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8(5); 2005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5;48(5): 619-623.
A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Expression of Inducible Isoform of Heme Oxygenase on Human Nasal Polyps.
Su Yeob Park, Tae Wook Choi, Jung Hun Lee, Sang Heon Choi, Jae Hoon Lee, Ki Jung Yun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Institute of Wonkwang Medical Science, College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coolnose@wonnms.wonkwang.ac.kr
2Department of Pathology, Institute of Wonkwang Medical Science, College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비용조직에서 Heme Oxygenase-1 발현에 대한 면역조직학적 연구
박수엽1 · 최태욱1 · 이정헌1 · 최상헌1 · 이재훈1 · 윤기중2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병리학교실2;
주제어: 비용HO-1산화 스트레스.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Nasal polyp is non-neoplastic,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of the nasal mucosa. Oxidative stress may be related to the pathogenesis of nasal polyp. Oxidative stress may be potential inducers of heme oxygenase (HO-1) expression. To illustrate the role of the HO-1 in the nasal polyp, we investigated the expressive pattern of the HO-1 in the nasal polyp and the influence of corticosteroids on its expression.
SUBJECTS AND METHOD:
The study materials were 28 specimens of nasal polyp (steroid user: 13 cases, steroid non-user: 15 cases) taken from 28 patients during endoscopic sinus surgery and 11 cases of normal nasal mucosa of the inferior turbinate as control. The HO-1 expression was assess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ULTS:
The HO-1 was mainly expressed on non-epithelial cells in the lamina propria of nasal polyps in 20/28 (71.4%). The expression of HO-1 was positive in 11 out of 13 (84.6%) and 9 out of 15 (60%) subjects for steroid user and steroid non-user group, respectively. The inflammatory cells were almost identified as macrophage by using a macrophage specific marker (CD68+). The HO-1 was not expressed in normal control at al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HO-1 between the steroid user group and the non-user group.
CONCLUSION:
HO-1, as an important endogenous antioxidant enzyme, may play a protective role in the pathogenesis of nasal polyp. Steroid may not regulate the HO-1 expression in the nasal polyp.
Keywords: Nasal polypHO-1Oxidative stress

교신저자:이재훈, 570-711 전북 익산시 신용동 344-2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63) 850-1310 · 전송:(063) 841-6556 · E-mail:coolnose@wonnms.wonkwang.ac.kr 

