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2. 전국 데이터를 이용한 우리나라 청각장애 및 보장구 현황: NHIS-데이터베이스, 2010 to 2020
Part 2. Current Status of Hearing Disability and Hearing Rehabilitation Devices in Korea Using National Data: NHIS-Database, 2010 to 2020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rends in hearing disability and the use of hearing rehabilitation devices (hearing aids and cochlear implants)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11 years (2010-2020)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Subjects and Method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NHIS database, covering approximately 97%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Patients diagnosed with hearing loss were classified using ICD-10 codes. The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trends in hearing disability, hearing aid prescriptions, and cochlear implant usage by age, gender, and types and causes of hearing loss.
Results
The number of hearing disability patients increased from 170900 in 2010 to 362738 in 2020, with an annual growth rate of 7.95%. The highes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60 age group, with an annual growth rate of 11.04%. Hearing aid prescriptions rose from 4966 in 2010 to 11974 in 2020, showing a 10.45% annual increase. Females showed a higher growth rate in both hearing disability and hearing aid prescriptions compared to males. Cochlear implant prescriptions also increased, particularly among older adults.
Conclusion
The study highlights a significant rise in hearing disability and the use of hearing aids and cochlear implants in South Korea, especially among the elderly.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for hearing loss and the need for policy improvements to enhance accessibility and affordability of hearing rehabilitation services. Additional strategies are needed to ensure appropriate hearing rehabilitation for those not yet receiving adequate care.
서 론
청각장애는 일반적으로 심각한 난청이 있거나 청력이 거의 없는 상태로 정의된다[1]. 1997년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청각장애를 중증도(moderate)부터 심도(profound) 난청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는 순음청력검사에서 청력이 더 좋은 귀의 주요 주파수(0.5, 1, 2, 4 kHz) 평균이 41 dB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2]. 청각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지며, 특히 심한 청력 손상은 우울증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청각장애인의 보청기 사용은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3-5].
청각장애의 유병률은 보고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전세계적으로 15세 이상 남성의 유병률은 12.2% (9.2%-16.2%), 여성의 유병률은 9.8% (7.7%-13.2%) 정도이며 전세계적으로 약 13억 명의 사람들이 청각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보고도 있었다[6,7]. 2023년 Reed 등[8]은 미국에서 71세 이상의 성인 중 약 28%가 청각장애를 겪고 있으며, 그중 약 22%가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1975년 이후 발표된 연구들을 조사한 독일의 문헌 연구에 따르면, 청각장애 유병률은 대체적으로 16%-25% 범위로 보고되었으나 이들의 보청기 사용 비율에 대한 데이터는 부족했다[9]. 아시아 및 중동 국가의 청각장애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정확한 데이터가 부족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10]. 최근 국내에서도 편측성 난청에 국한된 전국적인 청각장애 현황에 대한 연구가 발표된 바 있으며, 한국인 편측성 난청의 보청기 사용률은 0.86%로, 이는 미국의 2.0%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11-13].
청각장애를 포함한 난청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최대 1940억 달러로 추정되며, 청각장애 그룹은 청력이 정상인 그룹보다 평균적으로 약 200달러의 의료비용을 더 지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4,15]. 미국 지역사회 조사(American Community Survey)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보청기 구입 비용은 평균 2500달러였으며, 미국인의 4분의 3은 이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16]. 또한, 개발도상국과 같은 저소득 국가에서도 보청기와 같은 기타 목적의 청각재활 기기를 구입하고 유지하는 데 비용의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지원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17]. 이는 저소득층이 보청기를 포함한 청각 재활 서비스를 받는 데 있어 비용이 큰 장애물로 작용하며, 이로 인해 난청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을 의미한다.
