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9;42(6): 750-755. |
The Effects of Retinoids on Expression of beta4 Integrin and Growth of the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s. |
Hwa Kyung Yu, Sung Geun Bong, Hee Jong Chang, Sang Yoon Kim |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Hospital, Ulsan, Korea. hkyoo@uuh.ulsan.kr 2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세포주에서 Retinoids가 세포증식 및 β4 Integr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
유화경1 · 봉성근1 · 장희종1 · 김상윤2 |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1;서울중앙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2; |
|
|
|
주제어:
Retinoidㆍ두경부 편평세포암종 세포주ㆍCytochrome P450ㆍ세포증식ㆍβ4 integrin. |
ABSTRACT |
BACKGROUND AND OBJECTIVES: Retinoids have been used in chemoprevention trials for a variety of epithelial malignancies. However, high incidence of toxicity and drug resistance remains as problems. Increase of the retinoid metabolism by cytochrome P450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several mechanisms explaining these toxicity and the aquired resistanc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the biological effects of retinoid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but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the retinoids metabolism on cell biology. The study presented here i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ytochrome P450 induction and responses to retinoids in the HNSCC cell lines.
MATERIAL AND METHODS: We used a human HNSCC cell lines (AMC-HN-4, AMC-HN-6). The change of metabolic activity was analyzed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The effects of retinoids on cell proliferation were evaluated with CellTiter 96 TMAQueous Cell Proliferation Assay. The effects of retinoids on beta4 integrin expression were evaluated with flow cytometry.
RESULTS: The inhibitory effects of retinoids on cell proliferation were higher in AMC-HN-4 cell line (cytochrome P450 uninducible) than in AMC-HN-6 cell line (cytochrome P450 inducible) (p<0.05). The expression of beta4 integrin was more effectively suppressed in the AMC-HN-4 cell line than in the AMC-HN-6 cell lin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ytochrome P450 inducilbility may be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biological effects of retinoids in HNSCC cells. |
Keywords:
RetinoidsㆍHNSCC cell lineㆍCytochrome P450ㆍCell proliferationㆍbeta4 integrin |
서론
Retinoids는 vitamin A의 유도체로서 암의 발생 및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항암제 혹은 암의 화학적 예방제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1)2)3)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에서 retinoids의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β-All-trans-retinoic acid(RA)와 13-cis-retinoic acid(13-cis-RA)를 이용하여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13-cis-RA는 암전구병변인 구강 백반증의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환자에서 이차암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5) 그러나 retinoids에 의한 독성(toxicity)의 발생빈도가 높고, 그 치료효과가 일정하지 않으며,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임상에 널리 적용하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6)
일반적으로 RA는 in-vitro study에서 편평세포암종 세포주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 억제효과가 50%를 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세포주에서는 RA에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8)9) 어떤 세포주에서는 RA가 세포의 증식이나 분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유가 정확히 밝혀진 바 없으나 일부 연구에서 RA에 의해 그 자신을 대사시키는 효소인 cytochrome P450이 세포 자체에서 유도된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어10) cytochrome P450의 세포내 생성으로 인하여 retinoid가 대사되는 것이 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Kim 등11)이 확립한 세포주중에서 cytochrome P450을 생성시키는 AMC-HN-6 세포주와 생성시키지 않는 AMC-HN-4 세포주에서 retinoids가 세포증식 및 β4 integr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내 cytochrome P450의 생성이 retinoids의 생물학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재료
Retinoids
RA, 13-cis-RA는 Sigma사(Sigma Chemical Co.;St. Louis, MO)에서 구입하였고, all-trans-[11, 12- 3H(N)]-RA ([3H]RA)는 DuPont New England Nuclear사(Boston, MA)에서 구입하였다.
단클론항체
유세포 분석에 사용된 일차항체는 항 β4-integrin 단클론항체 UM-A9가 사용되었다.
세포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에서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으로부터 확립한 세포주 AMC-HN-4 및 AMC-HN-6가 사용되었다.11) AMC-HN-6 세포주는 RA의 전처리에 의해 cytochrome P450이 유도되는 세포주이며 AMC-HN-4 세포주는 RA를 전처리하더라도 cytochrome P450이 유도되지 않는 세포주이다.
