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6;49(8): 849-851. |
Verrucous Carcinoma of Nasal Vestibule: A Case Report. |
Soo Kweon Koo, Hyun Kyu Kim, Cheol Woo Han, Tae Heon Kim |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Saint Benedict Hospital, Busan, Korea. chief123@chollian.net |
비전정부에 발생한 사마귀양 암종(우상암) 1예 |
구수권 · 김현규 · 한철우 · 김태헌 |
부산 성분도병원 이비인후과 |
|
|
|
주제어:
우상담ㆍ코ㆍ전정ㆍ보조방사선치료. |
ABSTRACT |
Verrucous carcinoma, an atypical varia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that is well-differentiated, is known to invade locally with rare metastasis. It was first reported by Ackerman in 1948 and has been reported in the areas of the head and neck and the external genitalia. A case of endonasal verrucous carcinoma was first reported by Krause.
Cases of the sinus were reported to have occurred in the ostium of maxillary sinus and frontal sinus, and there has also been a reported case of a verrucous carcinoma that invaded the subnasal, which originated from the hard palate.
However, no such case of verrucous carcinoma invasion originating from the nasal vestibule has been reported.
Verrucous carcinomas are often clinically malignant, yet pathohistologically benign, thus, unlike most squamous cell carcinomas, they are of a low-risk group with rare metastasis, few recurrences, and good prognosis with proper treatment. In some cases of verrucous carcinoma treated with radiotherapy, anaplastic variations occur, thus surgical removal is known to be the treatment of choice. The authors report a recent case of verrucous carcinoma that originated from the nasal vestibule which was surgically removed and treated with adjuvant radiotherapy. |
Keywords:
Carcinoma, verrucasㆍNoseㆍVestibuleㆍAdjuvant radiotherapy |
교신저자:구수권, 602-739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 3동 31-3
부산 성분도병원 이비인후과
교신저자:전화:(051) 466-7001 · 전송:(051) 464-7271 · E-mail:chief123@chollian.net
서
론
우상암(verrucous carcinoma)은 편평 세포암의 변종 중 하나로 국소적으로 침윤하나 원격전이가 드문 것으로 알려진 분화도가 매우 좋은 암종으로 1948년 Ackerman1)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 Elliott2)에 의하면 우상암은 구강에서 가장 호발하고 항문주위, 후두, 외성기, 직장, 식도, 피부, 하지 등에서 발생하는데 비강과 부비동에서의 발생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강 내의 우상암은 Kraus3)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으며 특히 부비동에 발생한 경우는 상악동 개구부와 전두동에 발생한 것이 보고되고 있다.4)5) 또한 경구개에서 원발하여 비강저를 침범한 우상암도 보고되었는데6) 비전정부에서 원발한 우상암은 보고되지 않았다. 최근에 저자들은 비전정부위에서 원발한 우상암 1예를 외과적 제거 후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여 좋은 치료 효과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61세 남자 환자가 내원 1개월 전부터 발생한 통증성 부종을 동반한 우측 비전정부의 종물과 비폐색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 및 가족력 상 특이 소견은 없었으며 흡연은 1주일에 한 갑 정도로 약 30년간 하였으며 음주는 하지 않았다. 진찰 소견에서 불규칙한 표면을 가지며 기저부가 넓은 황백색 종물이 우측 비익의 외측연과 비전정부에서 기원하여 비강 입구부를 채우고 있었다(Fig. 1). 내시경검사에서 비강, 비인강, 후두, 하인두 모두 정상 소견이었고 촉지되는 경부 림프절이나 특이할 만한 피부병변은 없었다. 수술은 국소마취하에 절제 및 생검을 시행하였으며 종괴 변연부 0.3 cm 정도의 정상 조직을 포함해 절제하였는데 종물은 비익 연골막과 유착은 없었으며 절제 후 일차 봉합은
시행하지 않고 전기소작술로 지혈하였다(Fig. 2). 술후 병리조직검사 결과 과각화와 그 중심부에 케라틴 형성이 현저한 사마귀양 암종으로 확진되었다(Fig. 3). 환자는 수술 1개월 후 부산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보조적 방사선 치료(adjuvant RT)를 시행 받았다. 방사선조사 전 치료계획용 부비동, 경부 컴퓨터단층촬영 상 유의할만한 림프절 병변은 없었다. 비강 내에 40 Gy 조사 후 수술 부위에 10 Gy를 추가 조사하였다. 치료 부위에 나타난 방사선에 의한 염증 반응은 항생제 연고도포로 조절되었고 수술 후 1년이 지난 현재 비폐색 등 별다른 증상없으며 전정부와 비강 내 재발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4).
