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신저자:허경욱, 614-735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1동 633-165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51) 890-6375, 6379 · 전송:(051) 892-3831 · E-mail:heokw96@kornet.net
서
론
점막 형질세포증(Mucous membrane plasmacytosis)은 비종양성의 형질세포 증식의 드문 형태로써 병인 및 치료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1) Ferreiro 등2)이 상부 기도에 발생한 점막 형질세포증 9예를 보고한 바 있으며 국내에는 아직 발표된 적이 없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주로 기도와 상부 위장관의 점막에 조약돌(cobblestone)이나 사마귀모양의 병변을 보이며, 병리조직 소견상 점막하에 대다수 성숙한 형질세포로 구성된 염증세포의 침윤과 확장이 특징적이다.2) 비교적 흔히 보고되는 형질세포 종양인 골수외 형질세포종(extramedullary plasmacytoma), 형질세포 육아종(plasma cell granuloma)과의 조직학적 감별이 중요하다. 임상적으로 유육종증(sarcoidosis), 진균 감염, 비경화증(rhinoscleroma), 반흔성 유천포창(cicatricial pemphigoid), 매독 등과도 감별하여야 한다.
저자들은 인두이물감을 주소로 내원한 여자환자에서 구인두 종물을 절제생검하여 조직검사상 형질세포증으로 진단되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30세 여자환자로 내원 3개월 전부터 발생한 인두이물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병력 및 가족력상 특이소견 없었으며, 흡연은 하지 않았고 술은 한달에 한두번 정도 소량씩 마시는 정도였다. 신체검사 및 원시후두경 검사상 구인두의 후벽에 노란색으로 조약돌 모양의 0.5×0.3 cm 크기의 종물이 관찰되었다(Fig. 1A and B).
Octocaine®(2% lidocaine+1:100,000 epinephrine)으로 국소마취를 시행하고 15번 칼날을 이용하여 종물주위를 절개한 후, 겸자로 절제생검을 시행했다.
H & E 염색 소견상 구인두 점막하에 형질세포(plasma cell)의 미만성 침윤이 관찰되고 있었다(Fig. 2A and B).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종양세포는 CD138에 양성 소견을 보여(Fig. 3) 성숙 형질세포(mature plasma cell)로 판단되었고, κ, λ light chain에 대한 염색상 다클론형(polyclonal pattern)으로 관찰되어 점막 형질세포증으로 진단되었다.
절제 생검 후 시행한 인두 자기공명영상에서 잔존한 종물의 소견은 없었으며, 균배양 검사상에서 세균이나 진균, 항산성 간균 등은 동정되지 않았다. 내과와 협진하에 다른 형질세포종양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시행한 일반혈액검사, 간기능검사, 소변검사, 혈청단백 전기영동, 전신 골주사, 그리고 두부와 흉부의 일반방사선검사상 철결핍성 빈혈소견만 관찰되어 경구 철분제 투여후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재발소견 없이 외래추적 관찰중이다(Fig. 1C and D).
