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Test Examination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24;67(6):366-370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June 21

Review

문 1. 다음 중 저류낭종이 가장 호발하는 부비동은?

① 상악동

② 전사골동

③ 후사골동

④ 전두동

⑤ 접형동

문 2. 저류낭종을 진단하기 위한 가장 정확한 검사는?

① 부비동 X선 검사

② 부비동 전산화단층촬영

③ 부비동 자기공명영상

④ 혈관조영술

⑤ 양전자방출단층촬영

문 3. 저류낭종을 수술적으로 치료하는 적응증이 아닌 것은?

① 양측성 낭종

② 상악동 자연공을 막음

③ 상악동 밖으로 나와 부비동 개구복합체를 막음

④ 상악동의 50% 이상을 차지하면서 연관된 증상이 있음

⑤ 하안와신경 주변의 낭종이 감각이상 또는 통증을 유발

문 4. 저류낭종의 수술적 치료로 가장 적합한 술식은?

① 하비도 천자

② Caldwell-Luc씨 접근술

③ 상악동 풍선확장술

④ 연성내시경을 이용한 제거

⑤ 부비동 내시경수술을 통한 제거 또는 조대술

Otology

문 1. 다음 중 전정안구반사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검사법은?

① 롬버그검사(Romberg test)

② 신속안구운동검사(saccade test)

③ 손가락-코검사(finger to nose test)

④ 두부충동검사(head impulse test)

⑤ 시추적검사(smooth pursuit test)

문 2. 다음 그림에서 표시된(*) 해부학적 구조물의 기능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법은?

① 온도안진검사(caloric test)

② 회전의자검사(rotatory chair test)

③ 비디오두부충동검사(video head impulse test)

④ 동적자세검사(posturography)

⑤ 안구운동검사(oculomotor test)

Rhinology

문 1. 만성부비동염(chronic rhinosinusitis, CRS)의 내재형(endotype)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호산구성(eosinophilic) CRS의 경우 주로 상악동을 침범하며, 일측성 병변이 많다.

② 호중구성(neutrophilic) CRS의 경우 서양인 비용종의 80% 정도에서 흔히 나타나는 내재형이다.

③ 비용(nasal polyp, NP)의 유무에 따라 CRS with NP, CRS without NP로 분류하는 방법이 내재형 분류이다.

④ 호산구성 CRS의 경우 Th-2 면역반응이 주로 일어나며, interleukin (IL)-4와 IL-13의 과다발현이 동반되는 염증반응이 주로 일어난다.

⑤ 비호산구성(non-eosinophilic) CRS의 경우 초기에 후각소실이 발생하며, 비용의 재발이 매우 흔한 내재형 분류로 알려져 있다.

문 2. 호산구성(eosinophilic) CRS 염증 반응 중 ILC2와 Th2 cell에서 분비되는 IL-5에 의해 이동하는 세포는?

① B cell

② Mast cell

③ Eosinophil

④ Dendritic cell

⑤ Natural killer T (NK-T) cell

Head and Neck

문 1. 구인두암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최근들어 구인두암의 발생빈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이유는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 감염이 원인이다.

②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중 구인두암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유전자형은 16번이다.

③ 문란한 성관계나 구강성교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 및 구인두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

④ 구인두암 발생에는 종양억제인자인 p16 불활성화와 TP53의 소실 등이 관련이 있다.

⑤ 인유두종바이러스(HPV)의 발암단백질인 E1과 E2는 발암과정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문 2. 인유두종바이러스(HPV)가 원인인 구인두암과 그렇지 않은 구인두암의 특성을 비교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인유두종바이러스(HPV)가 원인인 구인두암은 그렇지 않은 구인두암에 비해 비교적 젊은 나이에서 발생한다.

② 인유두종바이러스(HPV)가 원인인 구인두암은 p16 발현이 안되는 반면에 그렇지 않은 구인두암은 p16 과발현이 특징적이다.

③ 인유두종바이러스(HPV)가 원인인 구인두암은 그렇지 않은 구인두암에 비해 nonkeratinizing 편평세포암이 더 많이 발생한다.

④ 인유두종바이러스(HPV)가 원인인 구인두암은 그렇지 않은 구인두암에 비해 예후가 좋다.

⑤ 인유두종바이러스(HPV)가 원인인 구인두암은 그렇지 않은 구인두암에 비해 국소재발률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①

해 설 부비동 저류낭종은 상악동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문 2. 답 ②

해 설 부비동 전산화단층촬영이 가장 정확한 검사법으로, 자기공명영상은 부비동의 염증성 병변에 대해 일차적으로 사용되는 검사는 아니다.

문 3. 답 ①

해 설 낭종이 양측성인 경우 크기가 커질 수 있는 확률이 높아 정기적인 추적관찰 후 수술 여부를 결정한다.

문 4. 답 ⑤

해 설 저류낭종은 부비동 내시경수술로 제거하는 것이 원칙이며, 1, 2는 과거에 주로 사용되던 술식이고 3, 4는 그 이점에 대해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Otology

문 1. 답 ④

해 설 롬버그검사는 전정척수반사, 손가락-코검사는 소뇌기능검사를, 신속안구운동검사와 시추적검사는 안구운동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두부충동검사는 반고리관의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전정안구반사를 평가할 수 있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247-8, 254.

문 2. 답 ③

해 설 *표시된 해부학적 구조물은 후반고리관으로 비디오두부충동검사는 측반고리관 기능뿐 아니라 전, 후반고리관의 기능을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262.

Rhinology

문 1. 답 ④

해 설 호산구성(eosinophilic) CRS의 경우 초기에 주로 사골동을 침범하며, 내시경상 양측성 비용이 많다. 또한 초기에 후각소실이 발생하며, 천식을 동반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비용의 재발이 흔하다. 서양인 비용종의 80% 정도에서 흔히 나타나는 내재형이다.

호산구성 CRS의 경우 Th-2 면역반응이 주로 일어나며, IL-4와 IL-13의 과다발현이 동반되는 염증반응이 주로 일어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322, 333-5, 338-9.

(최신) 임상비과학. 보완판. 파주: 군자출판사;2020. p.335, 343-5.

문 2. 답 ③

해 설 호산구성 만성 부비동염의 제2형 염증 반응에서 IL-5는 Th2 cells and ILC2s에서 분비되어, 호산구의 생존을 연장시키고, 호산구의 이동에 역할을 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96-8, 113-5, 338-9.

(최신) 임상비과학. 보완판. 파주: 군자출판사;2020. p.180-4.

Head and Neck

문 1. 답 ⑤

해 설 인유두종바이러스(HPV)의 발암단백질인 E6와 E7은 발암 과정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444-5.

문 2. 답 ②

해 설 인유두종바이러스(HPV)가 원인인 구인두암은 p16 과발현이 특징인 반면에 그렇지 않은 구인두암은 p16 발현이 안되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444.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