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Test Examination
Article information
Otology
문 1.문 1. 60세 남자 환자가 좌측 청신경 종양으로 경미로 내이절제술을 시행받았다. 우측 청력은 정상이었으나 회의할 때 소리가 잘 들리지 않아 지장이 많았다. 적절한 청각재활 조치는 무엇인가?
① 귀걸이형 보청기
② 중이 이식술(middle ear implant)
③ 와우 이식술(cochlear implant)
④ 청성뇌간 이식술(auditory brainstem implant)
⑤ Contralateral routing of signals (CROS) 보청기
문 2. 일측성 전농에서 CROS/bilateral microphones with contralateral routing of signals (BiCROS) 보청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양이 합산(biaural summation)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② 소음 환경에서 어음 인지를 향상시킨다.
③ 소리의 방향성(sound localization)이 향상된다.
④ 양이소음억제효과(biaural squelch)가 있다.
⑤ 정상측 청력이 정상이어야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Rhinology
문 1. 소아의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설명 중 옳은 설명은?
① 한국 등 동양의 소아 폐쇄수면무호흡증은 비만이 가장 큰 원인요소로 알려져 있다.
② 아데노이드의 크기를 측모두부계측방사선사진으로 관찰하는 것은 높은 민감도(sensitivity)와 중등도의 특이도(specificity)를 보여 nasoendoscopy를 시행하기 어려운 소아 진료에서 중요한 평가도구가 된다.
③ 소아는 성장 중에는 상악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상하악의 균등성장이 일어난다.
④ 소아에서 수면무호흡증은 기억력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과잉행동 또는 집중력 장애와 연관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상태는 수술적 치료로는 개선이 어렵다.
⑤ 기도 평가를 위해 시행되는 측모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을 통해 수면 시 기도 협착 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문 2. 두개골개측(cephalometry)에서 설골의 하방전위를 볼 수 있는 mandibular plane to hyoid를 측정할 때 mandibular plane은 어떤 계측점들을 이은 선인가?
① Gonion-Menton
② Sella-Nasion
③ Posterior nasal spine-Anterior nasal spine
④ Nasion-Pogonion
⑤ Orbitale-Porion
Head and Neck
문 1. 9세 남아가 2일 전 갑자기 시작된 좌측 귀 밑 통증 및 붓는 증상으로 외래에 내원하였다. 다음 질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급성 화농성 타액선염에는 타액분비촉진제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
②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타액선조영술(sialography)을 시행해야 한다.
③ 신생아 화농성 이하선염 같은 경우 구강을 통한 역행성 감염이 대부분이다.
④ 항생제는 증상이 소실되면 바로 중지하는 것이 좋다.
⑤ 원인균으로는 Streptococcus pneumoniae가 가장 흔하다.
문 2. 70세 남자가 2년 전 발생한 좌측 귀 밑 종창으로 내원하였다. 수술 전 시행한 경부 CT 사진은 다음과 같다. 다음 질환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수술 중에는 근육이완제를 충분히 사용해야 한다.
② 수술시 피판은 가능한 얇게 박리하는 것이 좋다.
③ 정상 이하선 조직은 최대한 보존하면서 enucleation을 해야 한다.
④ 종양의 크기가 커서 안면신경을 찾기 어려우면 신경분지 말단으로부터 역행성 박리를 하는 방법이 있다.
⑤ Frey 증후군은 피판을 너무 두껍게 들었던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정답 및 해설
Otology
문 1. 답 ⑤
해설 일측성 전농 환자로 CROS/BiCROS 보청기가 적합한 청각재활방법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파주: 군자출판사;2018. p.707.
문 2. 답 ②
해설 일측성 혹은 비대칭성 감각신경성 난청 환자에서 난청이 있는 귀로 들어오는 소리를 반대쪽으로 전달하는 보청기로 환측 귀의 청력을 회복시켜주지는 않지만 양측에서 들어오는 소리를 들을 수 있어 소음 환경에서 어음 인지를 향상시킨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파주: 군자출판사;2018. p.707.
Finbow J, Bance M, Aiken S, Gulliver M, Verge J, Caissie R. A comparison between wireless CROS and bone-anchored hearing devices for single-sided deafness: a pilot study. Otol Neurotol 2015;36(5):819-25.
Rhinology
문 1. 답 ②
해설 ① 비대한 아데노이드와 편도가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③ 소아는 하악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상하악의 차등성장이 일어난다.
④ 수술적 치료를 통해 수면무호흡증의 호전과 함께 개선 가능하다.
⑤ 깨어있을 때 서서 촬영하기 때문에 수면 시 기도 협착 부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며, 흡기와 호기에 따른 차이도 발생할 수 있다.
참고 문헌: 대한수면학회. 수면의학. 파주: 군자출판사;2022. p.358-62.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635-41.
문 2. 답 ①
해설 ② Anterior cranial base line
③ Maxillary plane
④ Facial plane
⑤ Frankfort horizontal plane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655-6.
Head and Neck
문 1. 답 ③
해설 ① 급성 화농성 타액선염의 치료로는 적절한 항생제 투여, 즉각적 수액 및 전해질 보충, 구강위생, 타액분비촉진제 등이 있다.
② 타액선조영술(sialography)은 급성 타액선염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거의 없고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어 금기이다.
④ 항생제는 보통 48-72시간 내에 반응을 보이며 증상이 소실된 1주 후까지 계속 사용해야 한다.
⑤ 가장 흔한 원인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파주: 군자출판사;2018. p.341-3.
문 2. 답 ④
해설 ① 수술 중 안면신경의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어 근육이완제의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② 수술시 Frey 증후군을 방지하기 위해 피판을 두껍게 박리하는 것이 좋다.
③ 재발 방지를 위해 종물 주변의 이하선을 절제하는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④ 안면신경 줄기를 찾기 어려운 경우 신경분지 말단으로부터 역행성 박리를 하는 방법이 있다.
⑤ Frey 증후군은 피판을 너무 얇게 들었던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파주: 군자출판사;2018. p.3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