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3(11); 2000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0;43(11): 1191-1195.
Expression of NF-K B and I-K B in Allergic Rhinitis.
Seon Tae Kim, Seung Chul Oh, Chan Woo Kim, Chan Park, Il Hwan Jang, Heung Eog Cha, Yu Jin Hwang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Gil Medical Center, Gachon Medical School, Inchon, Korea. Rhinokim@ghil.com
2Department of Molecular Biology Lab, Gil Medical Center, Gachon Medical School, Inchon, Korea.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NF-κB와 I-κB의 발현양상
김선태1 · 오승철1 · 김찬우1 · 박 찬1 · 장일환1 · 차흥억1 · 황유진2
가천의과대학 길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1;분자생물학교실2;
주제어: 알레르기성 비염NF-κBIκB.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K B is a transcription factor in immune and inflammatory reactions, and exerts its effect by expressing cytokines and chemokines, enzymes, receptors and adhesion molecules. Many of the inflammatory proteins that are expressed in respiratory airways are also regulated, at least in part, by NF-K 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F-K B and its inhibitory protein, I-K B expression in normal nasal mucosa and allergic rhinitis.
MATERIALS AND METHODS:
We have evaluated 20 allergic rhinitis mucosa and 7 normal inferior turbinate. Immunohistochemical study and RT-PCR were done for NF-K B and I-K B expression.
RESULTS:
NF-K B and I-K B were localized at the epithelium, and in the subepithelial inflammatory cells,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glandular endothelial cells in both normal nasal mucosa and allergic rhinitis. Compared to normal nasal mucosa, both activated and inactivated forms of NF-K B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pithelial cell layer of allergic rhinitis. However, for the I-K R expression, no difference could be observed. RT-PCR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level of NF-K B mRNA between nasal mucosa and allergic rhinitis, but I- K B expression showed no difference. CONCLUSIONS: This results show that NF-K B is usually activated in the nasal epithelial cell layer and NF-K B may play a role in the inflammatory reaction of allergic rhinitis. But further study is required for the role of I-K B.
Keywords: NF-kappa BI-kappa BRhinitisAllergicPerennial

서     론


   알레르기성 비염의 특징은 호산구, 림프구 등의 출현과 더불어 싸이토카인, 효소, 접착분자 등 여러 종류의 염증성 단백질의 발현 증가가 특징이다.1) 그러나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지속적인 싸이토카인 발현의 유도와 염증세포의 보충 및 활성화에 관여하는 분자생물학적 조절 기전은 아직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1)
   유전자 전사(gene transcription)란 DNA원형으로부터 RNA가 합성되어 유전자로부터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으로, 전사인자는 이 과정에서 특정 유전자의 촉진자 부위에 결합하여 그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2) 천식에서 보이는 싸이토카인이나 chemokine, 효소 등 염증성 단백질의 증가는 전사인자들에 의해 이러한 염증단백질 유전자들의 전사가 증가하여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이러한 전사인자들 중에는 nuclear factor-κB(NF-κB), activator protein-1(AP-1),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s(NF-AT), cyclic 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CREB), signal transduction-activated transcription factors(STAT) 등이 있다.4) 이들 중에 NF-κB 및 이에 결합하여 활성화를 억제하는 전사인자인 Inhibitory κB(I-κB)는 면역과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여러 종류의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 알려져 있다.5)
   지금까지 천식을 비롯한 여러 염증성 질환에서 NF-κB의 증가가 보고되고 있으며3) 천식성 기도점막에서 보이는 호산구의 증가에 NF-κB가 관련됨이 알려져 있다.6) 그러나 알레르기성 비염에서는 NF-κB 및 I-κB의 발현에 관하여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정상 및 알레르기성 비염환자의 비점막에서 NF-κB와 I-κBα의 분포양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대상 환자군은 대상환자는 통년성 알레르기성 비염 20례(남 11, 여 9, 평균 27세), 정상군 7례(남 3, 여 4, 평균 31세) 등 두 군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1개월전부터 모든 약물을 끊은 상태에서 알레르기성 비염의 전형적인 임상적 증상을 보이며 피부단자 검사상 집먼지 진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등에 3+ 이상의 반응이 있었고,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Radioallergosorbent test(RAST) 검사로 확인된 경우로 하였다. 정상대조군은 비중격 교정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채취한 편측의 정상 하비갑개 점막조직을 사용하였다. 실험 재료는 하비갑개 전단에서부터 1 cm 뒤에서 겸자로 비점막을 채취하였다.

