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1(5); 1998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8;41(5): 647-652.
Study of the Shoulder Function after Neck Dissection.
Soong Hyeon Kim, Jin Hwan Kim, Jin Hu, Young Soo Rho, Hyun Joon Lim, Dong Sik Park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Seoul, Korea. YS20805@www.chollian.or.kr
2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Seoul, Korea.
경부청소술 후의 견갑기능에 대한 연구
김승현1 · 김진환1 · 허 진1 · 노영수1 · 임현준1 · 박동식2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재활의학교실2;
주제어: 경부청소술견갑기능척수부신경전기진단학적 검사.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Radical neck dissection (RND) has been a standard treatment for the head and neck cancer with metastasis to the cervical lymphatics. The sacrifice of the spinal accessory nerve which innervates the trapezius muscle creates a definite impairement of the shoulder function. Therefore, the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MRND) has been introduced in order to minimize the postoperative morbidities. But, even if the spinal accessory nerve has been preserved, the impaired shoulder function has been reported in some studies. The degree of the shoulder dysfunction after RND tended to be minimal in a few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oulder function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of the neck dissection in 39 cases of 24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houlder functions were evaluated using clinical examinations and the electrodiagnostic method of the trapezius muscles. The results of each test according to the types of neck dissection were compared.
RESULTS:
We observ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linical parameters and electrodiagnostic results. The functional results of the trapezius muscle in the group of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were better than that of the radical neck dissection. In the RND group, 80% of the cases presented incomplete denervation of the trapezius muscle, so it might provide a evidence of innervation of the other nerves to this muscle. In the MRND group, 45% of the cases presented partial denervation of the trapezius muscle, indicating that it might have been caused by damage during the operations.
CONCLUSION:
We found that careful manipulation of the nerve should be required in order to preserve the spinal accessory nerve. Rehabilitative therapy can also improve the shoulder function after neck dissection. Further studies including anatomic dissection and intraoperative electrophysiologic evaluation of the innervation in the trapezius muscle should be performed.
Keywords: Spinal accessory nerveNeck dissectionTrapezius muscle
서론 두경부암종을 수술로 치료할 때 원발병소의 제거와 함께 경부 청소술(neck dissection)은 동시에 시행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이 술식은 Crile 등1)에 의하여 처음 경부곽청술(radical neck dissection)로써 시행되었다. 경부곽청술은 여러 해부학적 구조물의 절제에 따라 술후 후유증이 남을 수 있는데 이중 척수 부신경(spinal accessory nerve)의 희생에 따른 승모근의 탈신경으로 환자가 견갑부의 통증, 운동역의 제한 및 근의 위약 등을 보여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받았으며, 이를 Nahum 등2)은 견갑 증후근 “Shoulder syndrome”이라 명명하였다. Bocca 등3)은 술후 견갑기능의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척수 부신경을 보존하는 변형적 경부청소술(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을 시행하였으며 이 외에도 내경정맥(internal jugular vein), 흉쇄 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등을 보존하는 여러가지 보존적 경부청소술(conservative neck dissection)의 술기가 소개되었다. 