 국소전이가 억제됨을 증명하였다.5) 세포외 기질을 구성하는 단백질들이 정상적 생리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MMP와 이것의 특이적 억제자인 TIMP 분비의 균형이 중요하고 이 균형에 변화가 생길 때 심한 병리 상태가 되거나 종양의 침윤 또는 전이가 일어난다.30) 따라서 MMP와 TIMP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Nakagawa등20)은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다른 종류의 뇌종양에서의 각종 MMP와 TIMP-1의 발현을 연구하여 주변조직으로의 침윤성이 강한 교모세포종이나 역형성 성상세포종에서 양성종양인 수막종이나 신경초종보다 MMP발현이 많음을 밝혔고 또한 전이암에서는 TIMP-1의 면역조직화학반응도가 낮고 수막종이나 신경초종에서는 높은 것으로보아 MMP와 TIMP의 불균형이 암침윤에 관여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또한 Grigioni등9)은 위암 100례를 대상으로 초기 점막내종양, 점막하 종양, 그리고 진행암에서 암침윤 정도가 심할수록 MMP-2 발현은 증가하고 TIMP-2 발현은 감소하여 MMP-2와 TIMP-2 발현 비율이 역전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저자의 연구에서는 임상적 병기가 증가할수록 MMP-2와 TIMP-2의 발현이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Abramson등1)이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에서 구강 편평상피세포암보다 낮은 collagenaseactivity를 나타냄을 밝혔듯이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이 타종양에 비해 예후가 좋은 암종이기 때문이라 사료되며 Visscher등 31)도 유방암에서 TIMP-2발현이 많이 될수록 암의 재발이 많음을 밝힌 바와 같이 종양마다 MMP와 TIMP의 이상적인 균형상태가 달라 뇌종양, 위암 등에서는 MMP와 TIMP의 역상관관계가 예후측정인자로 이용될 수 있지만 유방암이나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에서는 MMP와 TIMP가 모두 증가할 수록 예후가 나쁘므로 각각을 예후 측정인자로 이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종양의 성장과 전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과정중의 하나가 신생혈관형성(angiogenesis)이 다. 몇mm정도의 작은 종양이 처음 생겨 성장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모세혈관 형성을 유도하게되며 종양세포가 이 모세혈관을 통해 순환하기가 용이해져 전이가 일어나게 된다.8) 사람의 종양에서 맥관형성의 정도가 전이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정량적 근거는 피부의 악성 흑생종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29)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전이의 좋은 예후인자가 되고18) 전립선암에서는 골수전이와 관련있음이 보고된 바 있으며32) Bosari등3)은 유방암종에서 9년간의 추적조사를 통하여 맥관형성이 종양의 재발과 전이와 관련있음을 보고하였다. 두경부 영역에 있어서는 병아리 배 융모요막 모델을 이용한 생체내실험에서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이 맥관형성 반응을 유도함을 밝힌 바 있다.21) 그러나 Dray등6)은 T1-3N0M0 두경부 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은 환자108명의 조직 슬라이드에서 미세혈관수(microvessel count, MVC)를 세어 이것과 환자 생존과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종양의 침윤성이나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예후인자가 될 수 없다하였고 이는 저자의 연구결과와도 같았다. 다른 부위의 암종의 예후인자가 될 수 있지만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의 예후인자가 되지 못하는 것은 종양세포마다 맥관형성능(angiogenic activity)의 시작이 종양의 전과정에서 서로 다른 시기에 일어나기 때문이라 여겨지는데 자궁경부암은 종양이 생기기 이전에, 방광암과 유방암은 종양과 동시에, 그리고 복강내 착상된 난소암은 종양발생이후에 맥관형성이 이루어 지는데7) 후두 편평상피세포암도 후자와 같이 종양 발생이후에 맥관형성이 이루어져 전이를 예측할 수 없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신생혈관형성도 종양 전이와 비슷한 기전을 가진 바 기저막을 분해하는 MMP발현이 많을 수록 신생혈관형성이 많았다는 저자들의 결과는 다른 연구와도 같았다.4)14) 그러나 TIMP에 대해서는 다른 연구와는 달리19) TIMP발현이 많을수록 신생관형성이 많았다. Schnaper등26)은 신생혈관형성의 생체외 실험 모델에서 활성화된 type IV collagenase가 과도한 상태에서 TIMP-2를 외부에서 주었을 때 어떤 결정점이 지나야 TIMP-2가 신생혈관형성을 억제하는 현상을 관찰하여 신생혈관형성은 MMP와 TIMP의 균형에 의해 조절됨을 밝혔는데 저자의 경우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에서는 TIMP 발현이 많아도 그 결정점을 넘지 못해 TIMP-2 발현이 많을 수록 MVC가 많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앞으로 TIMP가 종양세포 침윤과 신생혈관형성을 억제하므로써 암 전이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된다면 서로 다른 암종에서의 MMP와 TIMP의 이상적인 균형치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결론 저자의 연구에 의하면 임상적 병기가 진행될수록 MMP-2 와 TIMP-2의 발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미세혈관수의 증가와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보아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에서는 MMP-2와 TIMP-2의 발현이 증가할수록 예후가 좋지않은 예후측정인자로 추정할 수 있고 미세혈관수는 예후 측정인자로 추정할 수 없다고 사료된다. 