방     법


면역조직화학적 검사
   파라핀 포매조직을 자일렌을 사용하여 탈파라핀화한 후 100%, 75% 알코올로 함수화하였고 내재성 페록시다아제를 억제하기 위하여 3% 과산화수소를 5분간 반응시켰다. 조직내에 비특이적 결합을 억제하기 위하여 단백질억제제를 실온에서 15분간 적용하였다. NF-κB에는 p50(NF-κB1)과 p65(Rel-A) subunit로 나뉘는데 이중 p65 subunit에 대한 단클론성 항체(Santa Cruz, Delaware, CA)를 1:100으로 희석하고, I-κBα는 다클론성 항체(Santa Cruz, Delaware, CA)를 1;1,000으로 희석한 후 모두 4°C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이차항체는 바이오틴이 부착된 anti-rabbit immunoglobulin(Dako, Carpitenia, CA)를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스트렙아비딘-퍼옥시다제를 15분간 반응시켰다. 발색제로는 3-amino-9 ethyl carbarzole(Zymed, South San Francisco, CA)를 사용하였으며 대조염색으로 Meyer's hematoxylin을 사용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일차항체대신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시행한 후 관찰하였다. 400배하의 고배율하에서 한 시야에서 핵질에 염색된 활동형과 세포질에 염색된 비활동형으로 분류하였다(Figs. 1 and 2). 각 슬라이드당 10군데에서 관찰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

총 RNA의 추출 및 cDNA의 합성
   RNA를 추출하기 위하여 D용액 20 ml에 2 M sodium acetate, DEPC-saturated phenol, β-mercaptoethanol을 첨가한 후 각각의 조직을 100 mg정도 넣고 유리 동질화기를 이용하여 균질화시켰다.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취한 후 ­20°C에서 이소프로파놀을 넣고 1시간 정도 배양한 후 다시 원심분리하여 총 RNA로 된 침전물을 얻었다. 이것을 70% 에탄올로 세척한 후 원심분리하여 만든 침전물을 증류수 50 μl에 녹인 후 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RNA의 농도를 정량하였다. 이중 RNA 2 μg에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Life Technologies, Gaithersberg, MD)역전사 효소, 5x Reverse transcription buffer, 10 mM dNTPs, RNase inhibitor, random hexamer 등을 첨가하여 37°C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94°C에서 5분간 불활성화시켜 cDNA를 합성하는 역전사 반응을 시행하였다.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cDNA을 이용하여 NF-κB와 I-κBα 유전자의 발현을 보기위해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하였다.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5 μl의 cDNA에 10x PCR reaction buffer, 25 mM MgCl 2, 2.5 mM dNTPs, NF-κB와 I-κBα 각각의 20 ρmol의 sense와 antisense primer(Table 1), 또는 GAPDH의 sense와 antisense primer, Taq polymerase, 증류수 등을 넣어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사용하였다.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Gene Amp PCR system 2400(Perkin Elmer)에서 94°C에서 5분간 변성시킨 후 94°C에서 45초, 55°C에서 30초, 72°C에서 1분 주기로 약 35회 증폭한 후 최종 72°C에서 약 7분간 반응을 연장시켰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cDNA대신 증류수와 반응액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최종 중합효소 연쇄반응 산물을 2%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을 한 후 ethidium bromide용액으로 30분간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총 RNA의 파괴여부 및 상대적 정량비를 구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 GAPDH을 사용하여 각각의 중합효소반응 띠의 밝기를 농도분석기(Image analyser, Bio-Profile, Vilber Lournat, France)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자료분석
   통계학적 분석은 SPSS 7.5 for Windows(version 7.5, SPSS Inc., Chicago, USA)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고 p값이 0.05이하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하였다.

결     과


면역조직화학적 분포

   정상 비점막에서 NF-κB의 분포는 상피세포층에서는 기저세포층에 주로 분포하였고 점막하 고유층에서는 염증세포 및 점막하 분비선세포, 혈관 내피 세포 등에 분포함을 보여주었다(Fig. 3). 알레르기성 비염군의 상피층에서는 핵질에 염색된 활동형과 세포질에 염색이 된 비활동형이 모두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p<0.05), 점막하 고유층에서는 비활동형만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Fig. 4).

   I-κBα 양성세포는 비점막 상피세포층과 점막하 고유층에서는 주로 염증세포, 분비선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 등에 분포하였다(Fig. 3). 정상 비점막과 알레르기성 비염에 있어 양성세포의 분포양상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NF-κB와는 달리 알레르기성 비염군이 비점막 상피세포와 점막하 고유층에서 활동형과 비활동형 모두 정상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Fig. 5).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

   NF-κB와 I-κBα의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산물을 전기영동한 결과 각각 532 및 355 염기쌍 크기의 cDNA 띠가 검출되었다. 정상 대조군과 알레르기성 비염군 모두에서 NF-κB와 I-κBα의 발현이 관찰되었다(Fig. 6). 각 군에서 농도분석기를 이용하여 GAPDH와 비교 분석한 결과 NF-κB는 알레르기성 비염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게 나왔다(p>0.05). 그러나 I-κBα는 알레르기성 비염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약하게 발현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ig. 7).

