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of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 Occurring in the Mobile Tongue. |
Ja Bock Yun, Sun Lee |
1Departments of Otolaryngology, Sanggye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Seoul, Korea. 2Departments of Diagnostic Pathology, Sanggye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Seoul, Korea. |
가동설부에 생긴 기저양 편평세포암종 1예 |
윤자복1 · 이선2 |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1;진단병리학교실2; |
|
|
|
주제어:
기저양 편평세포암종ㆍ가동설부. |
ABSTRACT |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 is a rare varia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mainly occurring in the tongue base, hypopharynx, larynx and the mouth floor. Histologically, this tumor has two cell types, the basaloid cell and the squamous cell. Prognosis of this tumor was reported to be worse than that of squamous cell carcinoma due to its aggressive behavior. We experienced a case of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mobile tongue, which had no mucosal involvement. |
Keywords: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ㆍMobile tongue |
교신저자:윤자복, 139-707 서울 노원구 상계7동 761-1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2) 950-1104 · 전송:(02) 935-6220 · E-mail:yunjb@sanggyepaik.or.kr
서
론
기저양 편평세포암종(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은 성문상부, 하인두 그리고 설기저부에 주로 발생하는 드문 암종이다. 예후는 일반적으로 편평세포암종보다 나쁘다고 알려져 있다. 조직학적으로 이 암종은 기저양세포와 편평세포가 동시에 존재하는 특징적인 모습을 보인다.
1986년 Wain 등1)이 후두에 발생한 기저양 편평세포암종을 처음 보고한 이후 세계적으로 100예 정도가 보고가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성문상부, 하인두, 설기저부 그리고 비강에 발생한 보고가 있었으나 가동설부(mobile tongue)에 발생한 기저양 편평세포암종에 관한 보고는 세계적으로도 드물다.2)3)
저자들은 가동설부에서 발생한 기저양 편평세포암종을 경험하였는데 발생부위와 조직학적인 모습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저양 편평세포암종의 그것과 다소 차이가 있는 증례이므로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48세의 남자가 3개월 전부터 점점 커지는 설종물을 주소로 본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였다. 설부의 동통은 없었고 호흡곤란이나 연하장애의 증상도 없었다. 흡연이나 과도한 음주의 과거력도 없었다. 가족력상 특이사항 없었다. 이학적 소견상 3×3 cm 크기의 종양이 우측 가동설부에서 관찰되었다. 종양은 단단하였고 난원형이었으며 점막의 병변이 전혀 없었다. 내시경 검사상 비강, 비인강, 설기저부, 그리고 하인두는 정상이었다. 경부단층촬영상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고 조영증강을 보이는 원형의 종양이 우측 가동설부에서 관찰되었고 경부 림프절 전이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Fig. 1). 골주사, 식도조영술 그리고 복부 초음파검사상 원격전이나 이차암의 발생소견이 없었다. 외래에서 시행한 조직검사상 기저양 편평세포암종으로 진단되어 전신마취하에 설부분절제술과 양측 상견갑설골근 경부청소술을 시행하였다.
조직병리소견상 육안적으로 점막에 침범이 없었고 점막하 조직에서 종양이 관찰되었다(Fig. 2). 조직학적으로 원형의 세포로 구성된 기저양세포가 소엽을 구성하고 있었고 원형 세포들은 핵이 크고 세포질이 적었다(Fig. 3). 조직의 일부분에서 분홍색의 세포질을 가진 미분화 편평세포가 관찰되었다(Fig. 4). 동시에 암종 괴사 소견과 선양낭성암종같은 선세포도 관찰되었다. HMW-CK(high molecular weight cytokeratin)에 의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기저양세포가 특징적으로 강하게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Fig. 5). 그리고 조직병리소견상 림프절 전이 소견은 모든 림프절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이 환자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받고 12개월이 지난 현재 병소의 재발 소견 없이 외래관찰 중이다.
