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수술에서 배액관 사용의 필요성: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Necessity of Using Drains in Thyroid Surger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24;67(11):561-570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November 15
doi : https://doi.org/10.3342/kjorl-hns.2024.00206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Hallym University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waseong, Korea
한성준orcid_icon, 임윤서orcid_icon, 박일석orcid_icon, 한승훈orcid_icon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Address for correspondence Seung Hoon Han, M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Hallym University Dontan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7 Keunjaebong-gil, Hwaseong 18450, Korea Tel +82-31-8086-2670 Fax +82-31-8086-2709 E-mail mip115@naver.com
Received 2024 April 11; Revised 2024 May 18; Accepted 2024 May 20.

Trans Abstract

Thyroid surgery, characterized by its high risk due to the vascular nature of the thyroid gland, often leads to significant postoperative bleeding. This study assesses the efficacy of using drains to prevent complications such as hematomas, seromas, and bleeding, and their impact on infection rates and hospitalization duration post-thyroidectomy. Following the PRISMA guidelines, a systematic search was conducted across PubMed, Embase, and the Cochrane Library, includ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published prospective studies on patients undergoing thyroidectomy by November 15, 2023. The analysis focused 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as primary outcomes. Thirty-five studies with 4283 participants (2162 with drains and 2121 without) were analyzed. The meta-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reduction in hematomas, bleeding, or seroma formation in the drain group. However, drain usage was correlated with a higher infection rate (odds ratio 3.31; 95% confidence interval [CI] 1.92-5.70, p<0.001) and longer hospital stays (mean difference=1.38 days, 95% CI 1.00-1.76, p<0.001). The employment of drains in thyroid surgery does not significantly impact the prevention of typical surgical complications but is linked to increased infection risks and extended hospitalization. These findings challenge the conventional practice of utilizing drains in thyroidectomy,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a tailored approach based on individual patient assessments.

서 론

갑상선은 혈관이 풍부한 중요한 장기로, 갑상선 절제술은 수술 후 상당한 양의 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수술 중 하나이다. 특히, 갑상선 수술 후 발생하는 출혈은 갑상선의 특정 위치 때문에 후두나 기관을 압박하여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긴급한 처치를 필요로 한다[1]. 이와 같은 배경에서, 수많은 외과의들은 출혈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배액관을 거치하는 방법을 선호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 달리, 다수의 연구에서는 배액관의 사용이 수술 후 출혈이나 장액종 형성을 예방하는 데에 있어 효과적이지 않으며, 오히려 입원 기간을 연장시키고 환자에게 불편함을 증가시키며 목 부위의 흉터 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2-4]. 더욱이, 고배율 카메라, 초음파절삭기 사용 등 수술 기술과 지혈 방법의 발전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액관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5].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갑상선 수술 후 배액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배액관 사용과 관련된 연구들의 특성 및 질적 수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관련된 변수들과의 메타분석을 통해 갑상선 수술 후 배액관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갑상선 절제술 후의 출혈 관리 방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갑상선 수술을 받는 환자들의 치료 결과를 개선하고,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문헌 검색

본 연구는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의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 체계에 따라 수행되었다[6]. 논문의 출판연도에 대해서 제한하지 않았으며 2023년 11월 15일까지 출판된 논문을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Pubmed의 경우 (Thyroid*[Title/Abstract] OR “Thyroid Gland”[Mesh] OR “Thyroidectomy”[Mesh]) AND (Drain*[Title/Abstract] OR “Drainage”[Mesh])의 검색식을 사용하였고, Embase에서 (thyroid*:ab,ti OR ‘thyroid gland’/exp OR ‘thyroidectomy’/exp) AND (drain*:ab,ti OR ‘surgical drainage’/exp)의 검색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Cochrane Library에서는 (MeSH descriptor: [Thyroid Gland] explode all trees OR MeSH descriptor: [Thyroidectomy] explode all trees OR (Thyroid*):ti,ab,kw) AND (MeSH descriptor: [Drainage] explode all trees OR (Drain*):ti,ab,kw)와 같은 검색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다른 연구를 식별하기 위해 관련 연구의 참고 문헌들을 직접 검색하였다.