국내에서 세계보건기구(WHO)의 Ear and Hearing Care Situation Analysis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된 과거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난청 관련 의료 전달 체계 및 관리 수준은 선진국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8].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세계적 추세와 비슷하게 청각장애의 유병률과 의료 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국적인 파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11]. 국내 의료환경에서 난청이 심한 사람들은 병원에서 순음청력검사를 포함한 다양한 청각검사를 통해 청각장애로 판정을 받으며, 이 정보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는 전 국민의 약 97%를 포함하고 있으며, 청각장애 환자의 진료 행태와 현황을 파악하는 데 최적의 자료를 제공한다. 이 데이터에는 인구 통계, 의료 서비스 이용 내역, 진단 정보, 처방 및 치료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의학적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이를 통한 청각장애 관련 전국적인 데이터 분석은 청각장애인들에게 보청기 보조금과 통신 서비스 등의 사회적 및 경제적 지원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근거 자료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19-21].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난청의 진료 행태를 바탕으로 국내의 연령대별, 성별에 따른 청각장애와 보청기 및 인공와우를 포함한 청각재활 기기의 현황에 대하여 최근 11년간(2010-2020년)의 연도별 추세 현황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한민국 국민의 약 97%가 건강보험에 가입된 국민건강보험공단(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의 데이터베이스는 사실상 대한민국 전체 인구를 포함한다[20].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는 건강보험 대상자(전국)의 병력(상병코드), 의약품 처방, 진료 행위, 건강검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정보 주체를 알아볼 수 없도록 비식별화한 후 정책 및 학술연구를 위한 데이터셋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대한청각학회-국민건강보험공단의 업무협약(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연구 승인을 받아 수행하였다(CR321338).
난청의 조작적 정의는 이전 연구와 동일하게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개정판(ICD-10)에 따른 진단코드를 사용하였다(Table 1) [22].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한 맞춤형 데이터셋의 주진단 및 부진단에 H90, H91, H930, H833, F446의 상병코드를 포함하는 대상자는 총 6424491명이었다(Fig. 1). 이 중 성별 및 연령의 결측치 및 표기 오류를 포함하여 유형 및 원인별로 정의한 조작적 정의에 따라 최종적으로 5784429명의 대상자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각장애 환자 수, 청각장애등급별 현황, 난청 및 청각장애에 따른 보청기 처방 환자 수와 이들의 난청 관련 이비인후과 내원당 1인 평균 의료비용, 난청의 유형 및 원인별 보청기 처방 건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보다 포괄적인 대상을 파악하기 위해 보청기 처방 환자 수와 의료비용, 그리고 인공와우 처방 환자 수는 결측값 및 표기 오류만 제거한 초기 맞춤형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한눈에 쉽게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도표로 정리하였다.
청각장애는 건강보험 청구자료의 주장애유형에서 청각장애(04)에 해당하는 환자를 포함하였다. 종합장애등급코드에 따라 장애등급을 1-6등급까지 분류하였으며 2019년부터 1-3등급은 ‘심한’, 4-6등급은 ‘심하지 않은’ 등급으로 변경되었다. 질병진료행위코드에 따라 보청기(처방코드- 20340, FY333, FY334)와 인공와우이식술(처방코드- S5800, S5685)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포함하였다. 환자 수는 명세서 기준으로 2010년부터 2020년 사이에 한 번이라도 진료 내역이 있는 환자들을 연구 대상자에 포함하였다. 난청 관련 이비인후과 내원당 1인 평균 의료비용은 난청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들이 이비인후과에서 본 연구에 포함된 난청 관련 상병으로 사용한 의료비용을 추출한 후, 내원당 1인 평균 비용을 계산하였다. 보청기 처방 관련 의료비용은 보청기 처방코드에 해당하는 환자의 명세서를 연도별로 합산하여 산출하였다. 연평균 증감률은 연도별로 (전년도 값-올해 값)/올해 값을 나눈 뒤 11년간의 평균을 계산하였다. 나이는 진료일자에서 출생연도를 뺀 값으로 계산하였으며, 연령대를 10세 미만,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소프트웨어 버전 9.4 (SAS Institute, Cary, NC, USA)를 사용하였다.
결 과
청각장애 및 등급별 현황
국내 청각장애의 환자 수는 2010년 170900명에서 시작하여 2020년에는 362738명으로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7.95%의 증가율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1년간 연평균 11.04% 증가율을 보였으며, 특히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5.8% 증가하다가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14.53%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11년간 연령별 증감률은 60세 이상 다음으로 20대(0.64%), 10세 미만(0.12%) 순으로 증가율을 보였고, 40대(-4.31%), 10대(-3.6%), 30대(-2.97%), 50대(-1.03%) 순으로 감소율을 보였다(Fig. 2A).
2010년에서 2020년까지 성별에 따른 청각장애 환자 수를 비교했을 때, 남성(53.64%)의 비율이 여성(46.36%)에 비해 더 높았다. 남성 환자 수는 2010년 93678명에서 2020년 189719명으로 연평균 7.42% 증가하였으며, 여성 환자 수는 2010년 77222명에서 2020년 173019명으로 연평균 8.58% 증가하여 여성의 연평균 증가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Fig. 2B and C).