세포배양 및 Retinoids 처리
세포배양
세포의 배양은 5% CO2, 95% 공기, 100% 상대습도, 37℃의 조건하에서 Falcon tissue culture flask(Becton dickinson, Aalst, Belgium)에서 단층배양(monolayer culture)으로 시행하였다. 모든 세포의 배양은 heat inactivated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Grand Island, NY), 200mmol L-glutamine, 2.2 g/L sodium bicarbonate, 4-(2-hydroxyethyl)-1-piperazineethane sulfonic acid (HEPES), 5.9 g/L penicillin-streptomycin, fungizon이 첨가된 최소필수배지(minimum essential media)에서 시행하였다.
Retinoids 처리
Retinoids는 dimethylsulfoxide(DMSO;Sigma)에 녹여 10 -2 M을 원액(stock solution)으로 사용하였다. 이 원액은 단기간(<14일) 보관시에는 -20℃에서 보관하여 사용하였고 장기간(>14일) 보관시에는 -70℃에 보관하였다. 이 원액에서 최종 농도는 배양액으로 희석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retinoids와 같은 양의 DMSO를 사용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Enzyme assay
RA를 전처리하고 배양한 후 세포가 배양용기의 바닥에 포화(confluence) 되면 trypsin(0.1%)/EDTA(0.02%)을 처리하여 세포를 모은 다음 FBS로 trypsin을 비활성화시키고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으로 세척한 후 원심분리(1,500 g, 4℃, 4분)하여 세포를 모았다. 혈구계(hemocytometer)로 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PBS 600μl에 4×10 6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하였다. 여기에 33 nM[3H]RA를 넣고 CO2 incubator에서 40분간 배양한 후 600μl의 chloroform과 methanol(2:1)을 넣어 효소반응을 중단시키고 상온에서 5,000g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하면 시료는 가장 위쪽의 aqueous layer, 중간의 protein layer, 가장 아래의 organic layer로 분리된다. Retinoids 및 그 대사산물(polar metabolites)은 분리된 3층중 가장 아래의 organic layer에 포함되는데 이것을 조심스럽게 분리 채취하여 Vacuo(Savant Speed Vac concentrator)에서 40분간 건조시키고, 건조된 추출물을 25μl의 ethanol로 녹인 후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로 대사산물을 분석하였다.
TLC
25 μl의 ethanol에 녹인 시료와 standard retinoids를 TLC판(LK6D silica gel, Whatman, Hillsboro, OR)에 점적하고 상온에서 15분간 건조시켰다. 이 TLC판을 150 ml의 전개용액(hexane-ether-acetic acid, 90:60:1.5, vol:vol:vol)으로 1시간동안 미리 포화시켜두었던 유리용기내에 넣고 60분 동안 전개(developing)시켰다. 이 유리용기 내에는 한 장의 solvent-saturated Whatman no. 1 paper를 넣어 용기안에서 전개용액이 충분히 포화되도록 하였다. 60분 동안 전개시킨 후 TLC판을 상온에서 30분 동안 말리고 3H-labeled enhancer(DuPont-New England Nuclear, Boston, MA)를 뿌린 다음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이 TLC판을 -80℃에서 X-Omat 필름(Eastman Kodak, Rochester, NY)에 16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현상하여 RA 및 그 대사산물이 전개된 것을 관찰하였다.
Cell Proliferation Assay
CellTiter 96 TMAQueous Cell Proliferation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retinoids가 세포 증식에 영향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Trypsin(0.1%) / EDTA(0.02%)를 처리하여 배양용기에서 세포를 분리하여 혈구계로 3×10 4개의 세포를 flat bottom 96 well plate에 분주하였다. 분주 1일 후 retinoids(1 μM)를 첨가하여 7일간 배양하였고 4일째 배지를 교환하였다. 분주 7일째 20 μl의 MTS / PMS 용액(100 μl PMS, 2.0 μl MTS)을 첨가하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분광비색계(ELISA plate reader)로 49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는 살아있는 세포의 수와 직접 비례하는데 retinoids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생존분획(survival fraction)을 아래와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Survival fraction(%)=Test group Abs-Background Abs* / Control group Abs-Background Abs ×100
Abs;Absorbance
*;배양액만을 넣은 군의 흡광도
모든 실험은 12개 well을 한 군으로 계산하였으며 서로 독립된 실험을 3회 시행하여 그 생존분획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결과는 Wilcoxon sined-rank test로 분석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p<0.05로 하였다.