논문의 선별 및 질 평가

구체적인 선정기준은 갑상선전절제술 혹은 부분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 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s) 또는 전향적 연구(prospective study)로서 정량적 결과가 보고된 연구만 선정하였다. 후향적 연구(retrospective study), 사례 보고(case report)는 제외하였다. 또한 정량적 결과가 없는 연구는 제외하였다.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연구는 2명의 독립적인 연구자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선정여부에 대해 불확실성이 있는 경우 세 번째 연구자에게 문의하였다. 일차 결과 분석은 수술 후 합병증과 입원 기간이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혈종, 출혈, 감염, 장액종 등이 있었다. 선별과정을 거쳐 선정된 논문을 두 명의 연구자가 편향 위험(risk of bias) 평가를 위해 Cochrane Collaboration’s tool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질 평가를 실시하였고, 의견 불일치가 있는 경우 세 번째 연구자의 개입을 통해 추가적인 질 평가를 실시하여 최종 의논을 통해 일치된 결과를 도출하였다[7].

자료의 추출 및 메타분석

갑상선 수술 후 배액군과 무배액군에서의 수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에 대하여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과 함께 odds ratio (OR)를 계산하였다. 두 군 간의 연속적 결과인 병원 입원 기간에 대해서는 평균 차이와 95% CI를 계산하였다. 보고된 데이터가 평균 및 표준편차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표본 크기, 중앙값, 범위를 사용하여 평균과 분산을 추정하였다. 선정 연구에서 중앙값과 사분위범위(inter quartile range)가 보고되었을 경우, 결과 변수의 중앙값은 평균 반응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동질성검정은 I2 통계량을 이용하였으며 I2 값이 0%-24%까지는 이질성이 없음, 25%-49%까지는 약간, 50%-74%까지는 중간, 75% 이상일 때는 이질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8]. I2 통계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랜덤효과 모형(random effects model)을 사용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s model)을 사용하였다. Funnel plot을 통해 출판 편향을 평가하였다. 모든 분석은 Cochrane Library의 RevMan 5.3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p-value<0.0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 과

검색결과

확인된 2413개 논문 중 75개 연구가 전문 검토를 위해 평가되었다(Fig. 1). 후향적 연구(24), 정량적 결과 없음(6), 주제와 관련없는 연구(10) 등의 이유로 40개의 연구을 제외하고 총 35개의 연구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포함된 35개 논문은 모두 무작위 대조 시험이었다. 포함된 모든 연구에서 4283명의 환자가 모집되었으며, 배액관 군에서는 2162명, 비배액관 군에서는 2121명이 모집되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32-58세였다. 갑상선 전절제술 시행 비율은 배액관 군에서 8%-100%, 비배액관 군에서는 0%-100%였다(Table 1).

Fig. 1.

PRISMA flow diagram.

Summary of characteristics of selected studies for meta-analysis

수술 후 혈종(hemartoma) 발생

수술 후 혈종 발생에 대해 총 26개의 연구들에 대하여 메타분석이 시행되었다[2-4,9-30,37]. 연구들 사이에는 유의미한 이질성이 없었으므로 고정효과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33, I2=10%) (Fig. 2).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의 1774명 중 70명(3.9%)과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의 1720명 중 68명(4.0%)에서 수술 후 혈종이 발생했다(OR 1.02; 95% CI 0.72-1.44).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93).

Fig. 2.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wound hematoma without drains in thyroidectomy.

수술 후 출혈(hemorrhage) 발생

수술 후 출혈 발생에 대해 총 17개의 연구들에 대하여 메타분석이 시행되었다[2-4,9,10,12-17,19,21-23,31,32]. 연구들 사이에는 유의미한 이질성이 없었으므로 고정효과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78, I2=0%) (Fig. 3).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의 933명 중 13명(1.4%)과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의 935명 중 7명(0.7%)에서 수술 후 출혈이 발생했다(OR 1.57; 95% CI 0.71-3.47).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7).

Fig. 3.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hemorrhage without drains in thyroidectomy.

수술 후 장액종(seroma) 발생

수술 후 장액종 발생에 대해 총 17개의 연구들에 대하여 메타분석이 시행되었다[3,4,10-13,15,16,18,19,22,23,29,33-35,37]. 연구들 사이에는 유의미한 이질성이 없었으므로 고정효과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91, I2=0%) (Fig. 4).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의 1250명 중 28명(2.2%)과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의 1198명 중 36명(3.0%)에서 수술 후 장액종이 발생했다(OR 0.71; 95% CI 0.43-1.18).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9).

Fig. 4.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wound seroma without drains in thyroidectomy.