청각장애의 증가율을 등급별로 구분하여 확인해보면 5등급(13.11%), 4등급(8.32%), 6등급(5.59%), 1등급(2.6%), 3등급(2.36%), 2등급(1.17%) 순서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Fig. 3). 2019년부터 ‘심한’ 등급과 ‘심하지 않은’ 등급으로 변경되었으며 과거의 자료를 이로 환산하여 확인해보면, 2010년에는 1-3등급(심한)과 4-6등급(심하지 않은)이 각각 약 48%와 62%를 차지하였으나, 2020년에는 심한 등급과 심하지 않은 등급이 각각 약 20%와 80%의 비중을 보였다. 11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심한 등급과 심하지 않은 등급이 각각 1.65%와 10.64%로 관찰되었다.
보청기 처방 전 난청 및 청각장애 유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1년 동안, 난청 진단 후 보청기 처방 환자와 난청 및 청각장애 모두 진단 후 보청기 처방 환자의 연도별 환자 수와 난청 관련 이비인후과 내원당 1인 평균 진료비용을 나타내었다(Fig. 4). 난청 진단 후 보청기 처방 환자 수는 2010년 3658명에서 2020년 8274명으로, 연평균 9.04% 증가하였다. 그에 따른 난청 관련 이비인후과 내원당 1인 평균 진료비용은 11년간 연평균 증감률은 0.4%였으나, 2010년 50860원에서 2020년 48946원으로 실제 비용은 11년 사이 약 -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Fig. 4A). 난청 및 청각장애 모두 진단 후 보청기 처방 환자 수는 2010년 1230명에서 2020년 2431명으로, 연평균 8.94% 증가하였다. 그에 따른 난청 관련 이비인후과 내원당 1인 평균 진료비용은 연평균 증감률은 0.37%였지만, 2010년 67448원에서 2020년 52840원으로 실제 비용은 11년 사이 약 -22% 더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Fig. 4B). 두 집단 간 이비인후과 내원당 평균 진료비용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난청 진단 후 보청기 처방 환자와 난청 및 청각장애 진단 후 보청기 처방 환자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021). 또한, 보청기 처방 환자들의 난청 최초 진단 후 보청기 처방까지의 평균 기간은 약 769.2일이며, 최초 청각장애 진단 후 보청기 처방까지의 평균 기간은 약 598.6일이었다.
보청기 및 진료 비용 현황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1년간의 난청 유형별 보청기 처방 건수를 살펴본 결과, 감각신경성 난청이 6989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의 약 51%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혼합성 난청은 17%, 기타 난청은 약 14%로 나타났다. 상병코드에 따른 난청의 원인별로 분류하여 보청기 처방 건수를 파악했을 때, 돌발성 난청과 노인성 난청은 각각 약 2%의 비율을 보였으며, 전음성 난청은 약 1%로 현저히 적었다. 소음성 난청과 이독성 난청은 1% 미만이었다. 본 연구에서 난청으로 명시하지 않은 그 외 코드로 보청기가 처방된 건수는 16098건으로 전체의 12%를 차지하였다(Table 2).
보청기 처방 환자 수는 2010년 4966명에서 시작하여 2020년에는 11974명으로, 연평균 10.45% 증가하였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환자가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1년간 연평균 13.31%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2010년부터 2017년까지는 연평균 22.26% 증가하다가 2017년부터 2020년까지는 연평균 -7.58%로 감소하였다. 11년간 보청기 처방 환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60세 이상 다음으로 50대(9.64%), 30대(5.7%), 40대(4.77%), 10세 미만(4.13%), 20대(1.5%) 순이었으며, 10대는 연평균 -0.52%로 감소하였다(Fig. 5A).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성별에 따른 보청기 환자 수의 비율은 남성(46.7%)에 비해 여성(53.3%)에서 더 높았다. 남성 보청기 처방 환자 수는 2010년 2351명에서 2020년 5559명으로 연평균 10.23% 증가하였고, 여성의 보청기 환자 수는 2010년 2615명에서 2020년 6415명으로 연평균 10.67% 증가하여 두 성별 간 비슷한 증가율을 보였다(Fig. 5B and C).
