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Test Examination
Article information
Review
문 1. 노화성 난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노화에 의한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난청이다.
② 서서히 진행하는 양측의 대칭적인 청력저하가 주로 고주파수 영역에 나타난다.
③ 순음청력역치에 비해 어음청력역치가 현저히 떨어진다.
④ 대부분 누가 현상이 있다.
문 2. 다음 노화성 난청과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관련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25 dB HL 이상의 난청이 있는 경우 청력역치가 10 dB씩 증가함에 따라 치매 발생 위험이 20%씩 증가한다.
② 경도, 중등도, 심도 난청이 있는 경우에 치매 발생 위험이 각각 2배, 3배, 5배 이상 증가한다.
③ 치매 발생에서 난청의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PAF)는 23.0%로 다른 위험요인들보다 가장 낮은 수치이다.
④ 중등도 이상의 난청을 가진 경우에 정상 성인에 비해 더 낮은 신체 활동성을 가지게 된다.
문 3. 다음 노화성 난청과 인지기능 저하의 연관성에 대한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Cognitive load hypothesis란 청각 지각 처리에 쏟는 과도한 인지 부하가 뇌의 구조적 변화와 다른 인지 과정의 손상과 관련된 신경의 퇴행을 유발한다는 가설이다.
② Common mechanism 가설은 노화성 난청과 인지 기능 저하가 원인관계가 아니라 공통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다.
③ Overdiagnosis hypothesis란 말초와 중추 청각 시스템의 기능저하가 알츠하이머 치매의 전단계나 초기단계에서 나타난다는 것이다.
④ 노화성 난청이 frailty의 독립적인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며, frailty는 인지기능 장애 및 치매와도 관련됨이 보고되고 있다.
문 4. 다음 노화성 난청에서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청각적 중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Congnitive load hypothesis가 맞다면, 보청기 사용은 청각처리과정에서 필요한 노력을 줄일 수 있고, 불필요한 인지 수행으로 인지 자원을 전환시켜 뇌위축 과정을 막고 인지 자원을 유지시킬 수 있다.
② Cascade hypothesis가 유효하다면 인지 기능 장애는 청각적 중재와는 아무런 관련없이 진행되어, 청각 장애를 감소시키는데 보청기가 매우 효과적일지라도, 인지장애를 예방하는 데는 기여하지 못할 것이다.
③ Overdiagnosis hypothesis에서는 보청기 사용이 정확한 신경심리학 검사 수행을 가능하게 하고 과잉진단이나 오진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④ 보청기 사용으로 인한 의사소통 능력의 회복이 사회적 교류 향상을 돕게 되며, 강한 사회적 유대감을 유지시키는 것이 인지기능 저하를 막고 치매의 발생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Otology
문 1. 다음은 우측 후반규관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BPPV) 환자에서 modified Epley maneuver를 시행하는 그림이다. 이석이 공통각으로 들어가는 과정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문 2. 자세 변환에 의해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환자가 내원하였다. 환자를 눕힌 상태에서 우측으로 머리를 돌리면 좌측을 향하는 수평 안진이, 좌측으로 머리를 돌리면 우측을 향하는 수평 안진이 발생하였고, 좌측으로 머리를 돌릴 때 발생하는 안진의 크기가 더 컸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병변 부위는?
① 우측 후반고리관
② 좌측 후반고리관
③ 우측 수평반고리관
④ 좌측 수평반고리관
⑤ 우측 상반고리관
Rhinology
문 1. Rhinoplasty 환자 평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문항은?
① 코 성형 환자들의 상당수는 미용적 문제 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문제를 동반한다.
② 이상적인 코의 형태로는 비전두각은 135~140도, 비순각은 90~95도 정도가 적당하다.
③ 피부의 상태는 rhinoplasty 전 고려해야될 중요한 요소다.
④ 피부가 너무 얇으면 삽입한 이식물의 윤곽이나 비배의 불규칙함이 눈에 띄기 쉽다.
⑤ 모두 맞는 설명이다.
문 2. 코막힘의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문항은?
① Cottle 검사는 막힌다고 호소하는 측의 뺨을 한두개의 손가락으로 잡고 부드럽게 외측으로 당겨 비밸브를 벌리는 검사법이다.
② Acoustic rhinometry와 rhinomanometry는 코막힘을 평가하는 객관적인 방법이다.
③ Acoustic rhinometry에서 제1절흔은 isthmus nasi에 의하여 생성된다.
④ Acoustic rhinometry에서 제2절흔은 상외측연골에 의하여 나타난다.
⑤ Acoustic rhinometry에서 수축제 사용 후 변화량이 30%를 넘어가면 점막에 의한 요소가 큰 것으로 본다.
Head and Neck
문 1. 다음은 편도절제술의 여러가지 술기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양극성 전기소적기는 열에 의한 주위 손상을 최소화하며 정확한 지혈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② 생리식염수를 매개로 고주파 양극전류(radiofrequency bipolar electrical current)를 이용하여 조직을 박리하거나 제거하는 방법은 coblation 기술이다.