서     론


  
비강 및 부비동에 생기는 비용은 흔한 질환으로 종양이라기보다는 부종이 동반된 일종의 국소적 염증반응으로 표면이 매끄러운 유동성 종괴 형태로 나타난다. 비용의 정확한 병태생리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고유층(lamina propria)에서 일어나는 염증과 세포증식이라 할 수 있다.1) 또한 비용에서 종종 편평상피로의 화생(metaplasia)과 분비선의 과형성과 같은 형태학적 변화를 동반한 상피세포의 증식 소견도 보인다.1) 비용의 병인에는 많은 인자들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중에서도 일산화질소와 염증 매개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2) 최근에는 비용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free radical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의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free radicals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는 세포 막 지질과 단백질에 손상을 야기시켜 세포의 손상 및 괴사를 초래할 수 있다.3)4) 
   인체에서 산화물에 대한 생리적인 조절은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SHPX), glutathione(GSH), thioredoxin 등의 thiol 완충제와 같은 내인성 항산화 효소에 의해 세포의 환원과 산화상태의 균형이 이루어진다.3) 그러나 세포 완충 능력(cell-buffering capacity)과 효소 처리 능력을 초과하는 산화물의 증가는 세포독성의 산화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다.3) 유기체는 이러한 해로운 산화물을 해독하기 위해 비효소적 및 효소적 항산화 방어 시스템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방어 기전중 하나가 Heat shock protein으로도 알려져 있는 스트레스 반응 단백질(stress response protein)인 HO-1의 유도이다.5) 비용의 병리기전 측면에서 비점막 상피세포의 이온 수송 기전의 변화로 인한 점막 부종에서 산화물이 세포막 이온 펌프를 손상시켜 세포내의 Na+의 증가, K+의 감소 그리고 외부 환경에서 세포질로 Ca2+의 이동을 야기한다.3) 
   HO는 혈색소, 사이토크롬(cytochrome) P-450 효소로부터 생긴 헴(pro-oxidant)을 분해하여 빌리베르딘(biliverdin), 자유철(free iron), 일산화탄소 등을 생성하는데 관여하는 효소이다. 이렇게 생긴 빌리베르딘은 빌리베르딘 환원 효소에 의해 빌리루빈(antioxidant)으로 되어 조직손상에 대한 방어 역할을 하게 된다. HO에는 HO-1, HO-2, HO-3과 같은 세가지 동종효소(isoenzyme)가 있는데, HO-1은 헤민(hemin), 사이토카인, 산화제, GSH결핍 등에 의해서 유발되며, HO-2는 구조적, 체질적(constitutive)으로 항상 일정하게 존재하며,6) HO-3은 최근에 발견되었으며 낮은 효소 활성도를 갖는다.5) 
   저자들은 비용에서 HO-1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정상 하비갑개 조직과 비용조직에서 HO-1의 발현 양상을 면역조직학적 염색법으로 비교 연구하였다. 비용의 약물치료로 흔히 사용되는 스테로이드가 HO-1 발현에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7)8) 스테로이드가 비용군에서 HO-1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 위해 수술 전 스테로이드 사용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HO발현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2003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1년 간 본원 이비인후과학교실에서 임상 및 조직검사로 진단된 비용 환자의 28명으로부터 수술시 채취한 28개의 비용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용군은 알레르기 비염이 동반되지 않고, 수술 전 4주 이상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국소 혹은 경구용 스테로이드제제 등의 약물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15예를 스테로이드 비사용군으로 하였고, 다른 약물은 사용하지 않고 국소 및 경구용 스테로이드제제만을 사용한 13예를 스테로이드 사용군으로 하였다. 경구용 스테로이드는 수술 전 1주일 전부터 prednisolone(Nisolone®) 30 mg을 시작으로 5일 사용한 후 20 mg 1일, 10 mg 1일로 용량을 감소시키면서 복용하였고, 국소 스테로이드인 mometasone furoate(Nasonex®)를 하루에 1회 두 번씩 수술 전 2주 동안 비강에 분무하도록 하였다. 실험군의 연령분포는 18
~65세로 평균 연령은 42.3세였고 남자 18명, 여자 10명이었다. 대조군으로 알레르기비염, 천식, 그리고 비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11명의 비중격만곡증 환자에서 비중격성형술 시 대상성 비후성비염이 없는 하비갑개의 점막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의 연령분포는 22~55세로 평균 연령은 40.5세였고 남자 7명, 여자 4명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및 판독

HO-1의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
  
조직편을 상용화된 ProbeOn-plus slide(Fisher Scientifics, Pittsburg, PA, USA)에 부착하여 고정한 후 xylene으로 파라핀을 제거하고 증류수에 함수시겼다. Citrate buffer(pH 6.0)에 조직이 부착된 슬라이드를 넣고 13분간 microwave로 처리한 후 Immuno/DNA 완충액(Invitrogen, Carlsbad, CA. USA)으로 세척했다. 조직의 내부에 있는 과산화효소를 제거하기 위해 Autoblocker(Invitrogen, Carlsbad, CA. USA)로 실온에서 30분간 처리하고 완충액으로 수세하였다. 그 다음에 heme oxygenase-1(dilution 1:200, BD bioscience, San Diego, CA, USA) 1차 항체로 -4℃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그 후 2차 항체에 HRP-polymer가 접합된 PicTure-plus kits(Zymed, San Francisco, CA, USA)로 실온에서 40분 처리하였다. 그리고 완충액으로 수세한 다음 AEC(Zymed, San Francisco, CA, USA)로 발색시켰다. Hematoxylin으로 대조염색을 하고 Universal mount(Research Genetics, Huntsville, AL, USA)로 봉입한 후 관찰하였다. 간에서 HO-1에 양성으로 보이는 Kupffer 세포를 기준으로 비용에서 HO-1 양성 세포가 대식세포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동일 비용 조직에서 대식세포에 특이 표식자인 CD68(1:50, NeoMarkers, Fremont, CA, USA) 1차 항체를 사용하였고, 염색은 CD68 1차 항체를 45℃에서 30분간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앞의 방법과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면역염색에 대한 HO-1의 양성 대조군은 간조직을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은 간조직을 이용한 염색과정 중 1차 항체를 처리하지 않은 것으로 하였다. 판독기준은 광학 현미경 100배로 확대된 슬라이드 상에서 붉은색으로 염색된 부위 중 무작위로 3개의 시야를 골라 비상피성 세포 100개를 세어 그 중 염색된 세포가 평균 2개 이상인 경우를 양성으로 판독하였으며, 비용환자에 대한 임상적인 정보가 주어지지 않은 상태로 두 명의 병리 의사가 동시에 양성으로 판정한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결     과