보청기 처방 관련 의료비용은 2010년 531858천원에서 2020년 2744189천원으로, 11년 동안 연평균 19.76%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2010년에 비해 2020년의 보청기 관련 의료 비용이 5.16배로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연령별 연평균 증가율은 30대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10세 미만, 70세 이상, 20대, 50대, 40대, 60대, 10대 순서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Table 3).
인공와우이식술 환자 수
인공와우 처방 환자 수는 2010년 628명에서 시작하여 2020년에는 761명으로, 연평균 2.43% 증가하였으며 특히 2015년에서 2016년은 5.28%로 급격히 증가한 시점이 있었다. 연령별 연평균 증감률을 분석한 결과, 10세 미만(-3.69%)과 10대(-1.37%)의 인공와우 처방 환자 수는 11년간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낸 반면, 60세 이상(14.15%), 50대(6.29%), 40대(6.08%), 20대(4.91%), 30대(4.13%) 순서로 연평균 증가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Fig. 6A).
2010년에서 2020년까지 성별에 따른 인공와우 처방 환자 수의 비율은 남성(50.53%)과 여성(49.47%)이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남성의 인공와우이식술 환자 수는 2010년 303명에서 2020년 373명으로 연평균 3.05% 증가하였고, 여성의 인공와우이식술 환자 수는 2010년 325명에서 2020년 388명으로 연평균 2.22% 증가하여 근소하지만 남성이 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Fig. 6B and C).
고 찰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1년 동안 청각장애 및 보청기와 관련된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였다.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는 전 국민의 약 97%가 가입되어 있어 국가적 데이터를 통해 국내 현황 파악하는 데 유용성하지만, 병·의원 접근성이 좋은 국내 의료환경에서도 질환은 있지만 병·의원에 내원하지 않은 환자들의 현황은 집계되지 않는다는 일반적 한계가 있어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20].
청각장애를 가진 개인이 사회적, 재정적 지원(보청기 보조금, 통신 서비스 등)을 받기 위해서는 청각장애인으로 등록되어야 한다. 청각장애인 등록 절차는 읍, 면, 동사무소 사회복지과에서 장애인등록 상담 및 장애진단 의뢰서를 발급받고, 진단검사가 가능한 의료기관에서 순음청력검사, 어음인지도 검사, 청성뇌간유발반응 검사 등을 받아야 한다[21].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는 이러한 절차를 통해 청각장애인으로 등록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청각장애 환자의 진료 행태를 상세히 분석하는 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
세계적으로 WHO 기준으로 청각장애를 41 dB 이상으로 정의하지만, 우리나라의 청각장애 기준은 최소 한 귀의 청력 손실이 80 dB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 dB 이상이거나 양쪽 청력 손실이 60 dB 이상의 난청이 있어야 청각장애인으로 등록될 수 있다[23]. 따라서 WHO에서 제시한 청각장애인 중등도(moderate) 이상의 난청보다 청각장애의 기준이 엄격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청각장애는 해외의 청각장애 관련 보고 및 문헌보다 유병률이 다소 과소추정 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국내의 엄격한 청각장애의 기준을 가진 난청인이라 하더라도 병의원을 통한 청력검사 및 난청인 등록이 되지 않은 인구는 본 연구에서 집계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보다 낮게 나타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24]. 이는 국내의 엄격한 청각장애의 기준으로 인해 혜택을 받지 못하는 41-60 dB의 중등도 난청 환자들이 청각장애자로서 적절한 청각재활을 받지 못하는 의료 사각지대에 있으며 이들은 더 적극적으로 보청기 등을 통한 청각재활 등의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실제로 중등도 난청 환자는 문헌 연구에서 성인의 약 25%를 차지하여 비교적 높으며 65세 이상의 성인 중 증등도 난청이 있는 환자는 정상 청력을 가진 사람보다 개인 활동 및 참여 제한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5,26].