수술 후 감염(infection) 발생

수술 후 감염 발생에 대해 총 27개의 연구들에 대하여 메타분석이 시행되었다[4,9,10,12-20,22-30,32,34-38]. 연구들 사이에는 유의미한 이질성이 없었으므로 고정효과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99, I2=0%) (Fig. 5).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의 1678명 중 51명(3.0%)과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의 1685명 중 12명(0.7%)에서 수술 후 감염이 발생했다(OR 3.31; 95% CI 1.92-5.70).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수술 후 감염 발생율이 높았다 (p<0.001).

Fig. 5.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without drains in thyroidectomy.

병원 입원 기간

총 21개의 연구에서 두 군 간의 비교한 입원 기간에 대해서 메타분석을 시행했다[2-4,11-16,18,19,22,23,29,31,32,34,36,37,39,40]. 연구들 사이에서 상당한 이질성을 보여 무작위 효과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001, I2=98%) (Fig. 6).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입원 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길었다(평균 차이=1.38일, CI 1.00-1.76, p<0.001).

Fig. 6.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length of stay without drains in thyroidectomy.

Subgroup 분석

Total thyroidectomy vs. less than total thyroidectomy

Total thyroidectomy 비율이 각 군에서 70% 이상인 연구와 30% 미만인 연구들을 나누어서 혈종발생, 출혈발생, 장액종발생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혈 종

수술 후 혈종 발생에 대해 total thyroidectomy 비율이 각 군에서 70% 이상인 총 7개의 연구들에서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의 559명 중 13명(2.3%)과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의 548명 중 14명(26%)에서 수술 후 혈종이 발생했다(OR 0.91; 95% CI 0.43-1.90) [4,13,14,18,23,26,30].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0) (Supplementary Fig. 1). 수술 후 혈종 발생에 대해 total thyroidectomy 비율이 각 군에서 30% 미만인 총 7개의 연구들에 대하여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의 516명 중 15명(2.9%)과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의 445명 중 8명(1.8%)에서 수술 후 혈종이 발생했다(OR 1.61; 95% CI 0.73-3.57) [3,9,11,17,19,20,29].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4) (Supplementary Fig. 2).

출 혈

수술 후 출혈 발생에 대해 total thyroidectomy 비율이 70% 이상인 총 4개의 연구들에 대하여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의 301명 중 4명(1.3%)과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의 290명 중 3명(1.03%)에서 수술 후 출혈이 발생했다(OR 1.16; 95% CI 0.31-4.29) [4,13,14,23].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3) (Supplementary Fig. 3). 수술 후 출혈 발생에 대해 total thyroidectomy 비율이 각 군에서 30% 미만인 총 5개의 연구들에 대하여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의 354명 중 5명(1.4%)과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의 348명 중 3명(0.9%)에서 수술 후 출혈이 발생했다(OR 1.58; 95% CI 0.41-6.07) [3,9,17,19,32].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0) (Supplementary Fig. 4).

장액종

수술 후 장액종 발생에 대해 total thyroidectomy 비율이 각 군에서 70% 이상인 총 4개의 연구들에 대하여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의 466명 중 9명(1.9%)과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의 465명 중 8명(1.7%)에서 수술 후 장액종이 발생했다(OR 1.12; 95% CI 0.43-2.95) [4,13,18,23].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1) (Supplementary Fig. 5). 수술 후 장액종 발생에 대해 total thyroidectomy 비율이 각 군에서 30% 미만인 총 4개의 연구들에 대하여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의 358명 중 10명(2.8%)과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의 292명 중 10명(3.4%)에서 수술 후 장액종이 발생했다(OR 0.77; 95% CI 0.31-1.92) [3,11,19,29].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8) (Supplementary Fig. 6).

폐쇄성 배액(closed suction drain) vs. 개방성 배액(open passive drain)

폐쇄성 배액관 사용군과 개방성 배액관 사용군을 나누어 감염발생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폐쇄성 배액을 사용한 20개의 연구에서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의 1397명 중 41명(2.9%)과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의 1417명 중 10명(0.7%)에서 수술 후 감염이 발생했다(OR 3.35; 95% CI 1.83-6.16) [4,9,10,12,13,15,16,18,19,22,23,26-29,34-38].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Supplementary Fig. 7). 개방성 배액을 사용한 3개의 연구에서 배액을 시행한 환자군의 135명 중 4명(3.0%)과 배액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의 132명 중 1명(0.8%)에서 수술 후 감염이 발생했다(OR 3.82; 95% CI 0.41-35.58) [17,24,32].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4) (Supplementary Fig. 8).