유세포분석(Flow cytometry)에 의한 β4 Integrin 발현의 측정
배양용기에 3×10 5개의 세포를 분주하고 1일후 retinoids(1 μM)를 첨가하여 7일간 배양하였고 4일째 배지를 교환하였다. Trypsin(0.1%) / EDTA(0.02%)를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여 1×10 6개의 세포를 0.5%(w/v) BSA를 포함한 PBS(PBS-B)에서 세척한 후 100 μl의 일차항체(anti-β4 monoclonal antibody UM-A9)와 함께 4℃에서 45분간 배양하였다. PBS-B에서 3회 세척 후 100 μl의 fluorsc-ein(FITC)-conjugated affinity purified F(ab')2 fragment goat anti-mouse IgG(Accurate)(1:20)를 첨가하여 30분간 배양하고 PBS-B에서 3회 세척한 후 유세포분석기로 분석하였다. 유세포분석기는 FACScan(Becton-Di-ckinson, USA)을 사용하였으며 laser원은 488 nm의 파장에서 excitation시킨 argon으로 584 / 42의 band pass filter를 사용하였다. Specific fluorescence intensity는 일차항체로 염색된 세포의 mean fluorescence intensity에서 이차항체만으로 염색된 세포의 mean fluorescence intensity를 뺀 값이 된다.
Proportion of inhibition of β4 integrin expression(Δ%)= Specific F.I of control group-Specific F.I. of test group / Specific F.I of control group ×100
F.I.;fluorescence intensity
Control group;retinoids untreated cells
Test group;retinoids treated cells
결과
TLC를 이용한 RA 대사산물의 분리 및 확인
RA를 전처리한 AMC-HN-4, AMC-HN-6 세포주와 RA를 전처리하지 않은 AMC-HN-4, AMC-HN-6 세포주에서 [3H]RA의 대사산물에 대한 TLC결과를 Fig. 1에 나타내었다. AMC-HN-6 세포주에서 RA를 전처리했을때 [3H]RA가 대사되어 대사산물이 생성되었으나(Fig. 1, lane 4), RA를 전처리하지 않았을 때에는 생성되지 않았다(Fig. 1, lane 3). AMC-HN-4 세포주에서는 RA의 전처리 후에도 대사산물이 생성되지 않았다(Fig. 1, lane 2).
세포증식에 대한 Retinoids의 효과
AMC-HN-4 세포주에서는 각 retinoids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그 생존분획이 63.2%(RA), 69.2%(13-cis-RA)이었고 AMC-HN-6 세포주에서는 86.8%(RA), 86.6%(13-cis-RA)로 cytochrome P450을 발생시키지 않는 AMC-HN-4 세포주에서 cytochrome P450을 발생시키는 AMC-HN-6 세포주에 비해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Fig. 2).
β4 integrin 발현에 대한 retinoids의 효과
β4 integrin 발현을 억제하는 정도를 비교하는 실험에서 AMC-HN-4에서는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억제비율은 각 retinoids별로 52%(RA), 52%(13-cis-RA)이었고 AMC-HN-6에서는 38%(RA), 23%(13-cis-RA)로 AMC-HN-4 에서 AMC-HN-6에 비해 β4 integrin의 발현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Fig. 3).
고찰
RA 및 13-cis-RA를 포함한 여러 retinoids는 상피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암의 발생 및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1)3) Retinoids의 이러한 성질로 인해 retinoids를 항암제로 사용할 가능성에 대한 많은 임상적, 기초적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Hong 등은4)5) 13-cis-RA의 임상실험에서 암전구병변인 구강 백반증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고, 두경부종양의 치료에는 임상적 효과가 없었으나 이차암의 발병은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하여 두경부영역에서 악성종양의 화학적 예방(chemoprevention)에 retinoids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1990년대 초에는 RA가 성인의 급성 백혈병의 초기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진바 있다.12)13) 그러나 retinoids의 사용은 독성(toxicity)의 발생빈도가 높고, 그 치료효과가 일정하지 않으며,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급성백혈병에서는 초기치료에서 완전 관해가 달성되었다고 하더라도 3∼5개월 후에 재발하게 되며 소위 retinoic acid syndrome등 부작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어 완전한 치료제로 적용하기에는 아직은 많은 한계점이 있다.14) Retinoids는 체내에서 간, 장관, 피부등에 내재되어 있는 cytochrome P450 효소계에 의해 대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cytochrome P450에 의한 retinoids의 대사로 retinoids의 혈장내 농도가 저하되는 것이 retinoids의 치료에 저항성이 발생되는 한 기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본 연구에서 사용된 AMC-HN-4, -6 세포주에서 RA 1 μM의 농도에서 7일간 배양했을 때 AMC-HN-4 세포주에서는 cytochrome P450이 생성되지 않았으나 AMC-HN-6 세포주에서는 cytochrome P450이 생성되었다(Fig. 1). 즉 RA의 전처리에 의해 그 자신을 대사시키는 효소가 유도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F9 embryonal carcinoma cell16), LCC-PK1 pig kidney cancer cell17), MCF-7 3) 및 T47D10) human breast cancer cell 등에서도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retinoids가 간, 장관, 피부 등 체내에서 대사되어 혈장내 농도가 저하됨으로서 그 활성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과 별개로 암세포 자체내에서도 자신을 대사시키는 효소인 cytochrome P450이 retinoids에 의해 활성화되어 retinoids를 대사시키는 기전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8) 그러나 AMC-HN-4 세포주에서는 RA를 전처리하더라도 cytochrome P450이 생성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현상은 암세포의 일반적인 현상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즉 