본 연구의 결과에서 청각장애 환자 수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7.95% 증가율을 보였으며, 특히 2015년부터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연령별로 살펴봤을 때 60세 이상을 제외하곤 미비하게 증가하였거나 감소하였지만, 60세 이상 환자 수가 연평균 11%를 증가하면서 전체 환자 수에 크게 반영되었다. 이는 2015년 변경된 정부의 보청기 보조금 인상 정책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하지 않던 잠재적 60세 이상 청각장애 환자들이 의료기관 이용을 통해 청각장애를 진단받으면서 보청기의 혜택을 봄과 동시에 국가적으로 청각장애 환자 현황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지난 11년간의 난청 및 청각장애 환자가 증가하여 나타나는 효과와 정부의 정책 변화로 국민건강보험을 통해 파악되지 않았던 난청 및 청각장애의 파악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27]. 이는 인구 고령화가 청각장애 발생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과 동시에 정부의 정책 변화가 질병 혹은 장애의 현황 파악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장애분류는 일반적으로 1등급부터 6등급으로 분류하며 청각장애의 경우 단일장애는 2등급을 최중증 장애로 분류한다. 청각장애등급에서 1등급에 해당하는 환자는 주장애인 청각장애 2등급이며 언어장애 및 보조장애(지적장애 및 자폐성 장애, 정신장애 등)가 1-4등급인 경우에만 해당되므로 청각장애만 놓고 보면 본 연구에서의 1등급은 2등급과 같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28]. 본 연구에서 청각장애 등록인 수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꾸준히 증가해왔지만 ‘심한 등급’의 증가율에 비해 ‘심하지 않은’ 등급의 증가율이 훨씬 높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실제로 ‘심하지 않은 청각장애’의 환자 수가 증가한 영향도 있겠으나 정부의 정책 변화로 새로이 발견 혹은 파악된 ‘심하지 않은 청각장애’가 증가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청각장애 및 보청기 처방 환자 수의 증가율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은 국내에서 수행된 이전 난청인의 현황 연구 결과와 비슷한 추세였다. 이는 난청 관련한 청각장애 및 보청기의 진료 행태 모두 여성의 의료기관 이용률이 우리나라 인구 특성상 연령이 높아질수록 여성의 수가 더 많은 것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29]. 남성과 여성의 보청기 사용 패턴을 분석한 연구를 보면, 남성과 비교하여 여성은 매일 보청기를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30]. 남성과 여성의 청각 시스템 차이, 의사소통, 심리적 문제에 따라서 성별에 따른 청각 보건 전략을 다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보청기 처방 환자 수는 청각장애 진단 환자 수와는 다르게 2010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7년부터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60세 이상 환자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대에서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보청기 처방과 관련된 의료비용은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1년 동안 연평균 19%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2010년에 비해 2020년 진료비용이 약 5배 증가하였음을 고려할 때, 이는 보청기 처방 환자 수가 실제로 감소하였다기 보다는 병의원을 통해 보청기를 처방 받은 경우보다 병의원을 통하지 않은 일반 보청기 업체를 통한 보청기 착용의 비율이 증가하였을 영향으로 추정된다. 지난 11년간 보청기 처방 환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더 많은 환자들이 보청기의 혜택을 받을 수 있었지만, 보청기 의료비용 또한 꾸준히 증가한 점은 보청기 지원 정책의 확대뿐 아니라 이들의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한 추가적인 관리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청각장애 진단 후 보청기 처방 환자와 난청 진단 후 보청기 처방 환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난청 진단 후 보청기 처방 환자의 수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난청 관련 이비인후과 내원당 평균 진료비용은 증가하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식은 실제 난청 상병이 있는 환자 1인의 이비인후과 1회 내원당 평균 진료비용을 반영하며, 보청기 처방 환자 수의 증가가 반드시 난청 환자 1인의 이비인후과 1회 내원당 평균 진료비용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진료비용 측면에서, 난청 및 청각장애 모두 진단 후 보청기 처방 환자의 이비인후과 내원당 평균 진료비용이 46116원으로, 난청 진단 후 보청기 처방 환자의 40726원보다 높았다. t-검정을 통해 이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그룹 간의 평균 진료비용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021). 이는 청각장애를 진단받고 나서야 보청기 처방 환자들의 청각재활에 소요되는 이비인후과 내원당 의료비용이 더 높으며, 청각재활에 더 많은 의료비용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는 청각장애 진단을 받기 전에 난청이 시작되고 보청기를 일찍 처방받을수록 의료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31]. 난청 및 청각장애 모두 처방 후 보청기 처방까지의 기간보다 난청 진단 이후의 보청기 처방까지의 기간은 더 길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함께 미루어 생각하면, 난청 진단 이후 보청기에 대한 접근을 높이거나 조기에 보청기를 처방 받을 수 있도록 정책의 변화를 통한 혜택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보청기 사용자는 보청기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보다 덜 활동적이며 우울증이나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더 받는다는 기존의 문헌까지 고려하면 난청인에게 보청기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의사소통 문제를 개선할 뿐 아니라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32,33].
