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llergenicity of the Storage Mites(Tyrophagus Putrescentiae and Acarus Siro)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
Chang Yong Han, Jung Min Bahn, Jin Gu Kim, Hyun Su Kim, Gi Chul Kim, Gi Ho Park, Chi Duck Gang, Joong Hwan Cho |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Maryknoll General Hospital, Pusan, Korea. hlandh@netsgo.com 2Department of Biochemistr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에서 저장진드기(Tyrophagus Putrescentiae와 Acarus Siro)의 알레르겐성 |
한창용1 · 반정민1 · 김진구1 · 김현수1 · 김기철1 · 박기호1 · 강치덕2 · 조중환1 |
메리놀병원 이비인후과1;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2; |
|
|
|
주제어:
Tyrophagus putrescentiaeㆍAcarus siroㆍ저장진드기ㆍ교차반응성ㆍ집먼지진드기. |
ABSTRACT |
BACKGROUND AND OBJECTIVES: Storage mites, Tyrophagus putrescentiae (TP) and Acarus siro (AS), known as the major causative allergens to people who deal with stored foods and grains, may occur more frequently in house dust than expected. During the recent 6 months, positive reactions to TP and AS were observed as frequently as those to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P)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in Pu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llergenic components within TP and AS, and evaluate the cross reactivity with DP.
MATERIALS AND METHODS: Using extracts of DP, TP and AS, prepared after dialysis and lyophilization, allergenic components were identified using SDS-PAGE and western blotting. Cross reactivity among them were evaluated by inhibition tests using pharmacia CAP system.
RESULTS: The protein components of DP, TP and AS, showed different patterns in SDS-PAGE. Molecular weight of major IgE binding components of TP were 17 kD, 25 kD and 67 kD, and those of AS were 18 kD, 19 kD, 25 kD and 27 kD. TP- or AS-specific IgE was partially inhibited by DP extract; however, DP-specific IgE was not significantly inhibited either by TP or AS extract. Significant inhibition were noted between TP and AS.
CONCLUSION: TP and AS may share common allergens with DP.
However, sensitization to TP or AS was also suspected in some cases. The percentage of Acaridae family in Pusan was 12% of total mites. Therefore, storage mites should be considered as causative allergens and included in allergy test battery. |
Keywords:
Tyrophagus putrescentiaeㆍAcarus siroㆍStorage miteㆍCrossreactivityㆍHouse dust mite |
서론
Bogdanov(1864)가 최초로 Pyroglyphid과를 보고한 이후, Dekker(1928)가 호흡기 알레르기의 원인이 매트리스와 집먼지에서 발견되는 진드기일 것이라 추측하였다.1) Voorhorst와 Spieksma(1964)에 의해 Dermatophagoides속들이 집먼지에 많이 존재하고, 기관지천식과의 연관성이 밝혀진 이후, 통년성 알레르기의 주요한 원인으로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지금까지 시행되었다.1)
한편, 창고 알레르기(barn allergy)는 농부와 목부들에게서 흔히 발생되는 것으로, 결막염, 비염과 천식 증상을 나타낸다. 창고 먼지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것은 Acaridae과의 Acarus siro(AS), Tyrophagus putrescentiae(TP)와 Tyrophagus longior, Glycyphagidae과에 속하는 Glycyphagus domesticus, Lepidoglyphus destructor이다. 이들은 주로 곡류, 밀가루, 치즈, 건조과일, 햄 등과 같은 저장식품들에 많이 번식한다.1) 1979년 Cuthbert 등2)이 건초와 곡류를 취급하는 농장 근로자들에서 저장진드기들의 추출물로 시행한 피부반응시험과 RAST 결과 양성 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을 처음 보고한 이후 Blainey3)와 Van hage-hamsten 등4)이 목부와 농부들, 저장식품 취급 노동자들에서 직업적 노출과 알레르기 호흡 증상들과의 연관성을 확신하게 되었다. 