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0(4); 199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7;40(4): 589-594.
Histopathologic Distribution of Fibers and Glands in Nasal Polyps.
Sang Hou, Yong Oh Kim, Kyung Ho Park, Seung Kyun Le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Ui Jong Bu St. Mary's Hospital,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Seoul, Korea.
비용에서 섬유와 선의 조직학적 고찰
허 상 · 김용오 · 박경호 · 이승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정부성모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the direction of fibers in nasal polyps. The distribution of fibers is not well known about position and quantity. From June 1993 to April 1996, the authors obtained 232 nasal polyps from 191 patients. The polyps had been stained with H-E method. Authors observed the histopathologic type of polyps, and then the polyps have been stained with Weigert's method getting information about the fibers of polyps. In the polyps, the origin site of polyp showed dense collagen fibers of which direction resembled the movement of sand in hour-glass. In the submucosa, the direction of fibers is parallel to epithelium. Each gland or grouped glands in the polyps were circumscribed with collagen fibers. Our current study on the fibers and glands in nasal polyps is very fundamental, but we suggest that further investigation about the fibers and glands in polyps would enable to reveal pathogenesis of polyp investigated.
Keywords: Nasal polypsCollagen fibers
서론 이비인후과에서 흔히 관찰할 수 있는 비용은 그 발생기전 및 치료방법이 아직까지 확실히 확립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 실정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비용의 발생기전에 관한 이론으로는 상피파열론(epithelial rupture theory)6)8)12)과 소강(小腔)론(microcavity theory)9) 등이 발표되었고, 비용의 치료에 있어서는 아직 특효로 느껴질만한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지속적인 국소 염증이 비용형성에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되어 있으며 이 지속적인 염증에 섬유모세포가 반응하여 뮤코다당질(mucopolysaccharides), 교원섬유등의 생성이 증가된다고 한다.3)9) 본 연구의 목적은 비용에 있어서 교원섬유가 세포 간질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염증을 반영하는 요소라는 점에 착안하여, 섬유와 선의 분포 양상을 병리 조직학적으로 관찰함으로써 비용의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1993년 6월부터 1996년 4월까지 의정부 성모병원 이비인후과에서 부비동수술 또는 비용절제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191명(남자 117명, 여자 74명)으로부터 비용 232쪽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9세부터 76세였으며, 평균 연령은 37세였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비용은 그 기시부를 확인 가능한 경우에는 Fig. 1과 같이 그 기시부의 중앙에서 종적으로 잘라 조직절편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 수술로 얻어진 비용 232쪽은 우선 H-E stain을 실시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Kakoi등 5)이 분류한 방법대로 부종형(Fig. 2), 선낭포형(Fig. 3), 섬유형(Fig. 4)의 3가지 조직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류 방법은 비용 조직의 대부분이 부종상을 보이고 선은 약간 관찰되나 낭포형성은 없는 것을 부종형으로 하였고, 선 및 낭포양 구조물이 비용 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선낭포형으로 하였고, 섬유세포(fibroblast)와 교원섬유(collagen fiber)의 증식이 뚜렷하고 세포침윤이 적고, 선 및 낭포양 구조물도 적은 것을 섬유형으로 하였다 1). 비용은 H-E stain을 실시후 파라핀 포매조직(paraffin block)의 형태로 보관되어졌다. 포매조직으로부터 파라핀을 제거하고 첫번째 조직절편의 바로 옆에서 얻어진 조직절편에서, 주위 조직으로부터 섬유를 잘 보여주며 교원섬유와 탄력섬유의 구분을 가능하게 하여주는 Weigert's stain을 실시하였다. 