고     찰

   NF-κB는 쥐의 B 림파구에 있는 면역글로부린 κ경쇄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인자로 처음 알려졌다.7) NF-κB는 Rel 단백질의 일종인 p50아단위와 p65아단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이형이합체로, 비자극 상태에서는 세포질에서 억제 단백질인 I-κB에 붙어 있다가 외부에서 자극을 받아 활성화되면 이 복합체에서 억제 단백질인 I-κB가 떨어져 나간다. 분리된 NF-κB는 핵안으로 들어가 표적유전자인 염증유전자의 촉진자부위에 있는 특정한 κB 염기서열에 붙게 되어 염증유전자의 전사를 급격히 증가시키면서 염증단백질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9) NF-κB를 자극하는 인자로는 IL-1β와 TNF-α와 같은 싸이토카인, protein kinase C activator, 바이러스, 오존과 같은 산화제 등으로, 이러한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NF-κB는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IL-1β와 TNF-α, GM-CSF, IL-8, RA-NTES, eotaxin, iNOS, COX-2, ICAM-1, VCAM-1들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이러한 단백질 분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킨다.8)9) 본 실험의 결과 NF-κB가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는 NF-κB의 활성화를 통해 조절받는 염증성 단백질들이 알레르기성 비염의 비점막에 대부분 존재하기 때문에, NF-κB의 활성화를 통해 이러한 단백질들의 발현이 자극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천식의 병태생리에 관여하는 염증 분자들의 작용기전에 NF-κB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천식환자의 기도상피에서 지속적인 NF-κB의 활성화가 만성 기도염증의 지속을 가져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2-4) NF-κB는 급성 호흡기 질환 증후군 환자의 폐포내 대식세포에서 증가되 있으며,10) 기도상피세포의 배양에서 IL-1β나 TNF-α에 노출된 후 빠르게 활성화되어 GM-CSF의 발현을 증가시켜 기도상피에서 싸이토카인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중요한 전사인자로 보고되었다.11) 기도상피에서 산소의 감소는 NF-κB를 활성화시키고 iNOS mRNA를 증가시켜 산화자극에 대한 기도의 방어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12) 비강내 rhinovirus 감염후에 비세정액에서 증가되는 IL-6는 NF-κB에 의해 매개된다고 하였다.13) NF-κB의 p50 아단위가 결손된 쥐의 기도상피에서 호산구 증가성 기도염증을 보이지 않았는데 따라서 호산구의 생산 및 활성화에 필요한 IL-5와 eotaxin의 반응을 증폭시키는데 NF-κB가 필요하다고 하였다.6)
   Wilson 등14)은 비용에서 면역조직화학적 검사상 NF-κB가 상피세포 및 내피세포, 비만세포, 호산구, 림프구와 대식세포 등에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는 NF-κB가 생성되는 세포의 종류 및 이들의 세포와 조직에서의 활성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며 동시에 염증의 척도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Ramis 등15)은 정상 비점막과 비용에서 iNOS와 관련하여 NF-κB의 분포를 본 결과 NF-κB의 활성화 정도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저자들의 실험에서는 NF-κB 양성세포의 분포가 상피세포 및 염증세포와 내피세포 및 분비선 등에 분포하여 Wilson 등14)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알레르기성 비염에서는 정상 비점막에 비해 상피세포층에 활성형의 NF-κB가 증가되어 Ramis 등15)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와같이 상피세포층에서 NF-κB가 증가되는 이유는 상피세포층이 외부 자극에 의해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NF-κB가 활성화되며, 상피세포층에서 NF-κB를 활성화시키기는 싸이토카인 등 염증성 단백질의 분비가 증가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알레르기성 비염에서의 지속적인 NF-κB의 증가는 NF-κB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이 다시 NF-κB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인데, IL-1β나 TNF-α는 NF-κB를 활성화시키기도 하고 NF-κB에 의해 활성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국소부위의 반응 고리가 염증을 지속시키고 증폭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2) 또한 NF-κB는 단독으로 유전자전사를 활성화하기에는 불충분하며 Activator-1(AP-1) 등 다른 전사인자들과 동시에 상호작용으로 지속적인 염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NF-κB의 지속적인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16)17) Thompson 등18)의 실험에 의하면 일부 종류의 자극은 주로 IκB-α복합체에 영향을 주어서 신속하지만 일시적인 NF-κB의 활성화를 초래하지만, 박테리아성 리포다당질 등의 자극은 IκB-α와 IκB-β 복합체에 모두 영향을 주어서 NF-κB를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실험에서 점막하층에서는 비활동형만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NF-κB의 활성화된 상태가 상피세포층에서만 국한되고 점막하 고유층까지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보이는 점막하층에서의 호산구나 대식세포 등의 숫자가 증가된 것과 관련이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NF-κB의 작용을 억제하는 IκB 단백질의 종류에는 IκB-α, IκB-β, IκB-γ, IκB-δ, IκB-ε가 있는데 이중 IκB-α이 가장 많다.8) IκB 단백질은 주로 NF-κB의 p65와 작용하며 p50과는 결합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5)8) I-κB는 아직 비점막 및 기도 상피에서 분포하는 위치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으나 저자들의 실험에서는 NF-κB와 유사한 분포양상을 보여주었다. 본 실험에서 IκB-α의 분포는 정상군과 알레르기성 비염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이 나타난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IκB-α의 존재는 NF-κB와 결합되어 비활성화된 형태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IκB-α 단독으로도 세포내에 존재하기 때문에5)8) NF-κB의 분포와 다를 수 있으며 또한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IκB-α를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다른 기전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알레르기성 비염에서의 IκB-α의 역할에 관해서는 더욱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향후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이러한 NF-κB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알레르기 비염에서 보이는 염증성 단백질의 증가 및 활성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결     론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보이는 알레르기 반응의 활성화에 NF-κB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NF-κB는 주로 비점막 상피세포에서 활성화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IκB-α는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어 NF-κB와의 관련성을 밝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REFERENCES
  1. Christodoulopoulos P, Cameron L, Durham S, Hamid Q. Molecular pathology of allergic disease. II: Upper airway disease. J Allergy Clin Immunol 2000;105:211-23.