세포주에 따라 RA에 의해 자신을 대사시키는 효소계가 유도되는 세포주와 그렇지 않은 세포주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가 retinoid의 세포주에 대한 생물학적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이러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AMC-HN-4, -6 세포주에서 β4 integrin의 발현 및 세포주의 증식에 대한 retinoids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Retinoids에 의한 세포증식의 억제를 비교하는 실험에서 retinoids(RA, 13-cis-RA)는 AMC-HN-4 세포주에서는 약 40% 정도의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있었으나 AMC-HN-6 세포주에서는 retinoids의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20% 이내로 두 세포주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ig. 2). 이러한 결과는 cytochrome P450을 생성시키는 AMC-HN-6 세포주에서는 RA가 대사되어 활성이 없는 대사산물로 전환됨으로써 세포내 RA의 농도를 저하시키고 따라서 RA의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차단되기 때문이며, AMC-HN-4 세포주에서는 cytochrome P450이 생성되지 않아 RA를 대사시키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retinoids가 β4 integr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에서도 앞의 세포증식 억제효과에서와 유사하게 AMC-HN-4 세포주에서의 β4 integrin 발현이 AMC-HN-6 세포주에서 보다 현저하게 억제되었다(Fig. 3). β4 integrin은 세포접착(cell adhesion)과 관련된 세포표면의 수용체로서 그 정확한 특성과 기능은 아직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세포골격(cytoskeleton)을 조직화하여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경부종양에서 β4 integrin의 발현은 나쁜 예후와 관련이 있으며 발현이 높은 종양에서 전이가 더 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이러한 사실은 retinoids가 암의 화학적 예방 및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 β4 integrin의 발현이 retinoids에 의해 억제된다는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임을 시사하고 있는 소견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에서 처럼 cytochrome P450이 유도되지 않는 AMC-HN-4 세포주에서 cytochrome P450이 유도되는 AMC-HN-6 세포주보다 β4 integrin의 발현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보아 암세포 내에서 cytochrome P450에 의한 retinoids의 대사가 retinoids에 대한 세포의 생물학적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Lotan 등은20) 배양된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세포주(HNSCC 1483, HNSCC 183)를 이용한 연구에서 RA는 HNSCC 1483 세포주에서는 세포증식을 억제하였으나 HNSCC 183 세포주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세포주에 따라 RA의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세포주에 따라 차이가 나는 보고가 많고 retinoids의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50%를 넘지 않는 연구결과도 많다. 이것은 세포주에 따른 cytochrome P450의 생성에 차이가 있기 때문일 것으로 가정할 수 있고 앞으로 이에 대해 검정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AMC-HN-4, -6를 이용하여 세포내 cytochrome P450의 생성이 세포성장 및 β4 integrin의 발현에 대한 retinoids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cytochrome P450이 생성되는 AMC-HN-6 세포주에서 cytochrome P450이 생성되지 않는 AMC-HN-4 세포주에 비해 그 효과가 약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가 일반적인 현상인지는 여러 세포주를 이용하여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만일 일반적인 현상이라면 향후 retinoids의 연구에서 그 생물학적 영향을 평가할 때는 사용되는 세포 및 조직에서 cytochrome P450 에 의한 retinoids의 대사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세포주를 이용한 실험으로 생체내에서의 retinoids의 생리적 영향을 그대로 반영한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에서 RA에 의해 cytochrome P450의 생성이 유도되는 세포와 그렇지 않은 세포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가 retinoids의 항암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러므로 retinoids를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환자에 치료목적으로 사용할 때 편평세포암종 세포에서 cytochrome P450의 생성 여부가 reti-noids의 치료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Cytochrome P450을 생성시키지 않는 AMC-HN-4 세포주에서 P450을 생성시키는 AMC-HN-6 세포주에 비해 세포증식 및 β4 integrin의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ytochrome P450을 생성시키는 세포주에서는 retinoids가 비활성의 대사산물로 대사됨으로써 세포내 retinoids의 농도를 저하시켜 retinoids의 생물학적 효과가 차단되며, cytochrome P450이 발생되지 않는 세포에서는 retinoids가 대사되지 않기 때문에 retinoids에 대한 반응이 보다 현저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retinoids에 대한 세포들의 반응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한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Chytil F. Retinoic acid: Biochemistry, pharmacology, toxicology, and therapeutic use. Pharmacol Rev 1984;36:935-1005.