민감도분석과 출판편향

각 연구를 차례로 제거하여 통합 추정치의 방향이 변하는지 보는 Leave-One-Out 접근법을 사용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제거했을때 추정이 크게 달라지는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메타분석에 사용된 데이터가 어느 한 연구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신뢰성이 양호함을 보여주었다. 각 항목에 대하여 표준 오차에 대한 OR의 로그를 보여주는 funnel plot을 사용하여 출판 편향을 조사하였고 모든 항목이 결합된 효과크기에 대해 대칭적인 분포를 가지고 있어 출판편향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Fig. 7).

Fig. 7.

Funnel plot of results for postoperative wound hematoma in thyroidectomys with intraoperative drains placed compared to those without drains.

질평가

포함된 연구의 질평가를 위해 Cochrane Collaboration의 비뚤림 위험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Fig. 8). 포함된 35개 연구는 모두 무작위 대조 연구이었으며 Debry 등[10]의 연구는 선택 비뚤림 위험이 높았다. 모든 연구에서 이탈 편향 및 보고 편향 위험이 낮았다. 13개 연구에서는 성과 비뚤림의 위험이 높았고, 5개 연구에서는 위험이 낮았다.

Fig. 8.

Summary of risk of bias.

고 찰

갑상선 절제술은 진단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조기 진단이 늘고 있어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최소 칩습 수술을 통한 미용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수술 후 관리에 대한 최적화가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그동안 내분비기관으로서 갑상선의 높은 혈관분포와 기도와 인접하여 응급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인해 수술 후 혈종 형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액의 필요성이 전제되어 왔다. 그러나, 수술기술과 지혈 기구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혈관조작에 큰 개선이 이루어지며 갑상선수술에서 배액관 설치가 혈종 형성 또는 수술 후 출혈 감소에 있어 유의미한 이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체계적인 문헌 검토와 메타분석을 통해, 갑상선 절제술 후 배액관 설치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근거 기반의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신까지 출판된, 잘 설계된 무작위 대조 연구에 한정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배액관 사용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혈종은 충분한 지혈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수술 상처 내에 혈액과 응고체가 축적되어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장액종은 수술적 외상에 대한 상처 치유의 급성 단계에서 급성 염증성 삼출물이 수술 부위에 축적되어 생기게 된다. 이는 광범위한 연조직 절개와 사강(dead space) 생성이 발생하는 모든 수술에서 형성될 수 있다. 수술 후 배액관 사용의 목적은 결국 배액관을 수술 부위 근처에 배치하여 이러한 혈액이나 기타 체액이 몸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액체가 축적된다면 미용적인 문제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41]. 또한 효율적인 배액은 치유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과다한 삼출물을 제거함으로써 조직 재생을 촉진하고 염증을 줄여 상처치유에 도움을 줄 수 있다[42].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갑상선수술에 대해서는 배액관 사용에 따라 혈종이나 출혈, 장액종 발생에 차이가 없었으며 감염발생율은 오히려 배액관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갑상선의 부피가 크지 않아서 수술 상처 사강이 크지 않기 때문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갑상선 수술은 비교적 작은 범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액관을 사용해도 혈종이나 장액종을 예방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Woo 등[43]은 갑상선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폐쇄성 음압 배액관 사용군과 개방성 자연 배액관 사용군으로 나누어 배액량을 비교하였다. 해당 연구에서 음압 배액관이 자연 배액보다 배액량을 늘리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20-30 mL 정도의 자연 배액량을 감안하면 갑상선 전절제술은 배액관 거치가 반드시 필요한 수술이 아니라고 보고한바 있다. 갑상선전절제술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들과 전절제술 이하를 시행한 연구를 분리하여 메타분석을 하여도 배액관 사용에 따른 혈종, 출혈, 장액종 발생의 차이는 없었다는 점에서 반엽절제술뿐만 아니라 갑상선 전절제술에도 배액관 거치 생략을 고려해 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지침이 강화되는 가운데, 갑상선 수술은 일반적으로 항생제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청결창상(clean surgical wound)으로 분류된다. 