   28개의 비용에서 HO-1은 20개(71.4%)에서 발현되었으며, 대부분의 발현된 세포는 낭성 변화된 부위의 고유층의 비상피성 세포였다(Fig. 1). 일부 예에서 극히 소수의 상피세포에서 국소적으로 매우 미약하게 염색되기도 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염증 세포, 상피세포 등 모두에서 전혀 발현되지 않았다(Fig. 2). 동일 조직을 이용한 HO-1 발현 세포와 CD68 양성 세포가 서로 거의 일치하였다(Fig. 3).
   Steroid 사용한 비용 13개 중 11개에서 양성(84.6%)을 보였고 2개에서 음성(15.4%)을 보였다. steroid 사용하지 않은 비용 15개 중 9개에서 양성(60%)을 보였고 6개에서 음성(40%)을 보였으며 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고     찰

   HO은 헴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로 강력한 세포방어 항산화 시스템이다. 빌리루빈은 유기체에서 가장 강력한 항산화 시스템으로 산화 스트레스 모델에서 세포방어의 역할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HO의 동종효소 중 HO-2는 36 kD 단백질로 인체 조직에서 전반적으로 발현되며 뇌와 고환에서 높게 발현된다.10) 자극에 의해 발현되는 HO-1은 32 kD 단백질로, HO-2와는 달리 다양한 환경적, 생리적, 병리적 자극에 의해 발현된다.10)
   만성 질환에서 superoxide anion, free radical, hydrogen peroxide와 같은 reactive oxygen species(ROS)은 활성화된 면역세포 및 염증세포에서 생산된다.11) 이러한 매개체는 핵산, 단백질, 막 지질을 산화하여 질환을 악화시킨다.11) 산화물을 포함한 ROS는 정상 상태의 몸에서 일정하게 존재한다. 산화물은 두가지 형태 즉, 내인성 인자 및 외인성 인자에 의해 발생하는데 내인성 인자는 1) 미토콘드리아와 마이크로솜의 전자 수송으로부터 전자 방출에 의하여, 2) 대식세포로부터, 3) NADPH oxidase, xanthine oxidase, monoamine oxidase, peroxisomal cytochrome P-450 oxidase와 같은 내인성 효소 시스템에 의해 발생된다.12) 외인성 인자로는 방사선, 공기오염, 담배연기, 일광, 오존, nitrogen mustard, bleomycin, acetaminophen, xenobiotics와 chemical warfare agents 등이 있다.12) 
   산화 스트레스 후 HO-1의 기능적 중요성은 많이 보고 되어 있지 않으나, HO-1이 산화물 손상에 대한 세포 방어 역할을 하리라는 연구들이 있다.13)14)15) A549 상피 cell line에서 HO-1을 transfection한 군에서 산화물 손상에 대해 세포 방어를 한 반면, HO-1 결핍 세포에서는 헤민과 카디미윰(cadimium) 노출 후 세포 손상이 더 심해졌다.13) 또한 과산소증에 따른 신생 쥐 폐에서 HO-1의 기초 발현이 증가되었다.14) Willis15)는 대식세포에 의한 HO 활성 및 HO-1 발현이 쥐에서 급성 염증의 carrageenin으로 유도된 흉막 모델의 치유와 연관된다고 보고하였다. HO-1의 억제는 염증 반응의 증가를 야기하였으며 이런 결과를 통해 그는 HO-1 발현이 급성 염증 모델에서 내인성 항염 효소라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 HO-1의 발현 판독을 2%를 기준으로 하여 양성, 음성의 2가지로 분류하고, 양성 군에서 양성의 정도는 나누지 않았다. 그 이유는 2% 미만의 세포에서 국소적으로 발현되었을 때 이것을 양성으로 판독하기에는 세포수가 너무 적을 뿐만 아니라 위양성세포를 포함될 수 있어서 100개의 비상피성 세포에서 최소 2%이상에서 염색되어야 양성으로 판독할 수 있으리라 저자들은 생각하였다. HO-1이 발현된 비용 조직에서도 발현되는 비상피성 세포의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지 않아 양성의 정도를 나누지는 않았다. 본 연구 결과 28개의 비용 중 20개(71.4%)에서 주로 비상피성 세포에서 HO-1이 발현되었고, 대조군에서는 전혀 발현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비용조직에서의 염증반응이 가장 심하게 일어나는 부분으로 알려진 고유층의 비상피성 세포에서만 주로 HO-1 발현을 보였다. 