2) Lippman SM, Benner SE, Hong WK. Cancer chemoprevention. J Clin Oncol 1994;12:851-73.
3) Wousters W, van Dun J, Dillen A, Coene MC, Cools W, Coster RD. Effects of liarozol, a new antitumoral compound, on retinoic acid induced inhibition of cell growth and on retinoic acid metabolism in MCF-7 hman breast cancer cells. Cancer Res 1992;53:2841-6.
4) Hong WK, Endicott J, Itri LM, Doos W, Batsakis JG, Bell R, et al. 13-cis-retinoic acid in the treatment of oral leukoplakia. N Engl J Med 1986;315:1501-5.
5) Hong WK, Lippman SM, Itri LM, Karp DD, Lee JS, Byers RM, et al. Prevention of second primary tumors with isotretinoin in squamous-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N Engl J Med 1990;323:795-801.
6) Ercher SA, Lotan R. Differential effects of retinoic acid and N-(4-hydroxyphenyl) retinamide o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Laryngoscope 1996;106:1471-5.
7) Lotan R. Retinoid-sensitive cells and cell lines. Methods Enzymol 1990;190:217-25.
8) Zou CP, Clifford J, Xu XC, Sacks PG, Chambon P, Hong WK, et al. Modulation by retinoic acid (RA) of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cellular RA-binding proteins, and nuclear RA receptors in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arcinoma cell lines. Cancer Res 1994;54:5479-87.
9) Jetten AM, Kim JS, Sacks PG, Rearick JI, Lotan D, Hong WK, et al. Inhibition of growth and squamous-cell differentiation markers in cultured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arcinoma cells by β-all-trans retinoic acid. Int J Cancer 1990;45:195-202.
10) Han IS, Chol J-H. Highly specific cytochrome P450-like enzymes for all-trans-retinoic acid in T47D human breast cancer cells. J Clin Endo Metabolism 1996;81:2069-75.
11) Kim SY, Chu KC, Lee HR.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nine head and neck cancer cell lines. Acta Otolaryngol (Stockh) 1997;117:775-84.
12) Huang ME, Ye YC, Chen SR, Chai JR, Lu Jx, Zhoa L, et al. Use of all-trans-retinoic acid in the treatment of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Blood 1988;72:567-72.
13) Castaigne S, Chomienne C, Daniel MT, Ballerini P, Berger R, Fenaux P, et al. All-trans retinoic acid as a differentiation therapy for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I. Clinical results. Blood 1990;76:1704-9.
14) Frankel SR, Eardley A, Lauwers G, Weiss M, Warrell RP. The “retinoic acid syndrome” in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nn Int Med 1992;117:292-6.
15) Muindi J, Frankel S, Miller W. Continuous treatment with all-trans-retinoic acid causes a progressive reduction in plasma drug concentrations: Implications for relapse and retinoid “resistance” in patients with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Blood 1992;79:299-303.
16) Williams JB, Napoli JL. Metabolism of retinoic acid and retinol during differentiation of F9 embryonal carcinoma cells. Proc Natl Acad Sci 1985;82:4658-62.
17) Napoli JL. Retinol metabolism in LLC-PK1 cells. J Biol Chem 1986;261:13592-7.
18) Kim SY, Han IS, Yu HK, Lee HR, Chung JW, Choi JH, et al. The induction of P450-mediated oxidation of all-trans retinoic acid by retinoid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s. Metabolism 1998;47:955-8.
19) Gaetano C, Melchiori A, Albini A, Benelli R, Falcioni R, Modesti A, et al. Retinoic acid negatively regulates β4 integrin espression and suppresses the malignant phenotype in a Lewis lung carcinoma cell line. Clin Exp Metastasis 1994;12:63-72.
20) Lotan R. Suppression of squamous cell carcinoma growth and differentiation by retinoids. Cancer Rus 1994;54:1897s-990s.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