하지만 실제 이런 직업적인 노출이외에 도시가옥내 집먼지에도 습도가 높은 경우 저장진드기들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을 수 있어 충분한 감작능력을 가진 원인 알레르겐으로 많은 관심을 끌게 되었다. 실제 일반 가정내 진드기의 분포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인 Ree(1977) 등5)의 보고에 따르면 TP와 AS가 속한 Acaridae과가 약 7% 분포를 보였으며, 부산 지역에서는 TP가 7.3% 보고되었다. 본원 알레르기성 비염환자들의 가정에서 수집한 51개의 집먼지 표본에서 관찰한 보고에서는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DP)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Acaridae과가 전체 개체수의 12.0%이며 이 중 TP는 11.4%로, 그 검출율은 도심지역에서 약 20%로 높게 보고되었다.6)
한편, 집먼지진드기와 달리, 이들 저장진드기들의 알레르겐과 특성 등에 관해선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서로 다른 종의 진드기에서 알레르기 특이성과 교차반응성은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면역요법에 매우 중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TP와 AS의 추출물에서 IgE 결합요소를 관찰하고, DP와 교차 알레르기 반응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와 방법
동결 건조된 진드기 추출물
TP는 연세의대 기생충학교실, AS는 영국 왕립 농업 연구소, DP는 고신의대 기생충학교실에서 배양되었다. 순수 배양된 진드기들은 에틸 에테르로 탈지과정을 거쳐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1:40 W/V)와 섞어 균질 파쇄와 초음파 분쇄(Fisher sonic demembrator Model 300)를 한 뒤, 용해성 알레르겐을 추출하기 위해 섭씨 4도에서 약 7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12,000 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를 한 다음, 상층액을 투석막(Spectra/Por, molecularporous membrane tubing, MWCO:6∼8,000, Spectrum Laboratories, Inc.)에 넣어 증류수에서 12시간 투석하였다. 이를 다시 12,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동결건조(Labconco, Freeze dryer 18)시킨 다음 최소량의 PBS로 용해하여 원액을 만들고 브래드포드법에 의해 단백질의 함량을 측정하였다(Ultrospec 2000, UV/visible spectrophotometer, Pharmacia, Biotech).
혈청
1998년 1월 1일부터 1998년 6월 30일까지 메리놀 이비인후과 알레르기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알레르기 피부반응시험과 Pharmacia CAP system에서 TP, AS 혹은 DP에 양성 반응을 나타낸 환자들중 20명의 혈청을 채취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이전에 면역요법의 병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음성 대조군은 알레르기 증상을 호소하지 않고, 피부반응시험에 음성 반응을 나타낸 건강인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부 반응 시험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을 가지는 총 173명의 대상환자들에게 Allergopharma사의 DP, TP, AS 알레르겐 시약으로 환자의 등에 피부반응시험을 시행하였고, 15분 경과후 팽진과 홍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히스타민 양성대조액과 비교하여 같은 크기의 팽진은 +++, 1/2 크기는
++, 1/4 크기는 +, 양성대조액보다 클 경우는 ++++, 음성대조액과 같은 크기이면 -로 분류하였으며, ++이상을 양성 반응으로 판정하였다.
Pharmacia CAP system을 이용한 혈청 특이 IgE 항체 측정
총 109명의 환자들에게 DP, TP, AS에 대한 특이 IgE 항체를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 하고자는 ImmunoCAP과 표준물질의 항 IgE immunoCAP을 microplate에 설치하고, 환자의 혈청과 표준 물질을 각각 50 μl씩 microplate로 옮긴 후 3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뒤 세척하였다. β-galactosidase로 표식된 토끼 항 human IgE 항체를 50 μl씩 첨가한 후 15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고, 다시 세척한 뒤 형광물질이 포함된 용액을 첨가하여 10분 동안 반응후 형광검출기인 Fluoro Count 96(Pharmacia, sweden)에 넣어 형광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IgE에 대한 WHO공인 국제 표준 물질을 사용하여 정량을 kU/l로 표시하고 전체를 6등급으로 세분한 기준을 사용하였다. 0등급은 0.35 kU/l 이하, 1등급은 0.35 kU/l에서 0.7 kU/l까지, 2등급은 0.7 kU/l에서 3.5 kU/l까지, 3등급은 3.5 kU/l에서 17.5 kU/l까지, 4등급은 17.5 kU/l에서 50 kU/l까지, 5등급은 50 kU/l에서 100 kU/l까지, 6 등급은 100 kU/l 이상이며, 본 연구에서는 2등급(>0.7 kU/l) 이상을 양성으로 처리하였고, 통계 처리를 위해 0등급의 농도는 0.35 kU/l, 6등급의 농도는 100 kU/l로 하였다. 통계 처리는 양성과 음성반응의 조합으로 교차표를 만든 뒤, SPSS를 사용하여, chi square test를 유의수준 5% 이하로 검정하였다.