실제로, 대부분의 연구에서 갑상선 수술 후 항생제를 투여받은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 사이에 감염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이 보고되었다[44-46]. 특히, Yi 등[47]의 연구에서는 경구강 내시경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 사이에서도 항생제 투여와 감염률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항생제 투여군에서는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갑상선 수술 시 사용되는 배액관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배액관은 외부와 연결된 일종의 이물(foreign body)로서, 감염의 경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도 배액관을 사용한 환자군에서 사용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수술 후 감염 발생율이 높았다. 개방성 배액관 사용군과 폐쇄성 배액관 사용군을 분리해서 분석해 보았을 때 오히려 개방성 배액관 사용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폐쇄성 배액관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감염발생율이 높았다. 이는 폐쇄성 배액관이 감염가능성을 낮출 수는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갑상선 수술이 항생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청결창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감염의 위험을 더욱 줄이기 위해 배액관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배액관의 사용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정하여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입원 기간을 분석해 보았을 때 배액관을 사용한 환자군에서 입원 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배액량이 특정 시간 동안 일정 양 이하로 배액이 확인될 때 배액관을 제거하고 퇴원하게 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배액관이 혈종과 출혈, 장액종 형성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배액량을 확인코자 입원을 유지할 이유가 없다. 이는 의료자원을 다른 곳에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갑상선절제술을 받은 환자들 사이에 배액관의 사용 유무와 혈종, 출혈, 장액종 생성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했다. 이 결과는 배액관이 갑상선절제술 후 혈종 예방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를 일반화하기 전에 몇 가지 주의사항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갑상선절제술 후 배액관의 필요성에 대한 결정은 환자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특정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들에게는 여전히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hen 등[48]에 따르면, 남성, 큰 갑상선 크기, 높은 혈당 수치는 갑상선절제술 중 더 많은 양의 배액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이는 특정 환자군에서는 배액관의 사용이 혈종 등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액관의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고려하는 개별화된 접근 방식이 요구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갑상선절제술 후 혈종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배액관의 사용 외에도 고려해야 할 다른 요소들이 있다. 예를 들어, 수술 중 정밀한 지혈 기술의 적용, 적절한 피판 거상의 범위, 수술 후 환자 관리의 최적화 등이 혈종 발생률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혈종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관리 전략의 일환으로 특정 상황에서는 배액관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갑상선절제술을 받는 환자들에게서 배액관 사용의 필요성을 결정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더 광범위한 위험인자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위험인자의 식별 및 이에 대한 개별화된 접근 방식이 혈종 예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잘 설계된 무작위 대조 연구 결과들을 종합한 메타분석을 바탕으로, 갑상선수술 후 배액관 사용이 혈종, 출혈, 및 장액종 발생 예방에 미치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배액관 사용은 감염률을 증가시키고 입원 기간을 연장시키는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와 대비하여, 수많은 외과의들은 여전히 갑상선수술에서 배액관을 사용하는 관행적인 접근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과거에 배액관 미사용 시 발생했던 합병증에 대한 선택적 기억이나 주관적 선호에 기반한 것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객관적 분석에 따르면, 배액관의 사용 여부와 관계 없이 전체 환자의 약 4%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러한 객관적인 분석결과는 갑상선수술 후 배액관 사용의 필수성에 대한 기존의 관행을 재평가하게 하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upplementary Material

