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50(3); 200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7;50(3): 275-277.
Two Cases of Laryngeal Myxoma.
Do Hoon Kim, Jae Wook Eom, Tae Hee Han, Mi Seon Kang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Pusan Paik Hospital, Busan, Korea. Sinus4@pusanpaik.or.kr
2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Pusan Paik Hospital, Busan, Korea.
진성대에 발생한 점액종 2예
김도훈1 · 엄재욱1 · 한태희1 · 강미선2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1;병리학교실2;
주제어: 점액종후두.
ABSTRACT
Myxomas are benign mesenchymal tumors that occur rarely in the head and neck. When they occur in the head and neck region, they mainly involve facial bones such as mandible and maxilla. Myxomas arising from subcutaneous soft tissues, including the larynx, are very rare. There are only sporadic cases of laryngeal myxomas reported in English literature. Within the larynx, the vocal folds, aryepiglottic fold, and epiglottis are the reported sites of involvement. The most common clinical presentation is hoarsness and difficulty in breathing. We described two cases of laryngeal myxomas in a 62-year-old male and a 52-year-old male.
Keywords: MyxomaLarynx

교신저자:엄재욱, 614-735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1동 633-165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교신저자:전화:(051) 890-6379 · 전송:(051) 892-3831 · E-mail:Sinus4@pusanpaik.or.kr

서     론


  
점액종은 중간엽 세포에서 기원하는 양성 종양으로, 두경부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이 중 대부분은 하악골과 상악골에서 발생하나 안면과 경부의 연조직, 비강, 이하선과 구강 점막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1) 특히 후두에서 발생한 점액종은, 1986년 Chen 등7)이 설 표면과 후두개에 발생한 경우를 처음 보고한 후, 극소수만이 보고되고 있다.2) 1871년 Virchow에 의해 제대의 점소양의 조직 형태를 띤 종양을 점액종이라고 처음 명명되었으며, Stout가 1948년 풍부한 유점액을 가지나 혈관형성이 적은 기질에 방추체와 부수체 조직이 절편 되어있는 병리소견을 가지며, 전이하지 않는 중간엽 기원의 종양으로서 점액종을 기술하였다.3)
   저자들은 애성을 주소로 본원을 내원한 62세 남자환자와 52세 남자 환자에서 진성대의 변연부 전체에 걸쳐 용종 형태의 거대한 종괴를 관찰하고, 전신마취하에서 현수후두경을 통한 절제술을 시행한 후 병리조직검사에서 점액종으로 확진된 2예를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증  례 1:
   62세의 남자환자가 내원 5년 전부터 애성이 있었으나 특별한 치료 없이 지내다가 내원 한달 전부터 애성이 심해져 방문한 개인 의원에서 시행한 간접 후두경 검사상 우측 성대 용종 진단하에 수술을 권유받고 본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였다.
   과거력 및 가족력상 특이사항은 없었으며, 40년간 하루 1갑의 흡연력과 30년간 하루 소주 1병의 음주력을 가지고 있었다. 직업력상 일반 사무직으로 음성을 과도하게 사용한 적은 없었다. 애성 이외에 뚜렷한 자각증상은 없었으며 간접 후두경 검사상 우측 진성대의 변연부 전체에 걸쳐 단단하고 탄력성 있는 용종 형태의 종괴를 관찰할 수 있었다(Fig. 1). 회선경검사에서 점막 파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전신마취하에서 현수후두경을 통한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정상조직의 낭대를 포함하여 종괴를 제거하였다. 육안적으로, 검체는 1.5×0.8×0.4 cm의 크기의 피낭성의 표면을 가지고 있었다. 병리조직검사에서 방추형 세포들과 별세포들이 풍부한 점액성 기질에 흩어져서 관찰되었다(Fig. 2A). Alcian blue 염색에서 기질의 점액성분이 푸르게 염색되었으며 방추형 세포와 별세포의 이형성 및 세포분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2B).
   환자는 절제술 후 애성이 호전되었으며, 별다른 감염이나 호흡곤란의 증상은 없었다. 8년간 추적관찰한 결과 간접후두경에서 재발의 소견은 보이지 않고 있다.