고 찰
우상암은 구강 내에 발생한 경우 흡연, 잘 맞지 않는 의치, 불결한 구강위생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외의 위치에 나타난 병변의 경우 원인이 확실치 않다. 다만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와의 연관성이 최근 제시되고 있다.7)
우상암은 육안적 소견 상 기저부가 넓은 외장성 돌출성 종물로 나타난다. 본 증례도 불규칙한 표면을 가진 무경성의 황백색 종물의 형태를 보였다. 조직학적으로는 표면의 유두상 조직이 각화가 뚜렷한 상피로 덮히고 분화도가 좋은 상피조직이 점막 하로 확장하는 소견을 보인다. 또한 종양의 경계 부위는 침윤하는 양상은 아니며 기저막이 잘 유지되면서 케라틴층이 종양을 둘러싸고 있는데, 유사분열(mitosis)과 이형성(dysplasia)은 드문 특징이 있다.
우상암은 임상적으로는 악성 소견을 보이나 병리 소견에서는 양성 소견을 보이는 질환으로 다른 상피암과는 달리 저위험 암군으로 전이가 드물고 재발은 간혹 있으나 적절히 치료받으면 대체로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상암의 병기는 크기에 따라서 분류하는데(Table 1)8)9) 본 예는 T1 병변에 해당된다. 두경부에 발생하는 대부분의 편평 상피암종은 방사선 치료가 적응이 되지만 우상암은 수술적 제거가 원칙이다. 이는 우상암에서 합성기의 세포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어 방사선 치료에 반응이 늦을 뿐 아니라, 방사선 치료 후 종종 역형성 암형성이나 주위조직으로의 빠른 파급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10) 하지만 방사선 치료만으로 충분한 치료결과를 얻었다는 보고와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여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가 있고 특히 방사선 조사만으로 치료하려는 시도는 수술적 제거가 불가능하거나 미용적인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다.11)12) 본 예에서는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안면부의 미용적 측면이 가장 중요하였다. 우측 비익과 비전정을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절제하고 피부 피판을 이용하여 재건하는 것을 고려하였으나 우상암의 특성과 미용적 측면을 고려하고 치료방사선과의 협진을 통해 수술 적 제거 후 보조적 방사선조사요법을 병행해 치료하였고 현재까지 재발없이 경과 관찰 중이다. 앞으로 장기적인 추적 관찰과 우상암에 대한 기존의 방사선 치료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
Ackerman LV. Verrucous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Surgery 1948;23:670-8.
-
Elliott GB, Macdougall JA, Elliott JD. Problems of verrucous squamous carcinoma. Ann Surg 1973;177:21-9.
-
Kraus FT, Perezmesa C. Verrucous carcinoma: Clinical and pathologic study of 105 cases involving oral cavity, larynx and genitalia. Cancer 1966;19:26-38.
-
Jang IW, Jeun JG, Yoo BY, Lyu GS. Verruous carcinoma of maxillary sinu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0;43:344-6.
-
Lee WC, Lee KD, Jekal JH, Yu TH. A case of verrucous carcinoma of maxillary sinu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97;40:1352-6.
-
Kim MH, Kim HJ, Park SH, Shim BT. A case of verrucous carcinoma of the hard palate and the nasal floor.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5;48:114-7.
-
Bradford CR, Zacks SE, Androphy EJ, Gregoire L, Lancaster WD, Carey TE.
Human papillomavirus DNA sequences in cell lines derived from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1;104:303-10.
-
Kao GF, Graham JH, Helwig EB. Carcinoma cuniculatum(verrucous carcinoma of the skin):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46 cases with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Cancer 1982;49:2395-403.
-
Klima M, Kurtis B, Jordan PH. Verrucous carcinoma of skin. J Cutan Pathol 1980;7:88-98.
-
Perez CA, Kraus FT, Evans JC, Powers WE. Anaplastic transformation in verrucous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after radiation therapy. Radiology 1966;86:108-15.
-
Schwade JG, Wara WM, Dedo HH, Phillips TL. Radiotherapy of verrucous carcinoma. Radiology 1976;120:677-9.
-
Burns HP, van Nostrand AW, Palmer JA. Verrucous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Management by radiotherapy and surgery. Can J Surg 1980;23:19-21, 25.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