The Supplement is available with this article at https://doi.org/10.3342/kjorl-hns.2024.00206.

Supplementary Fig. 1.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wound hematoma without drains in total thyroidectomy.

Supplementary Fig. 2.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wound hematoma without drains in less than total thyroidectomy.

Supplementary Fig. 3.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hemorrhage without drains in total thyroidectomy.

Supplementary Fig. 4.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hemorrhage without drains in less than thyroidectomy.

Supplementary Fig. 5.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wound seroma without drains in total thyroidectomy.

Supplementary Fig. 6.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wound seroma without drains in less than total thyroidectomy.

Supplementary Fig. 7.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closed suction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without drains in thyroidectomy.

Supplementary Fig. 8.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open passive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without drains in thyroidectomy.

Acknowledgements

None

Notes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eung Hoon Han. Data curation: Sungjun Han, Yunseo Lim, Seung Hoon Han. Formal analysis: Seung Hoon Han. Methodology: Seung Hoon Han. Supervision: Il-Seok Park, Seung Hoon Han. Writing—original draft: Sungjun Han, Yunseo Lim, Seung Hoon Han. Writing—review & editing: all authors.

References

1. Pontin A, Pino A, Caruso E, Pinto G, Melita G, Maria P, et al. Postoperative bleeding after thyroid surgery: care instructions. Sisli Etfal Hastan Tip Bul 2019;53(4):329–36.
2. Morrissey AT, Chau J, Yunker WK, Mechor B, Seikaly H, Harris JR. Comparison of drain versus no drain thyroidectomy: randomized prospective clinical trial.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8;37(1):43–7.
3. Lee SW, Choi EC, Lee YM, Lee JY, Kim SC, Koh YW. Is lack of placement of drains after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safe?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Laryngoscope 2006;116(9):1632–5.
4. Schoretsanitis G, Melissas J, Sanidas E, Christodoulakis M, Vlachonikolis JG, Tsiftsis DD. Does draining the neck affect morbidity following thyroid surgery? Am Surg 1998;64(8):778–80.
5. Ecker T, Carvalho AL, Choe JH, Walosek G, Preuss KJ. Hemostasis in thyroid surgery: harmonic scalpel versus other techniques--a meta-analys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0;143(1):17–25.
6.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PRISMA Group.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 Intern Med 2009;151(4):264–9. W64.
7. Higgins JP,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Hoboken: Wiley;2008.
8. Song F, Sheldon TA, Sutton AJ, Abrams KR, Jones DR. Methods for exploring heterogeneity in meta-analysis. Eval Health Prof 2001;24(2):126–51.
9. Wihlborg O, Bergljung L, Mårtensson H. To drain or not to drain in thyroid surgery. A controlled clinical study. Arch Surg 1988;123(1):40–1.
10. Debry C, Renou G, Fingerhut A. Drainage after thyroid surgery: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J Laryngol Otol 1999;113(1):49–51.
11. Hurtado-López LM, López-Romero S, Rizzo-Fuentes C, Zaldívar-Ramírez FR, Cervantes-Sánchez C. Selective use of drains in thyroid surgery. Head Neck 2001;23(3):189–93.
12. Suslu N, Vural S, Oncel M, Demirca B, Gezen FC, Tuzun B, et al. Is the insertion of drains after uncomplicated thyroid surgery always necessary? Surg Today 2006;36(3):215–8.
13. Colak T, Akca T, Turkmenoglu O, Canbaz H, Ustunsoy B, Kanik A, et al. Drainage after total thyroidectomy or lobectomy for benign thyroidal disorders. J Zhejiang Univ Sci B 2008;9(4):319–23.
14. Musa AA, Agboola OJ, Banjo AA, Oyegunle O. The use of drains in thyroid surgery. Niger Postgrad Med J 2010;17(1):15–8.
15. Chalya PL, Gilyoma JM, Mchembe M. Drain versus no drain after thyroidectomy: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study. East Cent Afr J Surg 2011;16(2):55–61.
16. Memon ZA, Ahmed G, Khan SR, Khalid M, Sultan N. Postoperative use of drain in thyroid lobectomy - a randomized clinical trial conducted at Civil Hospital, Karachi, Pakistan. Thyroid Res 2012;5(1):9.
17. Neary PM, O’Connor OJ, Shafiq A, Quinn EM, Kelly JJ, Juliette B, et al. The impact of routine open nonsuction drainage on fluid accumulation after thyroid surgery: a prospective randomised clinical trial. World J Surg Oncol 2012;10:72.
18. Deveci U, Altintoprak F, Sertan Kapakli M, Manukyan MN, Cubuk R, Yener N, et al. Is the use of a drain for thyroid surgery realistic? A prospective randomized interventional study. J Thyroid Res 2013;2013:285768.
19. Muthaa T, Kaisha W, Githaiga J. Drains after thyroidectomy for benign thyroid disorders; are associated with more pain, wound infection and prolonged hospital stay. Ann Afr Surg 2013;10(2):2–6.
20. Kalemera Ssenyondo E, Fualal J, Jombwe J, Galukande M. To drain or not to drain after thyroid surge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t a tertiary Hospital in East Africa. Afr Health Sci 2013;13(3):748–55.