저자들은 HO-1 발현 세포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 HO-1과 대식세포의 특이 표식자인 CD68의 이중 면역염색을 하였으나 세포질에 같이 염색되어 구분이 어려워 동일조직 그 다음 절단편에 CD68을 염색하였다. 대식세포에 대한 직접 연구가 아니라 명백한 해석은 어려우나, 저자들은 HO-1에 의해 염색된 세포와 CD68에 양성인 대식세포가 동일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추정은 다음과 같은 3가지 1) 염색된 부위가 서로 거의 일치하고, 2) 산화물의 내인성 인자가 대식세포를 통해 일부 발생되고,12) 3) 다른 조직에서 HO-1이 대식세포에서 발현된다는 연구결과들에 근거할 수 있다.6)16)17) 정상 간조직에서는 HO-1이 Kupffer세포에서만 발현되지만, 간경화와 같은 만성 간 손상의 조직에서는 대식세포와 근섬유세포에서 발현되었다.16) 천식환자의 객담에서의 HO-1 발현은 대식세포에서 발현되고 정상대조군에 비해 객담에서 빌리루빈이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17) 정상대조군에 비해 비용환자의 혈액과 조직에서의 malondialdehydethiobarbituric(MDA)과 같은 산화물의 증가된 소견과 레티놀, 베타카로틴, 알파토코페롤, 아스코빅산, SOD, GSH와 같은 항산화물들은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3)4) 만성 염증 질환에서는 산화물이 증가되고 HO-1과 같은 항산화효소가 유도되는 것 같다. 본 연구를 통해 저자들은 비용에서 항산화 효소인 HO-1이 대식세포를 통해 염증 발생에 대한 방어 기전의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HO에 대한 스테로이드의 영향은 glucocorticoid response element(GRE)가 HO-1 promoter에 있기 때문에 헴이나 IL-6에 의한 HO-1 promotor 부위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7)8) 본 연구결과 스테로이드 사용한 비용군에서 HO-1 발현이 감소되리라는 기대와 달리 스테로이드 사용한 비용군과 steroid 사용하지 않은 비용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용조직에서 HO-1에 대한 스테로이드의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다른 연구들을 살펴보면 IL-6에 의해 야기된 HO-1 유전자 발현에 대한 스테로이드의 처리 후 HO-1 유전자 발현의 감소를 보이지 않았고,18) 천식환자를 대상으로 한 HO 동형효소의 발현에 대한 연구에서 흡입 스테로이드의 사용 후 HO 동형효소들의 발현에 차이가 없었고 스테로이드가 HO 동형효소의 발현을 조절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하였다.6) 그러나 본 연구는 동일인에서의 스테로이드 사용 전, 후의 연구가 아니고, 스테로이드의 사용량과 기간에 따른 HO-1 발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결과의 정확한 해석은 내리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동일인의 스테로이드 사용에 따른 비용조직과 스테로이드의 사용량과 기간에 따른 H0-1 발현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스테로이드의 직접적인 효과가 앞으로 규명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정상 하비갑개군과 비용군에서의 HO-1 발현을 면역조직학적 염색으로 비교한 결과, 정상 대조군에서는 전혀 발현이 되지 않은 반면, 비용군에서는 71.4%에서 발현되었다.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비용군과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비용군의 양성 발현을 비교분석한 결과,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비용군에서 약간 높은 발현을 보였으나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HO-1이 발현 세포는 주로 대식세포로 추정되었다. 이런 결과를 통해 대식세포내의 HO-1이 비용의 염증 반응에 방어 기전으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스테로이드에 의한 대식세포의 HO-1발현 변화는 좀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한다고 생각된다. 