Pharmacia CAP system 억제시험
억제시험에 사용할 용량인 5 μl당 각각 0.1 μg, 1 μg, 10 μg, 50 μg의 단백질 함량을 가지는 추출물을 각 진드기별로 만든 후 대상 혈청에 해당 억제추출물을 첨가하고, 4℃에서 12시간정도 항온 반응시킨 다음, 측정 하고자는 Immuno CAP을 이용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단계적 억제 시험에서는 2명의 혈청, 억제물질로는 음성 대조군인 PBS와 단계적으로 희석된 4종의 추출물을 이용하였고, 고용량 억제 시험에서는 7명의 혈청, 50 μg/5 μl의 추출물로 DP, TP, AS에 대해 각각 시행하였다.
단계적 억제 시험은 대상 혈청을 microplate에 각 well당 50 μl씩, 13개씩 3열의 well에 분주한 뒤, PBS, DP 추출물 4종, TP, AS를 각 well당 5 μl씩 첨가하였다. 3열 모두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여, 4℃에서 12시간 항온반응을 시킨 다음, CAP system으로 첫 열 13개 well에선 DP 특이 IgE 항체, 두 번째 열에선 TP 특이 IgE 항체, 세 번째 열에선 AS 특이 IgE 항체를 측정하였다. 고용량 억제 시험도 50 μg/5 μl 단일 추출물만 사용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억제제인 진드기 추출물에 의한 혈청내 특이 항체의 CAP system 억제율은, PBS를 넣은 혈청의 kU/l(A)값과 추출물로 억제 반응을 시킨 후의 kU/l(B)값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산출하였다.
CAP system 억제율(%)=A kU/l-B kU/l / A kU/l ×100
억제율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SPSS를 이용하여, Wilcoxon signed rank test, 유의수준은 5% 이하로 검정하였다.
Western blotting
SDS-PAGE를 위해 4% acrylamide stacking gel과 13% acrylamide separating gel을 만들었
다.
단백질 양이 각 슬롯당 100 μg이 되게 전기영동할 적당량의 진드기 추출물을 시료 완충액(60 mM Tris-HCl, 25% glycerol, 2% SDS, 14.4 mM 2-mercaptoethanol, 0.1% bromophenol blue)과 섞은 다음, 약 5분간 90℃ 이상에서 끓였다. 각 진드기 추출물을 4% acrylamide stacking gel에 만들어진 Slot에 각각 주입하여, 13% acrylamide gel에서 분자량에 따라 100 volt의 전압하에서 분리하였다(Mighty small electrophoresis unit;Hoeffer, San Francisco, CA, USA).
전기영동이 끝난 후 젤의 단백질 성분들을 나이트로셀룰로즈막(0.45 μm pore size, Amersham, Buckinghamshire, UK)으로 20 volt하에서 1시간동안 전이시켰다. 차단용액(5% 건조 탈지분유, 0.1%(v/v) Tween 20 in TBS)으로 4℃에서 약 12시간정도 비특이 반응부분들을 차단하였다.
약 10배 희석한 혈청으로 실온에서 1시간정도 반응시키고, TBS-T용액(0.1%(v/v) Tween 20, 50 mM Tris)으로 세척 한후, horseradish peroxidase가 표식된 산양 항 human IgE 항체(Sigma Immuno-Chemicals, St. Louis, MO, USA) 1:1,000 희석액과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TBS-T용액에 다시 세척후, IgE 결합요소들을 화학발광용액(Supersignal, Pierce chemical company, USA)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피부반응시험과 Pharmacia CAP시스템
피부반응시험을 시행한 총 173명에서 각 항원에 따른 양성 반응률은 DP가 122명(78.70%), TP가 109명(70.32%), AS가 103명(66.45%)이었다.
이 중 109명의 환자에서 Pharmacia CAP system으로 특이 IgE 항체를 측정한 결과, 양성 반응률은 DP가 82명(75.23%), TP가 57명(52.29%), AS가 60명(55.05%)이었으며, DP와 TP, DP와 AS, TP와 AS사이에서 모두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주었고, 특히 TP와 AS사이에서는 높은 연관성을 관찰하였다(Table 1).