③ 미세흡입분쇄기(microdebrider system) 60도에서 조직을 기화시키므로 열손상에 의한 통증이 적고 조직 회복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④ Harmonic scalpel은 초음파 기술을 이용하여 전기소작의 단점인 고열로 인한 외상을 최소화하면서 조직을 자르거나 응고시키는 방법이다.
⑤ Coblation 기술이나 미쇄흡입분쇄기(microdebrider system)를 이용하여 편도의 피막 손상 없이 편도 조직만을 제거할 수 있다.
문 2. 편도절제술 후 생길 수 있는 합병증과 그에 대한 설명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수술 후 출혈 - 가장 흔하고 심각한 합병증으로 즉각성 출혈과 지연성 출혈로 나눌 수 있다.
② 구개인두부전증(velopharyngeal insufficiency) - 수술 중 개구기, 전기 소작기 및 카테터의 사용으로 인해 혀, 비인강, 구개의 부종이 생겨 발생한다.
③ Grisel’s syndrome - Down 증후군 환아의 편도나 아데노이드 절제술 시 나타날 수 있으며 rose position이 원인이다.
④ 미각 장애 - 편도의 하극 부위에 위치하는 설인신경 분지의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⑤ 혀의 마비 - 개구기 사용으로 인한 혀의 압박으로 인해 설하신경이 마비되어 발생한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④
해 설 노화성 난청에서는 누가 현상이 없거나 부분적으로 있다.
문 2. 답 ③
해 설 개체군 귀소분획(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PAF)이란 주어진 기간 동안 난청과 같은 위험 요인이 제거되었을 때, 치매 발생이 감소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치매 발생에서 난청의 PAF는 23.0%로 이는, 우울(10.1%), 사회적 고립(5.9%), 흡연(13.9%), 고혈압(5.1%), 당뇨(3.2%) 등의 다른 위험요인들보다 가장 높은 수치이다.
문 3. 답 ③
해 설 중추청각처리(central auditory processing) 장애로 인한 청력저하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의 알츠하이머 치매의 전조(harbinger)로 여겨질 수 있다. 최근 연구에서 말초와 중추 청각 시스템의 기능저하가 알츠하이머 치매의 전단계나 초기단계에서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다. 즉 이는 harbinger hypothesis에 대한 설명이다.
문 4. 답 ②
해 설 Common cause hypothesis가 맞다면, 인지 기능 장애는 청각적 중재와는 아무런 관련없이 진행될 것이다. 청각 장애를 감소시키는데 보청기가 매우 효과적일지라도, 인지장애를 예방하는 데는 기여하지 못할 것이다. 즉 이는 common cause hypothesis에 대한 설명이다.
Otology
문 1. 답 ④
해 설 Modified Epley maneuver는 우선 앉은 자세에서 환측으로 Dix-Hallpike 자세를 취한 후 안진을 관찰한다. 다음 단계로 천천히 머리를 반대쪽으로 90도 돌리며 이때 머리는 최대한 신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몸 전체와 머리를 90도 더 반대쪽으로 돌리고, 이 자세에서 안진을 짧은 시간 안에 다시 확인한다. 첫 번째 안진과 동일한 모양으로 나타나면 이관내 이석이 공통각(common crus)을 통하여 난형낭 내로 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로 환자를 앉도록 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어지럼증의 진단 및 치료_양성 돌발성 두위 현훈. 이비인후과학:이과. 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810-11.
문 2. 답 ③
해 설 수평반고리관 BPPV는 머리회전검사(head roll test)를 시행하여 진단할 수 있으며 병변의 방향이 불분명할 때는 보조적으로 bow and lean 검사 등을 시행해 볼 수 있다.
수평반고리관형 BPPV는 대부분 양쪽 측위 검사 중 어느 한쪽 안진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게 일반적이다. 양쪽에서 향지성(geotrophic) 안진이 나타나는 경우는 반고리관내 결석(canalolithiasis)에 해당되며 안진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쪽이 병변 쪽이다. 반면, 원지성(ageotrophic) 안진이 나타나는 경우는 팽대부릉정 결석(cupulolithiasis)에 해당되며 안진이 약하게 나타나는 쪽이 병변측이 된다.
위 문제에서는 머리회전검사(head roll test)에서 양쪽에서 원지성(ageotrophic) 안진이 나타나고 있으며 우측 측위검사에서 안진이 더 약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우측 수평반고리관이 병변측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어지럼증의 진단 및 치료_양성 돌발성 두위 현훈. 이비인후과학:이과. 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812-13.
Rhinology
문 1. 답 ⑤
해 설 모두 맞는 설명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서울: 일조각;2009. p.1467-76.
문 2. 답 ④
해 설 Acoustic rhinometry에서 제2절흔은 하비갑개 전단부분에 의하여 나타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서울: 일조각;2009. p.1005-25.
Head and Neck
문 1. 답 ③
해 설 ③ Coblation 기술에 대한 설명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편도질환. 이비인후과학:두경부. 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313-39.
문 2. 답 ②
해 설 ② 기도 폐쇄에 대한 설명이다. 구개인두부전증은 아데노이드절제술과 연관된 합병증으로 과비음이나 비역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 일시적이고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지만 발생 즉시 언어치료사가 평가하고 치료해야 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편도질환. 이비인후과학:두경부. 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31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