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Test Examination
Article information
Review
문 1. 다음 중 갑상선 종양에 대한 고주파열치료(radiofrequency ablation, RFA)의 적응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압박 증상을 유발하는 양성 갑상선 결절
② 수술을 원하지 않는 자율기능성 갑상선 결절
③ 수술 관련 위험이 높은 재발성 갑상선암
④ 완전한 낭성 결절로 증상이 없는 경우
⑤ 수술이 불가능한 전이성 갑상선암
문 2. RFA 시술의 기본 술기로서 종양을 여러 구획으로 나누어 각각 순차적으로 절제하는 방법은 무엇이라고 불리는가?
① Static technique
② Hydrodissection technique
③ Trans-isthmic approach
④ Moving shot technique
⑤ Central focus technique
문 3. 일반적으로 크기가 3-4 cm인 갑상선 결절에 대한 RFA에 있어 적절한 전극의 노출부 길이는 어느 것인가?
① 0.38 cm
② 0.5 cm
③ 0.7 cm
④ 1.0 cm
⑤ 1.5 cm
문 4. Hydrodissection 기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종양과 주요 구조물 사이에 액체를 주입하여 분리하는 기법이다.
② 주입용액으로 5% 포도당 용액이 가장 흔히 사용된다.
③ 생리식염수는 전기 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안전하다.
④ 고주파열이 주위 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⑤ 경부의 경우 구조물 사이의 공간이 협소해 지속적인 용액의 주입이 필요할 수 있다.
Otology
문 1.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에서의 인공와우 및 청각재활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일반적으로 중복장애를 가지지 않은 경우보다 좋은 수술을 결과를 보인다.
② ASD가 없는 인공와우이식 군에 비해 평균적으로 dynamic range가 좁다.
③ ASD가 없는 인공와우이식 군에 비해 평균적으로 comfortable level이 낮다.
④ ASD가 없는 인공와우이식 군에 비해 평균적으로 threshold level이 낮다.
⑤ ASD가 없는 인공와우이식 군에 비해 평균적으로 낮은 categorical auditory performance (CAP) 점수를 보인다.
문 2. 다음 중 인공와우이식 수술 전후의 언어평가와 재활에 사용되는 말지각 검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CAP
② Ling’s 6 sound test
③ Cochlear implants (CI)-aided sound field pure-tone audiometry
④ Infant-Toddler Meaningful Auditory Integration Scale
⑤ Everyday Sentence Test (audio only, audio-visual condition)
Rhinology
문 1. 다음 biologics 중 IL-4 receptor α가 타겟인 제제는?
① Benalizumab
② Dupilumab
③ Mepolizumab
④ Omalizumab
⑤ Tezepelumab
문 2. European Position Paper on Rhinosinusitis and Nasal Polyps/European Forum for Research and Education in Allergy and Airway Diseases 2023 guideline에 따른 지표 중 dupilumab의 치료의 적응증이 되는 것은?
① Total immunoglobulin E (IgE) >10 IU/mL
② Sino-nasal outcome test (SNOT)-22 점수 22점
③ 혈액 호산구 수 100개/μL
④ 조직내 호산구 수 55개/HPF
⑤ 1개월 이상 저용량 systemic corticosteroids 사용 병력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④
해 설 RFA는 양성 결절(압박, 미용적 문제), 자율기능성 결절, 재발성 혹은 수술이 어려운 갑상선암에 적용된다. 그러나 완전한 낭성 결절의 경우에는 에탄올 절제술이 1차 치료로 권장되며, 증상이 지속되거나 재발 시에만 RFA를 고려한다.
문 2. 답 ④
해 설 Moving shot technique은 RFA의 기본적 시술 기법으로, 종양을 전후, 상하, 내외측으로 구획화하여 전극을 실시간으로 이동시키며 한 구획씩 절제한다. 정적인 방식(static technique)과 달리, 더 정밀하고 안전한 절제를 가능하게 한다.
문 3. 답 ④
해 설 전극의 노출부 길이는 병변의 크기에 따라 선택되며, 3-4 cm 크기의 결절에는 1.0 cm 전극이 권장된다. 0.5 cm와 0.7 cm는 더 작은 병변에, 1.5 cm 이상은 더 큰 병변에 사용된다.
문 4. 답 ③
해 설 생리식염수는 전기 전도성이 있어 전기 에너지가 주위 구조물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금기이다. 이에 반해 5% 포도당 용액은 비이온성으로 전도성이 없고, 열 차단막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된다.
Otology
문 1. 답 ①
해 설 ASD 같은 중복장애를 가진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나쁜 수술 후 결과를 보인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768-72.
문 2. 답 ③
해 설 CI-aided sound filed pure-tone audiometry는 청력역치를 평가하는 테스트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763-68.
Rhinology
문 1. 답 ②
title Benalizumab은 IL-5 receptor, mepolizumab은 IL-5, omalizumab은 IgE antibody, tezepelumab은 thymic stromal lymphopoietin가 타겟인 biologics이다.
참고 문헌: Kang P, Choi D, Kwon J, Kim J. Efficacy and safety of dupilumab for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s: a retrospective study of every month injec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25;68(4):159-67.
문 2. 답 ④
title 조직내 호산구 수 10개 이상, 혈액내 호산구수 150개 이상, systemic corticosteroid 사용은 1년에 2회 이상 및 저용량 corticosteroid의 경우 3개월 이상 병력, SNOT-22는 40점 이상 등을 적을증으로 삼고 있음.
참고 문헌: Kang P, Choi D, Kwon J, Kim J. Efficacy and safety of dupilumab for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s: a retrospective study of every month injec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25;68(4):15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