SDS-PAGE와 western blotting 결과
세 진드기 추출물들의 SDS-PAGE결과, 전체적 단백질 구성에 있어 서로 다른 양상을 관찰하였으며(Fig. 1), western blotting 결과(Fig. 2), 제 1 실험군은 1번에서 3번까지로 실험대상군중 음성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환자들의 혈청 pool을 이용한 결과이고, 제 2 실험군은 4번에서 15번까지로, 가장 흔한 양상인 Pharmacia CAP system에서 DP에 강양성, TP, AS에 약양성을 보이는 환자군의 개인별 혈청을 사용한 반면, 제 3 실험군인 16번에서 18번까지는 DP, TP, AS에 모두 비슷하게 3, 4등급이 나왔던 환자 혈청을 이용하였다. 제 4 실험군인 19번은 DP, AS에는 음성이고, TP에만 양성을 보였던 환자이고, 제 5 실험군인 20번에서 21번까지는 DP에만 강양성을 보이면서, TP, AS에는 음성으로 나타났던 환자들의 혈청 pool이고, 제 6 실험군인 22번에서 23번까지는 음성 대조군의 혈청 pool을 이용한 결과이다.
DP에서는 1군 알레르겐으로 알려진 25 kD성분, 2군 알레르겐으로 알려진 16 kD 성분이 저명하게 관찰되며, 다른 알레르겐들도 많이 관찰되고 있다. 제 3 실험군과 4실험군에서는 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고, 제 6 실험군에서도 특이 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다.
TP에서는 17 kD, 25 kD, 67 kD의 위치에서 서로 공통된 알레르겐들을 관찰할 수 있었고, 다른 위치의 특이적인 알레르겐 성분도 관찰되었다. 제 3 실험군과 4실험군에도 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고, DP만 양성인 제 5 실험군에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AS에서는 18 kD, 19 kD, 25 kD, 27 kD의 위치에서 공통된 알레르겐들을 관찰할 수 있었고, 제 3 실험군, 4실험군, 5실험군에서도 비슷한 알레르겐을 보여 주었다.
음성 대조군은 IgE 결합요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제 3 실험군과 제 4 실험군의 결과만을 관찰하여 보면, TP와 AS에는 반응을 보이면서, DP에는 특이할 만한 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다(Fig. 3).
Pharmacia CAP System 억제시험
단계적 억제시험의 결과는 억제전 IgE 항체량에 대한 억제후 IgE 항체량의 백분율을 이용하여 억제용량에 따른 양상을 이차원 선그래프로 나타내었다.
DP 특이 IgE 항체의 경우, DP 추출물로 억제한 경우 억제전 IgE 항체량의 6% 이하로 감소되었으나, TP와 AS 추출물로 반응시킨 경우, 억제전 항체량의 90% 정도로 관찰되었다. TP 특이 IgE 항체의 경우, TP와 AS 추출물로 억제한 경우 4% 이하로 억제 양상을 보여주고, DP 추출물도 36%, 70%의 항체량을 보여주었다. AS 특이 IgE 항체도 TP와 AS 추출물에 의해선 20%, 16%, DP 추출물에 의해선 44%, 42%를 보여주었다(Fig. 4).
고용량 억제 시험의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TP와 AS추출물에 의한 DP 특이 IgE 항체의 억제율은 평균 1.9%, 2%이었으나, TP와 AS상호간에는 평균 90% 이상의 억제가 서로 일어났다. DP 추출물에 의한 TP 특이 IgE 항체의 평균 억제율은 48%, AS 특이 IgE 항체의 평균 억제율은 28%를 나타내었다(Table 2).