고 찰
기저양 편평세포암종은 편평세포암종의 드문 변종으로 상기도에 주로 발생한다. 특히 설근부, 하인두, 구강저, 그리고 후두 등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부비동, 식도, 기관 그리고 방광 등에서도 발생하기도 한다. 설부에서는 주로 설근부(tongue base)에 주로 발생하는데 본 증례와 같이 가동설부에 발생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60~70대 남자에서 많이 발생하고 흡연과 음주와 관련이 깊은 이 암종은 상피층에 있는 기저세포층에 위치한 원시세포(primitive cell)에서 유래한다는 설이 유력하다.1) 그러므로 육안소견상 상피하층을 침범하는 궤양성의 종양으로 흔히 관찰되는데 본 증례는 궤양을 형성하지 않고 가동설부의 상피하층에만 존재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저양 편평세포암종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조직학적으로 이 암종은 기저양세포와 편평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양세포는 핵/세포질(N/C) 비율이 높고, 핵은 원형이며, 세포질이 적다. 이 세포들은 둥근 모양의 소엽(lobule)을 형성하며 자라는 형태를 취하는데 많은 경우에서 중심성 괴사(central comedo necrosis) 소견을 보이고 핵분열(mitosis) 소견도 보인다. 기저양세포가 주된 세포이지만 확진을 위해서는 반드시 편평세포가 존재해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조직의 일부분에서만 편평세포가 발견되어 확진에 어려움이 있었다.
기저양 편평세포암종은 기저양세포의 미분화된 모양 때문에 소세포암종(small cell carcinoma)와 감별이 필요하며 가성소엽형성(pseudoacinar formation)이나 사상형태(cribriform pattern)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선양낭성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과도 감별이 필요하다. 기저양 편평세포암종과 달리 선양낭포성암종은 림프절 전이가 드물고 핵분열소견이나 중심성괴사 소견이 드물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이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데 기저양 편평세포암종의 많은 경우에서 HMW-CK에 기저양세포가 강하게 염색된다.4)5) 그밖에
bcl-2 oncoprotein의 발현과 human papilloma virus DNA의 발현이 기저양 편평세포암종과 관련있다는 보고가 있다.6)7)
이 암종은 림프절 전이가 흔하고, 원격전이를 잘하며, 이차암(second primary tumor)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서 일반적으로 편평세포암종보다 예후가 나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경부청소술을 포함한 수술과 술후 방사선치료가 권장되는데 종양의 병기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면 일반적인 편평세포암종와 비슷한 생존율을 나타낸다는 보고도 있다.8)
이 환자의 경우 점막침범은 없었으나 비교적 그 종양 크기가 크고 종양이 우측설부에 있었지만 좌측으로도 넘어간 상태라서 양측 상견갑설골근 경부청소술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 암종은 예후가 나쁘다고 알려져 있어, 비록 림프절 전이가 없었지만 술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REFERENCES
-
Wain SL, Kier R, Vollmer RT, Bossen EH.
Basaloid-squamous carcinoma of the tongue, hypopharynx, and larynx: report of 10 cases. Hum Pathol 1986;17:1158-66.
-
Kim JY, Cho KJ, Lee SS, Khang SK, Shim YS.
Clinicopathologic study of basaloid squamous carcinoma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J Korean Med Sci 1998;13:269-74.
-
Kim CN, Chung SM, Jung OK, Kim SS.
A case of spontaneous regression of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 Korean J Otolaryngol 1997;40:440-4.
-
Coppola D, Catalano E, Tang CK, Elfenbein IB, Harwick R, Mohr R.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 of floor of mouth. Cancer 1993;72:2299-305.
-
Banks ER, Frierson HF Jr, Mills SE, George E, Zarbo RJ, Swanson PE.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40 cases. Am J Surg Pathol 1992;16:939-46.
-
Koide N, Koike S, Adachi W, Amano J, Usuda N, Nagata T.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bcl-2 protein in squamous cell carcinoma and basaloid carcinoma of the esophagus. Surg Today 1997;27:685-91.
-
Cubilla AL, Reuter VE, Gregoire L, Ayala G, Ocampos S, Lancaster WD, et al.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 a distinctive human papilloma virusrelated penile neoplasm: a report of 20 cases. Am J Surg Pathol 1998;22:755-61.
-
Luna MA, el Naggar A, Parichatikanond P, Weber RS, Batsakis JG. Basaloid squamous carcinoma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Clinicopathologic and DNA flow cytometric analysis. Cancer 1990;66:537-4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