고 찰
점막 형질세포증은 형질세포의 이상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비종양성의 질환으로서 상부 기도및 위장관에서 주로 발생한다. 형질세포의 비정상적인 점막 침윤은 1952년 Zoon 등3)이 balantitis plasma cellularis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술하였다. 이후 입술, 치은, 혀에 발생한 병변에 대해 주로 치과 문헌에서 atypical gingivostomatitis, idiopathic gingivostomatitis, allergic gingivostomatitis 등으로 기술되었으며,4)5)6) 상부 위장관에 발생한 병변에 대해서는 plasmacytosis mucosae, plasma cell cheilitis 등의 여러 명칭으로 보고 되었다.7)8) White 등9)은, 이전에 발표된 여러 증례들을 고찰하여 임상적으로나 병리학적으로 같은 질환임으로 해부학적인 위치에 관계없이 plasma cell orificial mucositis로 명명하기로 하였다. 이후 상부 위장관에 발생한 양성 형질세포 질환에 대해 대부분의 문헌에서 plasma cell orificial mucositis 또는 점막형질세포증(mucous membrane plasmacytosis)로 발표되었으나 국내문헌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점막 소견은 조약돌이나 사마귀모양의 점막병변이 다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경계가 분명하고 궤양이 동반되지 않으며 표면이 매끈한 양상을 보인다.1) 증상은 병변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다른데 입술이나 치은에 발생할 경우 통증이나 병변의 종창등을 호소하게 되며, 후두나 인두, 구개, 기관 등에 병변이 있을 때는 발성장애, 연하곤란, 호흡장애,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1) Ferreiro 등2)은 병변의 위치는 성문상부가 가장 많았고 그 외 성문부, 입술, 구개, 구강, 인두 등에도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병리조직 소견상 점막하에 대다수 성숙 형질세포로 구성된 염증세포의 확장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일부 다핵형백혈구나 림프구가 포함되어 있거나 때때로 형질세포의 세포질내에 면역글로불린이 축척되어 나타나는 Russell body가 관찰되기도 한다.2) 면역조직화학염색시에는 κ, λ light chain와 여러종류의 heavy chain이 혼합된 다클론형이 나타난다.2)
원인이나 발병인자는 아직 확실히 밝혀진 것이 없다. 이러한 병변이 외부의 자극인자에 의해 형질세포가 침착하는 양상으로 나타나는 비특이적인 염증반응의 일종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점막에 알러지나 다른 화학적인 자극으로 형질세포의 침착을 유도하려는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하였다.8) Aiba 등10)은 비록 형질세포의 침착이 정상적인 염증반응에서는 드문 조직소견이지만 광선 각화증, 편평 세포암, 보웬병(Bowen disease), 유두상 한낭선종(syringocystadenoma papilliferum)과 같은 피부 신생물에서는 관찰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임상적으로 유육종증, 진균 감염, 비경화증, 유천포창, 매독 등과 혼동될 수 있으며, 병리학적으로는 형질세포기원의 종양과 감별하여야 한다.
골수외 형질세포종은 조직학적으로 핵에 최소한의 이형성(atypia)이 나타나지만 형질세포는 점막 형질세포증과는 달리 단클론형인 것이 특징이며 단클론성 감마글로불린병증이나 형질세포종양을 시사하는 소견 등이 감별진단에 도움이 된다.11)12) 형질세포 육아종(plasma cell granuloma)는 상부 기도, 주로 치주조직에 발생하며, 형질세포를 포함하나 다른 세포성분과 섞여있으므로 점막 형질세포증과 감별된다.13)
비경화증은 형질세포증과 임상적인 양상이 비슷하나 조직학적으로 특징적인 Mikulicz(foam) cell을 확인함으로서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원인균인
Klebsiella rhinoscleromatis를 배양이나 특수 염색을 시행하여 확인해야 한다.14) 반흔성 유천포창은 양성 점막 유천포창(benign mucous membrane pemphigoid)의 한 형태로서 주로 여자에게 발생하며 점막에 조약돌 모양의 병변을 주로 관찰할 수 있는 형질세포종과는 달리 반흔이 동반된 궤양이 특징적이다.15) 직접 면역형광염색을 시행하면 88%에서 항기저막 항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된다.16) 이차 매독의 점막 병변에 형질세포의 침윤이 자주 관찰될 수 있으나 병변조직의 Silver 염색과 혈청학적 검사로 감별할 수 있다.17)
점막 형질세포증의 치료는 항생제, 전신 스테로이드 요법,
CO2 레이저를 이용한 병변 절제 등을 시도한 보고가 있으나 아직 확립된것이 없다.1) White 등9)은 입술과 후두개에 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후두개의 병변은 단순절제 후 증세 호전이 있었으나 재발하였으며, 입술의 병변에 사용한 nystatic oral suspension, 0.25% desoximetasone cream, triamcinolone acetonide의 병변내 주사는 거의 효과가 없었다고 보고했다. Ferreiro 등2)에 의하면 9예의 환자 중에 4예에서 부신피질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여 단기간의 증세의 호전은 있었으나 병변은 반응이 없었으며 2예에서 항생제 치료를 했으나 효과가 없었다고 하였다. 5명의 환자에서 종괴에 의한 압박효과를 줄이기 위해 병변의 절제가 이루어졌으며 이 중 한 예에서
CO2 레이저를 사용하였다. Khan 등1)은 상후두와 후인두벽에 발생한 병변을 절제 생검을 시행한후, 재발하여 지속적으로 호흡곤란과 애성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Corsodyl 구강세척과 beclamethasone을 구강과 인두에 분무하여 증상의 즉각적인 호전과 이후 12개월동안 재발이 없었음을 보고하였다. Fogarty 등18)은 후두에 발생한 병변의 치료에 cyclophosphamide, vincristine, prednisolone을 사용한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일시적인 호전을 보였으나 치료를 중단한 후 다시 병변이 진행했다고 보고하였다.