  2. Barnes PJ, Karin M. Nuclear factor-κB: A pivotal transcription factor i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N Engl J Med 1997;336:1066-71.

  3. Barnes PJ, Adcock IM. NF-κB: A pivotal role in asthma and a new target for therapy. Trends Pharmacol Sci 1997;18:46-50.

  4. Rahman I, MacNee. Role of transcription factors in inflammatory lung diseases. Thorax 1998;53:601-12.

  5. Baeuerle PA, Baltimore D. IκB: A specific inhibitor of the NF-κB transcription factor. Science 1988;242:540-5.

  6. Yang L, Cohn L, Zhang DH, Homer R, Ray A, Ray P. Essential role of nuclear factor κB in the induction of eosinophilia in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J Exp Med 1998;188:1739-50.

  7. Sen R, Baltimore D. Multiple nuclear factors interact with the immuno-globulin enhancer sequences. Cell 1986;46:705-16.

  8. Baldwin AS. The NF-κB and I-κB proteins: New discoveries and insights. Annu Rev Immunol 1996;14;649-81.

  9. Blackwell TS, Christman JW. The role of nuclear factor-κB in cytokine gene regulation. Am J Respir Cell Mol Biol 1997;17:3-9.

  10. Schwartz MD, Moore EE, Moore FA, Shenkar R, Moine P, Haenel JB, et al. Nuclear factor-kappa B is activated in alveolar machrophages from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rit Care Med 1996;24:1285-92.

  11. Jany B, Betz R, Schreck R. Activation of the transcription factor NF-κB in human tracheobronchial epithelial cells by inflammatory stimuli. Eur Respir J 1995;8:387-91.

  12. Adcock IM, Brown CR, Kwon OJ, Barnes PJ. Oxidative stress induces NF-κB DNA binding and inducible NOS mRNA in human epithelial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4;199:1518-24.

  13. Zhu Z, Tang W, Ray A, Elias JA. Rhinovirus stimulation of interleukin-6 in vivo and in vitro. Evidence for nuclear factor κB-dependent transcription activation. J Clin Invest 1996;97:421-30.

  14. Wilson SJ, Leone BA, Anderson D, Manning A, Holgate ST.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activation of NF-κB and expression of associated cytokines and adhesion molecules in human models of allergic inflammation. J Pathol 1999;189:265-72.

  15. Ramis I, Bioque G, Lorente J, Jares P, Quesada P, Rosello-Catafau J, et al. Constitutive nuclear factor-kappaB activity in human upper airway tissues and nasal epithelial cells. Eur Respir J 2000;15:582-9.

  16. Hart LA, Krishnan VL, Adcock IM, Barnes PJ, Chung KF. Activation and localization of transcription factor, nuclear factor-kappaB, in asthma.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8;158:1585-92.

  17. Yoon HJ. Transcription factor and asthma.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1999;19:127-41.

  18. Thompson JE, Phillips RJ, Erdjument-Bromage H, Tempst P, Ghosh S. IκB-βregulates the persistent response in a biphasic activation of NF-κB. Cell 1995;80:573-82.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