2) 비용 232례로부터 교원섬유와 탄력섬유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교원섬유와 탄력섬유의 구분은 Wigert's stain의 특성, 즉 교원섬유는 연분홍으로 염색되고, 탄력섬유는 흑청 또는 흑색으로 염색되며, 핵은 청색 , 기타 조직은 황색으로 염색되는 성질을 이용하였다. 3) 비용의 기시부를 확인할 수 있었던 63례의 조직절편에서 기시부는 형태상 모래시계형과 비모래시계형으로 분류한 바, 비용의 기시부위에 교원섬유가 집중되어 교원섬유의 방향성이 마치 모래시계의 흐름과 같은 방향성을 보일 때 모래시계(hour-glass)형(Fig. 5)이라 하였고, 아닌 경우를 비모래시계(non-hour-glass)형(Fig. 6)이라 하였다. 또 이 63례의 조직형을 분석하여 전체 비용집단과 비교하였다(카이제곱분포). 4) 비용의 기시부를 관찰할 수 있었던 비용조직에서는 기시부의 정상점막부위가 포함되지 않은 5례를 제외하고 58례를 대상으로, 기시부의 정상점막 부위와 비용쪽 점막 부위에 존재하는 선의 양을 비교 관찰하였다. 비교의 기준은 선의 duct 또는 acini의 크기에 상관없이 현미경 100배시야에서 비용 기시부 양측에서 일견하여 확실한 양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와 보이지 않는 경우로 하였다. 5) 비용 232례중 상피 직하방의 점막하 조직에서 섬유가 명확하게 발견된 56례를 대상으로 상피에 대한 섬유의 방향을 관찰하였다. 이때 방향은 순간시야에서 섬유의 방향성이 모두 평행해 보일 때 평행(Fig. 7), 순간시야에서 대부분 평행하나 일부 평행해 보이지 않을 때 주로 평행, 순간시야에서 대부분 평행하지 않으나 일부만 평행해 보일 때 주로 비평행, 순간시야에서 모두 평행해 보이지 않을 때 비평행(Fig. 8)이라 하였다. 6) 선의 위치와 선 주위 섬유분포와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았다. 선의 위치는 표층선과 심층선으로 구분하였다. 표층선과 심층선의 구별은 점막하 조직에서 Fig. 9와 같은 방법으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표층선과 심층선을 확실히 구별 가능한 15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1) H-E stain에서 비용의 조직형을 보면, 부종형 114례(49%), 선낭포형 90례(39%), 섬유형 28례(12%)였다(Table 1). 2) Weigert's stain에서 비용조직에서 관찰할 수 있는 섬유는 모두 교원섬유였고, 탄력섬유는 관찰할 수 없었다. 3) 비용의 조직절편에서 비용의 기시부위를 관찰할 수 있던 경우는 63례였고, 이 중 모래시계형은 59례, 비 모래시계형은 4례였다(Table 2). 모래시계형 중 비용에서 이차적으로 다시 비용이 발생한 경우도 4례가 발견되었다. 이 63례의 조직형을 보면, 부종형 35례(56%), 선낭포형 17례(27%), 섬유형 11례(12%)였으며 이는 전체 비용조직의 조직형 비율과 차이가 없었다(p=0.11). 4) 비용의 기시부 주위에서 선의 양을 비교한 결과, 정상점막부위와 비용쪽 부위간에 선의 양이 비슷한 경우가 41례로 가장 많았고, 정상점막부위에서 선이 더 많았던 경우는 14례였으며, 비용쪽 부위에서 더 많았던 경우는 3례에 불과하였다(Table 3). 5) 비용의 점막하 조직에서 섬유의 주행 방향이 상피에 평행한 경우가 26례, 평행하지 않은 경우가 7례, 주로 평행하지만 간혹 평행하지 않은 경우가 9례, 간혹 평행하고 주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가 14례였다(Table 4). 6) 선의 위치가 표층인 경우는 108례였고 심층인 경우는 153례로 선과 섬유의 관계를 조사한 155례중 심층의 선이 나타난 경우가 표층선보다 많았다. 표층선 주위에서 섬유가 나타난 경우는 87%였고, 심층선 주위에서 섬유가 나타난 경우는 83%로 심층선의 경우가 표층선의 경우보다 적게 나타났다. 고찰 비용은 이비인후과의 비과 영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 중 하나이다. 그러나, 비용은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또 진행되고 있으나 그 발생기전 및 치료방법이 아직 확실히 밝혀지고 있지 않다. 통상 비용은 조직학적으로 부종형, 선낭종형, 섬유형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조직학적 분류는 부종형과 선낭종형은 활동기 그리고 섬유형은 치유기로 설명을 하고 있다.1)5) 이러한 분류의 근거로는 부종형과 선낭종형에서는 호산구, 형질세포의 침윤이 많이 발견되고 섬유형에서는 이러한 부종형과 선낭종형보다 비용의 증식에 관여하는 염증세포가 적게 발견되기 때문이다.1)5) 비용조직은 어떠한 한 면만을 보고 조직형을 말하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같은 사람의 같은 비강에서 얻은 비용이라 하여도 각각 서로 다른 조직형을 보여줄 수 있으며, 또한 한 비용에서 부위에 따라서 또 다른 조직형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4) 이러한, 비용이 보여주는 다양함은 비용에 더욱 접근하기 어렵게 만들어 준다. 섬유에는 교원섬유와 탄력섬유가 있는데 통상적으로 비용에 존재하는 섬유는 주로 교원섬유이다. 탄력섬유는 정상적으로는 배아조직(embryonic tissue)과 급성장 조직 그리고 그들로부터 유래된 세포에서만 발견되어진다.10) 또한 탄력섬유는 정상 점막 조직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지금까지의 보고에 의하면 대부분의 경우 비용조직에서 탄력섬유는 보이지 않지만 극히 일부 세동맥에서 발견되고 있다.2) 그러나 저자들의 경우에서는 탄력섬유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저자들의 연구에서 보여지는 비용의 기시부위의 모래시계 모양은 섬유의 방향성이 마치 모래시계와 같은 경우를 지칭하는 것이며, 이러한 모래의 흐름과 같은 섬유의 방향성이 없는 경우는 가운데 부위가 잘록한 모양을 보여도 모래시계란 명칭을 사용하지 않았다. 