Ferreiro 등2)은 2예에서 점차 진행하여 기도를 압박하여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였으며 1예에서 수면무호흡증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으나 장기간의 관찰에서 점막 형질세포증이 형질세포종양이나 다른 악성 종양으로 진행한 예는 없었다. 본 예에서는 국소 절제 후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재발소견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점막 형질세포증은 드물게 상부 기도및 위장관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형질세포에 의해 발생하는 다른 질환과 병리학적, 혈액학적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사용하여 감별 진단이 필요하며 향후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
Khan NA, McKerrow WS, Palmer TJ. Mucous membrane plasmacytosis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A case report with effective treatment. J Laryngol Otol 1997;111:293-5.
-
Ferreiro JA, Egorshin EV, Olsen KD, Banks PM, Weiland LH.
Mucous membrane plasmacytosis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A clinicopathologic study. Am J Surg Pathol 1994;18:1048-53.
-
Zoon JJ. Chronic benign circumscript plasmocytic balanoposthitis. Dermatologica 1952;105:1-7.
-
Owings JR Jr. An atypical gingivostomatitis: A report of four cases. J Periodontol 1969;40:538-42.
-
Kerr DA, McClatchey KD, Regezi JA. Idiopathic gingivostomatitis, Cheilitis, glossitis, gingivitis syndrome: Atypical gingivostomatitis, plasma-cell gingivitis, plasmacytosis of gingiv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71;32:402-23.
-
Kerr DA, McClatchey KD, Regezi JA. Allergic gingivostomatitis (due to gum chewing). J Periodontol 1971;42:709-12.
-
Luders G. Plasmacytosis mucosae-an oft-mistaken new syndrome. An investigation into the clinical symptoms, histomorphology, immunopathology and pathogenesis of "chronic benign circumscribed haemosiderotic plasmocellular inflammation of the mucous membrane". Munch Med Wochenschr 1972;114:8-12.
-
Baughman RD, Berger P, Pringle WM. Plasma cell cheilitis. Arch Dermatol 1974;110:725-6.
-
White JW Jr, Olsen KD, Banks PM. Plasma cell orificial mucositis.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 Dermatol 1986;122:1321-4.
-
Aiba S, Tagami H. Immunoglobulin-producing cells in plasma cell orificial mucositis. J Cutan Pathol 1989;16:207-10.
-
Saad R, Raab S, Liu Y, Pollice P, Silverman JF.
Plasmacytoma of the larynx diagnosed by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A case report. Diagn Cytopathol 2001;24:408-11.
-
Matthews JB, Basu MK. Plasma cell lesions within the oral tissues: Immunoperoxidase staining of routinely fixed and processed tissu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2;54:414-23.
-
Batsakis JG. Pathology consultation. Plasma cell tumors of the head and neck. Ann Otol Rhinol Laryngol 1983;92:311-3.
-
Canalis RF, Zamboni L. An interpretation of the structural changes responsible for the chronicity of rhinoscleroma. Laryngoscope 2001;111:1020-6.
-
Hanson RD, Olsen KD, Rogers RS 3rd. Upper aerodigestive tract manifestations of cicatricial pemphigoid. Ann Otol Rhinol Laryngol 1988;97:493-9.
-
Person JR, Rogers RS 3rd. Bullous and cicatricial pemphigoid. Clinical, histopathologic, and immunopathologic correlations. Mayo Clin Proc 1977;52:54-66.
-
Baughn RE, Musher DM. Secondary syphilitic lesions. Clin Microbiol Rev 2005;18:205-16.
-
Fogarty G, Turner H, Corry J. Plasma cell infiltration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J Laryngol Otol 2001;115:92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