증  례 2:
   52세 남자 환자가 3주일 전부터 시작된 애성 및 호흡곤란을 주소로 본원 이비인후과에 방문하였다. 환자는 애성 이외의 특이 소견은 없었으며 과거력 및 가족력상 특이소견 없었으나 30년간 하루 1갑의 흡연력을 가지고 있었다. 간접 후두경 검사상 좌측 진성대 변연부 전체에 걸쳐 용종 형태의 종괴를 관찰 할 수 있었으며 후두 스트로브스코프 소견 상 점막 파동은 관찰 되지 않았다(Fig. 3).
   전신마취 하에 현수후두경을 통한 후두 용종 절제 생검술을 시행하였고, 육안적으로 황색을 띠는 2×0.4×0.4 cm 크기의 낭종성 병변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병리 조직학적으로 방추형 모양의 세포가 점액질의 간질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점액종의 소견을 보였다. 환자는 절제 생검 이후에 3년 6개월 동안 재발 소견 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고     찰

   점액종은 중배엽에서 기원하는 양성종양으로 대개 근조직이나 심근의 피하 연조직에서 흔히 발생한다. 점액종이 두경부 영역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주로 하악, 상악 및 이하선에서 비교적 흔히 발생하며 후두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1) 후두에서 발생한 점액종은 1986년 Chen 등7)이 후두개의 설하 표면에 발생한 경우를 발표한 이례로 단지 극소수만이 보고되고 있어 매우 희귀한 질환이라 할 수 있다.2) 후두에서 발생한 점액종은 진성대, 피열후두개주름과 후두개에서 발생한 경우가 보고 되고 있으며,4,5,6,7) 저자들은 2예 모두에서 진성대에서 발생하였다. 후두에 발생한 점액종은 크기와 위치에 따라 애성, 발성장애, 연하장애와 호흡곤란 등의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며, 이학적 검사상 일반적으로 피낭성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후두에 생긴 점액종으로 인한 애성은, 점액종이 성대주름에 위치하고 있어 직접적으로 성대주름 진동을 방해함으로 인해 애성이 생기는 경우와 피열후두개주름에 위치하여 성대주름 진동이 발생하기 전에 긴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의 두가지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5)
   진성대에 발생한 점액종은 성대 용종의 점액변성과 감별이 어려워 신중하게 판단하여 진단 해야 하며, 성대 용종에는 항상 결체조직의 세포 반응과 혈액 산물이 존재한다. 또한 지방육중, 연골육종등과의 악성 병변과도 감별이 필요하며 면역 형광 염색에서 S100 단백질에 점액종은 음성을 보이나 지방모세포와 연골 모세포에서는 양성 소견을 보인다.8) 저자들이 경험한 첫 임상예에서도 S100 단백질의 음성소견을 보여 다른 종양들과의 감별이 가능하였다.2)
   점액종은 주위 조직으로 침습하므로, 치료는 종양 주위의 정상 조직 경계를 포함하여 절제하는 외과적 절제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되어지고 있으며 예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적절한 경계를 포함하여 절제를 한 경우에 있어 외래 추적 관찰을 통한 재발 여부를 확인하는 것 이외의 다른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9)
   저자들은 진성대에 발생하여 외과적 절제술 후 재발 소견 없이 추적 관찰 중인 후두 점액종 2예를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Andrews T, Kountakis SE, Maillart AA. Myxomas of the head and neck. Am J Otolaryngol 2000;21(3):184-9.

  2. Idrees MT, Hessler R, Terris D, Mixson C, Wang BY. Unusual Polypoid Laryngeal Myxoma. Mt Sinai J Med 2005;72(4):282-4.

  3. Stout AP. Myxoma, the tumor of primitive mesenchyme. Ann Surg 1948;127:706-19.

  4. Hadley J, Gardiner Q, Dilkes M, Boyle M. Myxoma of the larynx: A case report of the literature. J Laryngol Otol 1994;108(9):811-2.

  5. Tsunoda K, Nosaka K, Housui M, Murano E, Ishikawa M, Imamura Y. A rare case of laryngeal myxoma. J Laryngol Otol 1997;111(3):271-3.

  6. Sena T, Brady MS, Huvos AG, Spiro RH. Laryngeal myxoma.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1;117(4):430-2.

  7. Chen K, Ballecer RA. Laryngeal myxoma. Am J Otolaryngol 1986;7(1):58-9.

  8. van Roggen JF, McMenamin ME, Fletcher CD. Cellular myxoma of soft tissue: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38 cases confirming indolent clinical behaviour. Histopathology 2001;39(3):287-97.

  9. Baruah P, Jha DN, Karak AK, Kumar R. Laryngeal myxoma. J Laryngol Otol 2001;115(3):231-2.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572
View
19
Download
Related articles
A Case of Nasal Desmoid Tumor  2022 December;65(12)
A Clinical Analysis of Nasopharyngeal Carcinoma  1996 ;39(12)
A Case of Cervical Pilomatricoma  1996 ;39(10)
Two Cases of Carotid Body Tumor  1996 ;39(8)
A Case of Laryngeal Tuberculosis in Adolescence  1996 ;39(7)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