보청기 처방 환자의 주진단 및 부진단 코드에 따른 난청의 유형별 및 원인별 분류에서는 대표적으로 감각신경성 난청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혼합성 난청과 기타 난청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국내 난청의 현황을 파악한 기존 연구와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며, 기타 난청과 같은 비특이적 진단명이 실제 감각신경성과 혼합성 난청 등에 어느 정도 포함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난청의 유형별 및 원인별 분류는 실제 진료현장에서 난청의 유형뿐 아니라 원인에 따른 상병 코드 입력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유형별보다는 원인별 코드 입력이 어려울 수 있음을 감안하여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상기 기술된 국내의 청각장애인 등록 기준을 고려하면, 청각장애를 진단받은 환자의 일부는 보청기를 통한 청각재활을 하였을 것이고, 일부는 인공와우를 통한 청각재활을 하였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국내에서 성인 인공와우는 순음청력검사를 기준으로 양이의 청력이 모두 70 dBHL 이상인 경우에 급여를 받을 수 있다. 청각장애 진단 및 보청기 처방의 증가에 따라 인공와우의 처방 또한 증가해 왔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2015년에서 2016년 사이에는 증가율이 약 5%로 급격히 증가하는 점은 정부의 보청기 급여 확대 정책으로 병의원을 통한 청각장애의 파악이 증가하였고 이들 중 많은 환자들이 인공와우의 혜택을 받은 결과로 추정된다[34]. 인공와우와 보청기를 포함한 청각재활은 여전히 조기 진단 및 적절한 치료 시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30대에서 60대로 갈수록 인공와우 처방의 증가율이 증가함을 고려하면, 고령화 사회에서 보청기뿐 아니라 인공와우를 통한 청각재활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점을 의미한다. 인공와우는 성인뿐 아니라 청각장애를 겪는 아동들의 청각 능력 및 전반적인 인지 및 행동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35]. 따라서 보청기뿐 아니라 인공와우 이후의 경과 및 예후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의 전국적인 청각장애와 보청기 및 인공와우 처방의 현황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건강보험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연구자, 정책 담당자가 국내 청각장애와 보청기 및 인공와우 처방 현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제공에 중점을 두었다. 의료 빅데이터 분석은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활용 목적과 분석 방법에 유의해야 하며 그 결과를 해석할 때 데이터의 특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의료기관을 통한 현황만 파악이 가능하다. 난청 및 청각장애의 진단 측면에서는 의료기관에 내원하지 않은 아직 파악되지 않은 의료사각지대의 난청인 및 청각장애인에 대한 현황이 파악되지 않은 점을 감안해야 하며, 특히 보청기 처방의 경우 병의원을 통한 보청기 처방이 아닌 경우 본 연구의 보청기 처방 현황에서 누락될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하며 보청기 처방이 반드시 병의원이 아닌 일반 보청기 업체 혹은 대리점을 통한 보청기 사용 또한 낮지 않음을 감안할 때 실제 난청인 혹은 청각장애인의 보청기 사용 비율은 본 연구의 결과보다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대한청각학회-국민건강보험공단의 업무협약(MOU)를 통한 정책연구로 수행된 두 번째 연구이다. 저자들은 다음 연구로서 병·의원의 진료를 통해서 전국적으로 수집되는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연구로서 병의원에서 시행되는 인공와우를 포함한 이식형 청각 기기를 통한 청각 재활의 국내 현황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수행하여 난청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이해를 더욱 향상하고자 한다. 이러한 국내 현황의 보고는 국제적인 연구 협력을 통해 보다 글로벌한 난청 빅데이터 연구가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ements
None
Notes
Author Contribution
Conceptualization: Young Joon Seo, Junhun Lee, Tae Hoon Kong. Data curation: Junhun Lee, Chul Young Yoon, Jiwon Kim. Formal analysis: Junhun Lee, Chul Young Yoon, Tae Hoon Kong. Funding acquisition: Young Joon Seo. Investigation: Junhun Lee. Methodology: Junhun Lee, Tae Hoon Kong. Project administration: Young Joon Seo, Tae Hoon Kong. Resources: Junhun Lee, Chul Young Yoon. Software: Junhun Lee, Chul Young Yoon, Jiwon Kim. Supervision: Young Joon Seo, Tae Hoon Kong. Validation: all authors. Visualization: Junhun Lee, Chul Young Yoon, Jiwon Kim. Writing—original draft: Junhun Lee. Writing—review & editing: all auth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