21. Papavramidis TS, Pliakos I, Michalopoulos N, Mistriotis G, Panteli N, Gkoutzamanis G, et al. Classic clamp-and-tie total thyroidectomy for large goiters in the modern era: to drain or not to drain. World J Otorhinolaryngol 2014;4(1):1–5.
22. Nawaz S, Naeem A. Thyroid surgery: drain versus no drain. J Postgrad Med Inst 2015;29(2):101–4.
23. Schietroma M, Pessia B, Bianchi Z, De Vita F, Carlei F, Guadagni S, et al. Thyroid surgery: to drain or not to drain, that is the problem -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RL J Otorhinolaryngol Relat Spec 2017;79(4):202–11.
24. Al-Qahtani AS, Abouzeid Osman T. Could post-thyroidectomy bleeding be the clue to modify the concept of postoperative drainage?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Asian J Surg 2018;41(5):511–6.
25. Muthammal R, Periyasamy P. A prospective randomised study on post-operative drains in thyroid surgeries. J Evol Med Dent Sci 2018;7(40):5140–3.
26. Dogar MA, Riaz A, Afzal A. Comparison of post-operative drain insertion versus no drain after total thyroidectomy. Med Forum 2019;30(10):86–90.
27. Geraci G, D’Orazio B, Chiarenza S, Agrusa A, Salamone G, Buscemi S, et al. Efficacy of fibrin sealant in thyroid surgery. Is drainage still necessary? Ann Ital Chir 2019;90:100–5.
28. Künzli BM, Walensi M, Wilimsky J, Bucher C, Bührer T, Kull C, et al. Impact of drains on nausea and vomiting after thyroid and parathyroid surge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Langenbecks Arch Surg 2019;404(6):693–701.
29. Waseem T, Ahmad SZ, Zafar Z, Ashraf MH. How to decide for drain placement during thyroidectomy? Qualitative exploration to formulation of a decision tree. Arch Surg Res 2020;1(4):5–11.
30. George NM, Chitrambalam TG, Christopher PJ, Marlecha M, Selvamuthukumaran S. To drain or not to drain following thyroidectomy: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Saudi Med J 2023;44(5):518–21.
31. Tübergen D, Moning E, Richter A, Lorenz D. [Assessment of drain insertion in thyroid surgery?]. Zentralbl Chir 2001;126(12):960–3. German.
32. Alamani JA, Reala ET, Castaneda SS, Chua AH. Drain verus no drain after thyroidectomy: a preliminary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hilipp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4;29(1):11–5.
33. Ayyash K, Khammash M, Tibblin S. Drain vs. no drain in primary thyroid and parathyroid surgery. Eur J Surg 1991;157(2):113–4.
34. Khanna J, Mohil RS, Bhatnagar D, Mittal MK, Sahoo M, et al. Is the routine drainage after surgery for thyroid necessary?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study [ISRCTN63623153]. BMC Surg 2005;5:11.
35. Ishaq I, Iqbal J, Ajmal R, Afzal M, Munir K. The role of drainage after thyroid surgery. Is it mandatory? Ann Punjab Med Coll 2008;2(1):46–9.
36. Dimov R, Ali M, Uchikov A, Kŭnchev R, Molov V, Deenichin G, et al. [Drainage in thyroid surgery--prospective randomized study]. Khirurgiia (Sofiia) 2006;2:28–30. Bulgarian.
37. Abaszadeh A, Zamani M, Noorbaran A, Ahangar SK, Sheikh Ansari MR, Nikbakhsh N. Is it necessary to use drain after thyroid surgeries? A prospective randomised clinical trial. J Clin Diagn Res 2017;11(12):7–10.
38. Wang Z, Qi P, Zhang L, Zhang B, Liu X, Shi Q, et al. Is routine drainage necessary after thyroid surge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udy. Front Endocrinol (Lausanne) 2023;14:1148832.
39. Peix JL, Teboul F, Feldman H, Massard JL. Drainage after thyroidectom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Int Surg 1992;77(2):122–4.
40. Pezzullo L, Chiofalo MG, Caracò C, Marone U, Celentano E, Mozzillo N. Drainage in thyroid surgery: a prospective randomised clinical study. Chir Ital 2001;53(3):345–7.
41. Chen CF, Lin SF, Hung CF, Chou P. Risk of infection is associated more with drain duration than daily drainage volume in prosthesis-based breast reconstruction: a cohort study. Medicine (Baltimore) 2016;95(49):e5605.
42. Fay MF. Drainage systems. Their role in wound healing. AORN J 1987;46(3):442–55.
43. Woo SH, Kim JP, Park JJ, Shim HS, Lee SH, Lee HJ, et al. Comparison of natural drainage group and negative drainage groups after total thyroidectomy: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Yonsei Med J 2013;54(1):204–8.
44. Mehta RB, Yadav R, Jain A, Ashwathy KP. Is antibiotic prophylaxis really needed in thyroid surgery. Int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2020;6(3):515–8.
45. Rao VV, D’Souza C. Is prophylactic antibiotic therapy needed in thyroidectomy? Indian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22;74(Suppl 3):5769–72.
46. Fee WE Jr, Roberson JB Jr, Goffinet DR. Long-term survival after surgical resection for recurrent nasopharyngeal cancer after radiotherapy failure.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1;117(11):1233–6.
47. Yi JW, Kim SJ, Lee KE.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postoperative antibiotic treatment in transoral endoscopic thyroidectomy: a prospectiv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 J Oral Maxillofac Surg 2020;58(3):334–40.
48. Chen CY, Chiu YL, Rajbhandari S, Cheng SY, Lin HC, Chu YH, et al. Predictive factors of increased surgical drain output after thyroid lobectomy: a retrospective study. Gland Surg 2019;8(5):542–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PRISMA flow diagram.