이러한 섬유의 흐름, 즉 방향성이 비용의 기시부위에 집중되는 현상을 많은 경우에서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비용의 시작부위로 비용의 발생기전을 보여주는 한가지 단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유력하게 대두되어 있는 비용의 발생기전은 크게 두가지로, 그 첫번째는 상피파열론(epithelial rupture theory)6)8)12)이고 두번째는 소강론(microcavity theory)9)이다. 이러한 두가지 이론 중 상피파열론은 비용발생의 조건으로 상피의 파열과 함께 파열부위의 지속적인 국소염증을 중요시하고 있다.9) 저자들은 이러한 국소부위의 염증이 치유과정을 거치면서 섬유형성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소강론의 경우는 소강이 서로 융합 후 상피부위에서 상피를 통해 파열됨으로써 분할선을 만들고 비용이 형성된다는 이론이다.9) 따라서 비용의 기시부위에서의 염증이 비용의 발생에 커다란 변수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처럼 염증이 작용을 하지 않을 경우 염증에 동반되는 섬유의 형성 또한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기시부위를 관찰할 수 있었던 63례 중 대부분(94%) 비용의 기시부위에서 섬유의 방향성을 볼수 있었지만 6%에서는 섬유의 방향성을 볼 수 없었는데, 이는 각각 상피파열론과 소강론에 의하여 형성된 비용으로 생각한다. 비용에는 배상세포(goblet cell)와 선조직이 정상점막보다 적게 존재한다.7)11)13) 어느정도 크기의 비용이 발생된 후에 비용의 상피로부터 선조직이 발생되며, 이렇게 발생된 선조직은 비용이 커짐에 따라 수동적으로 신장되어 기다란 여러모양의 선조직으로 발전된다.6)11)12)13) 저자들의 연구에서 비용의 기시부위에서 비용측과 정상점막측의 선조직의 양을 비교한 결과 대부분(71%)의 경우 정상점막측과 비용측의 선조직의 양은 비슷하였다. 정상점막측에서 비용측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던 경우는 24%로 반대의 경우(5%)보다 많았다. 이 결과도 다른 연구 결과11)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겠다. 선과 섬유의 관계를 보면 비용의 기시부위를 제외하면 주로 선 또는 선군 주위에서 섬유를 관찰할 수 있었다. 비용에서 섬유조직은 주로 비용의 기시부위, 선부위, 혈관주위등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5), 저자들의 경우에도 선주위에서 많은 섬유를 관찰할 수 있었다. 표층선과 심층선의 분포는 전체 155례중 각각 108례와 153례로 심층선이 더 많이 보였다. 하지만 선주위에서 섬유의 발현 비율은 각각 87%와 83%로 나타나 표층선에서 섬유의 발현 비율이 높기는 하지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 결론 비용에서의 섬유의 분포와 주행, 그리고 선의 분포에 대한 관찰은 비용의 성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에 단서를 제공한 것이며, 체계적인 비용의 섬유와 선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비용의 형성기전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REFERENCES
1) 이화식·서병도·김병우:비용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고찰. 서울 심포지움 4:125-139, 1993 2) Cauna N, Hinderer KH, Mauzetti GW, et al:Fine structure of nasal polyps. Ann Otol 81:41-58, 1972 3) Dolowitz DA, Hecker HC:Hyperplastic respiratory mucosa and nasal polyposis. Ann Allergy 24:555-559, 1966 4) Jackson RT, Arihood SA:The acid mucopolysaccharide and collagen content of human nasal polyps, human and animal nasal mucosa. Ann Otol 80:586-592, 1971 5) Kakoi H, Hiraide:A histological study of formation and growth of nasal polyps. Acta Otolaryngol:137-144, 1987 6) Larsen PL, Tos M, Kuijpers W, et al:The early stages of polyps formation. Laryngoscope 102:670-677, 1992 7) Larsen PL, Tos M:Nasal polyps:Epithelium and goblet cell density. Laryngoscope 99:1274-1280, 1987 8) Liu CM, Shun CT, Hsu MM:Lymphocyte subsets and antigen-specific IgE antibody in nasal polyps. Ann Allergy 72:19-24, 1994 9) Norlander T, Westrin KM, Fukami M, et al:Experimentally induced polyps in the sinus mucosa:A structural analysis of the initial stages. Laryngoscope 106:196-203, 1996 10) Rosenboom J, Abrams WR, Mecham R:Extracellular matrix 4:The elastic fibers. FASEB J 7:1208-1218, 1993 11) Tos M, Mogensen CHR, Thomsen J:Nasal polyps in Cystic fibrosis. J Laryngol Otol:827-835, 1977 12) Tos M, Mogensen CHR:Pathogenesis of nasal polyps. Rhinology 15:87-95, 1977 13) Tos M, Mogensen CHR:Mucous glands in nasal polyps. Arch Otolaryngol 103:407-413, 1977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