또한 미세혈관수가 증가할수록 MMP-2와 TIMP-2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MMP-2가 증가할수록 신생혈관이 증가하고 이를 방지하려는 반응으로 TIMP-2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종양에 대한 숙주의 반응으로 발현되는 TIMP는 종양의 종류에 따라 양상이 다르므로 앞으로 타종양의 MMP 및 TIMP 발현과의 비교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REFERENCES
1) Abramson M, Schiling RW Huang CC, et al:Collagenase activity in epidermoid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and larynx. Ann Otol Rhinol Laryngol. 1975;84:158-163 2) Alexander CM, Werb Z:Targeted disruption of the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gene increases the invasive behavior of primitive mesenchymal cells derived from embryonic stem cells in vitro. J Cell Biol. 1992;118:727-739 3) Bosari S, Lee AKC, DeLellis RA, et al:Microvessel quantitation and prognosis in invasive breast carcinoma. Hum Pathol. 1992;23:755-761 4) Cornelius LA, Nehring LC, Roby JD, et al:Human dermal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produce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response to angiogenic factors and migration. J Invest Dermatol. 1995;105:170-176 5) De Clerck YA, Perez N, Shimada H, et al:Inhibition of invasion and metastasis in cells transfected with an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Cancer Res. 1992;52:701-708 6) Dray TG, Hardin NJ, Sofferman RA:Angiogenesis as a prognostic marker in early head and neck cancer. Ann Otol Rhinol Laryngol. 1995;104:724-729 7) Folkman J:Tumor angiogenesis:therapeutic implications. N Engl J Med. 1971;285:1182-1186 8) Folkman J:What is the evidence that tumors are angiogenesis dependent? J Natl Cancer Inst. 1990;82:4-6 9) Grigioni WF, D'Errico A, Fortunato C, et al:Prognosis of gastric carcinoma revealed by interactions between tumor cells and basement membrane. Mod Pathol. 1994;7(2):220-225 10) Halaka AN, Bunning RAD, Bird CC, et al:Production of collagenase and inhibitor(TIMP) by intra cranial tumors and dura in vitro. J Neurosurg. 1983;59:461-466 11) H yhty M, Fridman R, Komarek D, et al: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and its specific inhibitor Timp-2 in neoplastic tissues with monoclonal antibodies. Int J Cancer. 1994;56:500-505 12) Hsu SM, Raine I:The use of the 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ABC) in diagnostic and research pathology. In advances in immunohistochemistry, 2nd ed. New York, Masson, 1984:31 13) Huang CC, Blitzer A, Abramson:Collagenase in human head and neck tumors and rat tumors and fibroblasts in monolayer cultures. Ann Otol Rhinol Laryngol. 1986;95:158-161 14) Karelina TV, Goldberg GI, Eisen AZ:Matrix metalloproteinases in blood vessel development in human fetal skin in cutaneous tumors. J Invest Dermatol. 