고찰
Tyrophagus putrescentiae와 Acarus siro는 Acaridae과에 속하는 저장진드기들로, 직업적 노출과 관련된 알레르기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Iversen등7)과 Tee등8)은 습도가 높은 주거 상태와 실내에서의 감작 등 환경적인 원인이 더 중요하다고 하며, 도시의 집먼지내에도 상당수 분포하고, 습도가 높고, 곰팡이가 잘 자라는 장소에서 감작원이 될 수도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피부반응시험 결과, TP와 AS는 DP와 거의 대등한 비율의 양성 반응을 보였고, Pharmacia CAP 시스템에서도 TP에 52.29%, AS에 55.05%를 보였다. 1988년, Park 등9)도 DP에 감작된 환자들에서 TP에 양성 피부반응율이 84.5%로 높아 교차반응성을 의심하였는데, 실제 저장진드기의 분포를 고려해 볼 때, 광범위한 양성 반응들이 DP와의 교차반응성 때문인지, 아니면 실제 중복 감작인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SDS-PAGE에서 세 종류의 진드기들은 모두 다른 양상을 나타내어 구성 단백질들의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western blotting에서 TP와 AS는 모두 DP의 제 1 군 알레르겐인 25 kD 성분과 동일한 위치에서 밴드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 2 군 알레르겐인 DP의 16 kD 성분과 유사한 17 kD, 18 kD 위치에서 각각 밴드를 보여주고 있다. 비슷한 위치의 밴드들이 동일한 단백질이라 확정지을 수 없지만, 유사한 항원결정기를 많이 가지고 있으며, 생화학적, 생물학적 활성도가 유사할 것이라 생각되므로, 상호 교차반응성의 가능성이 충분히 있으리라 예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양성 반응이 뚜렷한 경우, 주로 DP는 16 kD 성분이 매우 강하였던 반면, TP와 AS는 25 kD 성분이 강한 반응을 보였다. 1994년 Johansson 등10)은 AS의 15kD, TP의 16 kD 위치에 IgE 결합요소를 발견하였고, TP와 AS의 25 kD 성분이 실험상 오류로 나타나지 않았는 데도 불구하고, 교차반응성에서는 DP의 25 kD 성분이 강하게 억제되는 양상을 관찰하고, 공통항원으로 25 kD의 IgE 결합요소를 강력하게 의심하였다. 1997년 Munhbayarlah 등11)은 TP
의 주 알레르겐을 18 kD 성분이라 보고하면서, 이는 DP의 16 kD 성분과 부분적인 교차 반응성을 가진다고 하였다.
교차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한 단계적 억제 시험에서 DP 특이 IgE 항체는 TP와 AS 추출물로 억제가 거의 되지 않는 반면, TP 특이 IgE 항체와 AS 특이 IgE 항체는 DP 추출물에 의해 억제전 항체량의 40∼70% 정도로 억제되는 양상을 보인 것은, 이들간 상호 교차반응성이 존재하며, 이 경우에서 주감작원이 DP일 것이란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런 결과는 총 7명의 혈청을 이용한 고용량 단일 억제 시험에서도 TP와 AS 상호간에 강한 억제율을 보여주었으며, DP 추출물에 의해서는 단계적 억제시험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두종류 억제 시험에서 TP와 AS사이에는 강한 교차 반응성이 확인되었다. Ebner 등12)도 RAST 억제 시험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Munhbayarlah 등11)도 TP의 주 알레르겐이 DP와 교차반응성을 보인 반면, DP의 주 알레르겐은 TP와는 약한 교차반응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결과적으로, DP에 감작된 환자들중, 상당수에서 교차 반응성때문에 TP와 AS에 실제 감작이 되지않았더라도 양성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Luczynska13)도 실제 DP가 훨씬 많이 분포하므로, 교차반응을 보이는 경우, DP가 주감작원일 것이고, 도시 거주민들에서 저장진드기에 감작된 경우는 실제 검사상 양성율보다 낮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억제시험상 부분적인 억제반응을 나타낸 것은 알레르겐 추출물 사이의 공유 성분뿐 아니라, 종 특이적인 항원결정기의 존재 가능성도 있으리라 추측한다. 한편, Van Hage Hamsten 등14)과 Tee15)는 DP와 저장진드기들간에 주요한 교차반응성이 없다는 증거를 제공하면서, 복수 감작의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에서, DP와 TP, AS 사이에는 공통 알레르겐이 존재하며, 이로 인한 교차 항원성으로 인해 실제로 감작이 되지 않더라도, 검사상 양성 반응이 일어날 수 있고, 이 경우 주요 감작원은 western blotting에서의 반응 정도의 차이로 확인할 수 있었다. Pharmacia CAP system에서 DP에 강양성을 보이면서, TP와 AS는 약 3, 4등급정도의 양성을 보이는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실제 저장진드기 감작의 가능성은 낮았다. 하지만, 세 진드기에 모두 비슷한 정도의 양성을 보이는 실험군과 TP에만 양성반응을 보이는 실험군에서 western blotting상 TP와 AS에는 강한 반응을 보이나 DP에는 특이할 만한 반응을 보이지 않아, 이들 중에는 TP와 AS에 실제 감작이 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분포에 있어서도 Choi 등6)의 보고에 따르면 Acaridae과가 전체 개체 수에선 12%를 차지하지만, DP가 거의 모든 가정에 골고루 분포가 되어 있는 반면, TP와 AS는 발생률 20%에서 알 수 있듯이,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실제 TP와 AS가 분포하는 집먼지에서는 개체수에 있어 거의 DP와 유사하고, 감작을 충분히 일으킬 수 있는 정도라고 예상되었다.