Fig. 2.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wound hematoma without drains in thyroidectomy.

Fig. 3.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hemorrhage without drains in thyroidectomy.

Fig. 4.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wound seroma without drains in thyroidectomy.

Fig. 5.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without drains in thyroidectomy.

Fig. 6.

Forest plot of the effect of drains compared to length of stay without drains in thyroidectomy.

Fig. 7.

Funnel plot of results for postoperative wound hematoma in thyroidectomys with intraoperative drains placed compared to those without drains.

Fig. 8.

Summary of risk of bias.

Table 1.

Summary of characteristics of selected studies for meta-analysis

Study Year Country No. of patients
Type of drain Total thyroidectomy (%)
Mean age (years)
Drain No drain Drain No drain Drain No drain
Wihlborg, et al. [9] 1988 Sweden 75 75 Closed suction drain 13 15 48 48
Ayyash, et al. [33] 1991 Kuwait 50 50 NA 44 38 NA NA
Peix, et al. [39] 1992 France 48 49 Closed suction drain NA NA NA NA
Schoretsanitis, et al. [4] 1998 Greece 100 100 Closed suction drain 84 96 52 52
Debry, et al. [10] 1999 France 43 57 Closed suction drain 42 32 48 48
Hurtado-López, et al. [11] 2000 Mexico 100 50 Open passive drain 8 18 39 39
Tubergen, et al. [31] 2001 Germany 52 48 Closed suction drain NA NA NA NA
Pezzullo, et al. [40] 2001 Italy 30 30 Closed suction drain NA NA NA NA
Khanna, et al. [34] 2005 India 51 51 Closed suction drain NA NA 35 35
Lee, et al. [3] 2006 Korea 101 97 Closed suction drain 28 19 50 45
Suslu, et al. [12] 2006 Turkey 68 67 Closed suction drain 46 43 47 47
Dimov, et al. [36] 2006 Bulgaria 43 57 Closed suction drain NA NA NA NA
Colak, et al. [13] 2008 Turkey 58 58 Closed suction drain 100 100 45 47
Morrissey, et al. [2] 2008 Canada 23 32 Closed suction drain 48 41 NA NA
Ishaq, et al. [35] 2008 Pakistan 30 30 Closed suction drain NA NA 39 39
Musa, et al. [14] 2010 Nigeria 35 25 NA 100 100 50 52
Chalya, et al. [15] 2011 Tanzania 32 30 Closed suction drain NA NA 49 49
Neary, et al. [17] 2012 Ireland 49 44 Open passive drain 27 20 53 51
Memon, et al. [16] 2012 Pakistan 60 60 Closed suction drain NA NA 32 31
Deveci, et al. [18] 2013 Turkey 200 200 Closed suction drain 86 82 43 47
Muthaa, et al. [19] 2013 America 45 45 Closed suction drain 29 25 45 50
Kalemera Ssenyondo, et al. [20] 2013 Uganda 34 34 NA 8.8 0 46 43.5
Papavramidis, et al. [21] 2014 Greece 50 50 Closed suction drain 50 50 47 51
Alamani, et al. [32] 2014 Philippine 32 34 Open passive drain 20 9 45 44
Nawaz and Naeem [22] 2015 Pakistan 32 36 Closed suction drain NA NA 42 42
Abaszadehdeh, et al. [37] 2017 Ireland 90 90 Closed suction drain NA NA 41 42
Al-Qahtani, et al. [24] 2018 Saudi arabia 54 54 Open passive drain 62.9 59.3 38 40
Schietroma, et al. [23] 2017 Italy 108 107 Closed suction drain 74 76 47 48
Muthammal, et al. [25] 2018 India 50 50 NA NA NA 37 39
Dogar, et al. [26] 2019 Pakistan 31 31 Closed suction drain 100 100 42 44
Geraci, et al. [27] 2019 Italy 128 134 Closed suction drain 56 60 54.1 55.3
Künzli, et al. [28] 2019 Switzerland 69 67 Closed suction drain 49.3 49.3 58 56
Waseem, et al. [29] 2020 Pakistan 112 100 Closed suction drain 21 13 49 47
George, et al. [30] 2023 India 27 27 NA 100 100 NA NA
Wang, et al. [38] 2023 China 52 52 Closed suction drain NA NA 36 36

NA, not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