REFERENCES

  1. Coste A, Wang QP, Roudot-Thoraval F, Poron F, Peynegre R, Escudier E, et al.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in nasal polyps could be upregulated by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Laryngoscope 1996;106: 578-83.

  2. Pasto M, Serrano E, Urocoste E, Barbacanne MA, Guissani A, Didier A, et al. Nasal polyp-derived superoxide anion: Dose-dependent inhibition by nitric oxide and pathophysiological implication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1;163:145-51. 

  3. Dagli M, Eryilmax A, Besler T, Akmansu H, Acar A, Korkmaz H. Role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asal polyps. Laryngoscope 2004;114:1200-3. 

  4. Dogru H, Delibas N, Doner F, Tuz M, Uygur K. Free radical damage in nasal polyp tissue.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1;124:570-2.

  5. Hill-Kapturczak N, Chang SH, Agarwal A. Heme oxygenase and the kidney. DNA Cell Biol 2002;21:307-21.

  6. Lim S, Groneberg D, Fischer A, Oates T, Caramori G, Mattos W, et al. Expression of heme oxygenase isoenzymes 1 and 2 in normal and asthmatic airways effect of inhaled corticosteroid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0;162:1912-8. 

  7. Lavrovsky Y, Drummond GS, Abraham NG. Downregulation of the human heme oxygenase gene by glucocorticoids and identification of 56b regulatory elements. Boichem Biophys Res Commun 1996;218: 759-65.

  8. Raju VS, McCoubrey WK Jr, Maines MD. Regulation of heme oxygenase-2 by glucocorticoids in neonatal rat brain: Characterization of a functional glucocorticoid response element. Biochim Biophys Acta 1997;1351:89-104.

  9. Taille C, Almolki A, Benhamed M, Zedda C, Megret J, Berger P, et al. Heme oxygenase inhibits human airway smooth muscle proliferation via a bilirubin-dependent modulation of ERK1/2 phosphorylation. J Biol Chem 2003;278:27160-8.

  10. Willis D, Moore AR, Willoughby DA. Heme oxygenase isoform expression in cellular and antibody-mediated models of acute inflammation in the rat. J Pathol 2000;190:627-34.

  11. Choi AM, Alam J. Heme oxygenase-1: Function, regulation, and implication of a novel stress-inducible protein in oxidant-induced lung injury. Am J Respir Cell Mol Biol 1996;15:9-19.

  12. Cooper DA, Eldridge AL, Peters JC. Dietary carotenoids and certain cancers, heart disease, an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 review of recent research. Nutr Rev 1999;57:201-14.

  13. Lee PJ, Alam J, Wiegand GW, Choi AM. Overexpression of heme oxygenase-1 in human pulmonary epithelial cells results in cell growth arrest and increased resistance to hyperoxia. Proc Natl Acad Sci USA 1996;93:10393-8.

  14. Dennery PA, Rodgers PA, Lum MA, Jennings BC, Shokoohi V. Hyperoxic regulation of lung heme oxygenase in neonatal rats. Pediatr Res 1996;40:815-21.

  15. Willis D. Expression and modulatory effects of heme oxygenase in acute inflammation in the rat. Inflamm Res 1995;44(Suppl 2):S218-20.

  16. Li L, Grenard P, Nhieu JT, Julien B, Mallat A, Habib A, et al. Heme oxygenase-1 is an antifibrogenic protein in human hepatic myofibroblasts. Gastroenterology 2003;125:460-9.

  17. Horvath I, Donnelly LE, Kiss A, Parredi P, Kharitonov SA, Barnes PJ. Raised levels of exhaled carbon monooxide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expression of heme oxygenase-1 in airway macrophages in asthma: A new marker of oxidative stress. Thorax 1998;53:668-72. 

  18. Deramaudt TB, da Silva JL, Remy P, Kappas A, Abraham NG. Negative regulation of human heme oxygenase in microvessel endothelial cells by dexamethasone. Heme oxygenase isoform regulation by dexamethasone. PSEBM 1999;222:185-9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