교차반응을 연구하는 데 있어 장애가 되는 것은 잘 정제되고, 표준화된 진드기 알레르겐의 부족과 다양한 IgE 함량을 가지는 혈청이었으며, 이런 이유로 정량적인 반응에서는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할 수도 있다.
알레르겐 동정시, 차이를 보일 수 있는 것도 western blotting 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항원의 농도와 종류, 혈청 등 여러가지 요인들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정제된 저장진드기 알레르겐의 분리로 아미노산 배열 등의 구조적인 분석이 가능해 진다면, 알레르기 특이성과 교차반응성에 대해 더 정확하고 중요한 정보를 얻어 혈청 특이 IgE 항체 분석과 면역요법에 발전을 가져올 것이다.
결론
저장진드기와 집먼지진드기 사이에서 공통 알레르겐과 특이 알레르겐의 존재는 알레르기 교차반응과 항원적으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감작 등, 진드기들에 대한 면역반응의 복잡성을 시사하여 준다. 감작에 충분한 저장진드기의 분포를 고려할 때 향후 알레르기 기본검사에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REFERENCES 1) Fain A, Guerin B, Hart BJ. Mites and allergic disease. Varennes en argonne, France: Allerbio;1990.
2) Cuthbert OD, Brostoff J, Wraith DG, Brighton WD. Barn allergy: Asthma and rhinitis due to storage mites. Clin Allergy 1979;9:229-36.
3) Blainey AD, Topping D, Ollier S, Davies RJ. Allergic respiratory disease in grain workers: The role of storge mites. J Allergy Clin Immunol 1989 ;84:296-303.
4) Van Hage-Hamsten M, Johannsson SGO, Hoglund S. Storage mite allergy is common in a farming population. Clin Allergy 1985;15:555-64.
5) Ree HI, Jeon SH, Lee IY, Hong CS, Lee DK. Fauna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house dust mites in Korea. Korean J Parasitol 1997;35:9-17.
6) Choi SO, Cho BK, Moon JS. Distribution of House Dust Mites in the Bedroom of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in Pusan Area. Korean J Epid 1997 ;19:190-9.
7) Iversen M, Dahl R. Allergy to storage mites in asthmatic patients and its relation to damp housing conditions. Allergy 1990;45:81-5.
8) Tee RD, Gordon DJ, Gordon S, Crook B, Nunn AJ, Musk AW, et al. Immune response to flour and dust mites in a United Kingdom bakery. Br J Ind Med 1992;49:581-7.
9) Park HS, Kang SW, Hong CS. The results of skin test and RAST to Tyrophagus putrescentiae. Korean J Allergy 1988;8:118-24.
10) Johansson E, Johansson SGO, Van Hage-Hamsten M. Allergenic characterization of Acarus siro and Tyrophagus putrescentiae and their crossreactivity with Lepidoglyphus destructor and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Clin Exp Allergy 1994;24:743-51.
11) Munhbayarlash S, Park JW, Ko SH, Ree HI, Hong CS. Identification of Tyrophagus putrescentiae Allergen and Evaluation of Cross-reactivity with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Yonsei Med J 1998;39:109-15.
12) Ebner C, Feldner H, Ebner H, Kraft D. Sensitization to storage mites in house dust mite (D. pteronyssinus) allergic patients. Comparison of a rural and an urban population. Clin Exp Allergy 1994;24:347-52.
13) Luczynska CM, Greffin P, Davies RJ, Topping MD. Prevalence of specific IgE to storage mites (A. siro, L.destructor and T.longior) in an urban population and crossreactivity with the house dust mites (D. pteronyssinus). Clin Exp Allergy 1990;20:403-6.
14) Van Hage-Hamsten M, Johansson SGO, Johansson E, Wiren A. Lack of allergenic cross-reactivity between storage mites and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Clin Allergy 1987;17:23-31.
15) Tee RD. Allergy to storage mites. Clin Exp Allergy 1994;24:636-4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