1995;105:411-417 15) Levy AT, Cioce V, Sobel ME, et al:Increased expression of the Mr 72,000 type VI collagenase in human colonic adenocarcinoma. Cancer Res. 1991;51:439-444 16) Liotta LA, Steeg PS, Stetler-Stevenson WG:Cancer metastasis and angiogenesis:an imbal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ion. Cell. 1991;64:327-336 17) Lyons JG, Brikedal-Hansen B, Moore WG, et al:Characteristics of a 95kD matrix metalloproteinase produced by mammary carcinoma cells. Biochemistry. 1991;30:1449-1456 18) Macchiarini P, Fontanini G, Hardin M, et al:Relation of neovascularization to metastasis of nonsmall-cell lung cancer. Lancet. 1991;340:145-146 19) Mignatti P, Robbins ER, Rifkin DB:Tumor invasion through the human amniotic membrane:requirement for a proteinase cascade. Cell. 1986;47:487-498 20) Nakagawa T, Kubota T, Kabuto M, et al: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1 by human brain tumors. J Neurosurg. 1994;81:69-77 21) Petruzzelli GJ, Snyderman CH, Jonson JT, et al:Angiogenesis induced by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xerografts in the chick embryo chorioallantoic membrane model. Ann Otol Rhinol Laryngol. 1993;102:215-221 22) Polette M, Clavel C, Muller D, et al:Detection of mRNAs encoding collagenase I and stromelysin 2 in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by in situ hybridization. Invasion Metastasis. 1991;11:76-83 23) Powell WC, Knox JD, Navre M, et al:Expression of the metalloproteinase matrilysin in DU-145 cells increases their invasive potential in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t mice. Cancer Res. 1993;53:417-422 24) Ray JM, Stetler-Stevenson WG:The role of matrix metalloproteases and their inhibitors in tumour invasion, metastasis and angiogenesis. Eur Respir J. 1994;7:2062-2072 25) Saclaride TJ, Speziale NJ, Drab E, et al:Tumor angiogenesis and rectal carcinoma. Dis Colon Rectum. 1994;37:921-926 26) Schnaper HW, Grant DS, Kaufman SE, et al:Type IV collagenase(s) and TIMPs modulate endothelial cell morphogenesis in vitro. J Cell Physiol. 1993;156:235-246 27) Schultz RM, Silberman J, Persky b, et al:Inhibition by recombinant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of human amnios invasion and lung colonization by murine B 16 F 10 melanoma cells. Cancer Res. 1988;48:5539-5545 28) Sreenath T, Matrisian LM, Stetler-stevenson W, et al: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genes in transformed rat cell lines of high and low metastatic potential. Cancer Res. 1992;52:4942-4947 29) Srivastava A, Laidler P, Davies RP, et al: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tumor vascularity in intermidiate-thickness(0.76-4.0mm thick) skin melanoma:A quantitative histologic study. Am J Pathol. 1988;133:419-423 30) Tryggvason K, H yhty M, Pyke C:Type IV collagenase in invasive tumors. Breast Cancer Res Treat. 1993;24(3):209-218 31) Visscher DW, H yhty M, Ottosen SK, et al:Enhanced expression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2(TIMP-2) in the stroma of breast carcinomas correlates with tumor recurrence. Int J Cancer. 1994;9:339-344 32) Wakui S, Furusato M Itoh T, et al:Tumor angiogenesis in prostatic carcinoma with and without bone marrow metastasis:A morphometric study. J Pathol. 1992;168:257-262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