그러나 일부의 경부곽청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척수 부신경의 희생에도 불구하고 견갑근의 기능 장애가 미미함을 보인 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반면에 변형적 경부청소술을 시행하여 승모근(trapezius muscle)에 분포하는 척수 부신경을 보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견갑의 기능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4) 이러한 임상적인 견갑의 기능의 장애는 척수 부신경의 보존 외에 다른 원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술중 신경의 견인, 광범위한 박리로 인한 신경의 혈류차단 및 지혈목적의 전기소작에 의한 척수 부신경 손상,5) 술후 상완골 관절(glenohumeral joint)의 피낭염(capsulitis)의 발생으로 견관절의 장애가 발생하는6) 등이 지금까지 보고되었다. 한편으로 경부곽청술을 시행하면서 척수 부신경을 제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견갑기능의 장애가 미약한 경우는 승모근에 분포하는 근막하 경부신경총(subfascial cervical plexus)의 분지가 존재하거나,7) 승모근의 상부 및 중부는 척수 부신경이 분포하며 하부 승모근에는 제3, 4경부신경총이 지배 8)함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아직 논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경부암으로 경부청소술을 받은 환자의 술후 견갑기능장애에 대한 임상양상, 이학적검사 및 전기진단검사(electrodiagnostic study)를 시행하여 임상적 검사와 전기진단검사의 상호연관관계를 분석하고 수술 방법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척수 부신경 손상에 따른 임상양상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대상은 1992년 2월부터 1997년 9월까지 강동성심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에서 두경부 악성종양으로 진단되어 수술을 받은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비는 남자가 21명, 여자가 3명이였으며 연령은 44∼72세(평균연령은 62세)였고 원발부위는 성문암 13명, 하인두암 4명, 구강 및 구인두암 4명, 타액선암 2명, 갑상선암 1명이었다. 병리조직학적 결과는 편평세포암이 21명, 선암이 2명, 유두암이 1명이었다. 15명은 양측 경부청소술을, 9명은 편측 경부청소술을 시행하였다. 전체 39례의 경부청소술 중 경부곽청술(radical neck dissection)을 10례에서, 16례에서 변형적 경부청소술(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을 13례에서 선택적 경부청소술(selective neck dissection)을 시행하였다(Table 1). 검사시기는 술후 6∼65개월(평균 11개월)이었다. 견갑기능의 평가방법 임상적 평가방법 통증의 정도(Degree of Pain) 견갑에 느끼는 통증의 정도는 견갑에 운동부하없이 통증을 느끼면 1점, 견갑의 운동때 통증을 느끼면 2점, 견갑의 운동때에도 통증을 느끼지 않으면 3점을 부여하였다. 견갑골의 외측편위(Lateral Displacement of the Scapula) 앉은 자세에서 근육을 충분히 이완시킨 후 제 4 흉추의 극돌기에서 견갑골의 내측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편측의 경부청소술만을 시행한 경우 환측의 길이와 정상측의 길이의 차로, 양측에 경부청소술을 시행한 경우 술전에 측정한 길이와의 차를 측정하였다. 또한 종합임상점수에 사용하기 위하여 등급을 시행하였는데, 다음과 같이 시행하였다. 정상과의 차가 1.0 cm 이하인 경우 4점, 1.0 cm 초과 1.5 cm 이하인 경우 3점, 1.5 cm 초과 2.0 cm 이하인 경우 2점, 2.0 cm를 초과한 경우에는 1점을 부여하였다. 견관절의 운동범위(Range of Motion) 견관절의 운동범위의 측정은 팔을 몸의 옆에 붙인 위치에서 외측으로 움직여 외전의 정도를 팔을 몸에 붙였을때를 0도, 팔을 수평위치로 하였을때를 90도, 팔을 귀에 밀착시켰을때를 180도로하여 외전정도를 표시하였다. 또한 종합임상점수에 사용하기 위하여 등급을 시행하였는데, 외전의 정도가 170도 이상인 경우 4점, 170도 미만 110도 이상인 경우 3점, 110도 미만 80도 이상인 경우 2점, 80도 미만인 경우에는 1점을 부여하였다. 승모근 근력의 평가(Manual Muscle Testing) 근력의 정도는 앉은 자세에서 팔을 몸통에 밀착후 견갑을 위로 들어올리는 상부 승모근(upper trapezius)의 기능으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이 표시하였다. 중력과 충분한 저항에서 능동적 정상 관절운동이 가능한 경우는 5점, 중력과 어느정도의 저항하에서 능동적 정상 관절운동이 가능한 경우는 4점, 중력을 이기고 능동적 정상 관절운동이 가능한 경우는 3점, 중력의 영향이 없는 상태에서 능동적 관절운동이 가능한 경우는 2점, 수축은 가능하나 능동적 관절운동이 불가능한 경우는 1점, 근육수축의 증거가 없는 경우에는 0점을 부여하였다. 전기진단학적 검사 전기진단 기기는 Nicolet Viking IV(Nicolet Biomedical사)를 이용하여 Fahrer의 전기진단학적 검사 방법에 따라9) 흉쇄유돌근 중간부의 후방 2 cm에서 자극강도(stimulation intensity) 40∼100 mA의 초최대치 자극을 하였으며, 기록전위는 민감도(sensitivity) 5 mV, 자극지속기간(duration) 0.1 msec, 여과(filter)를 2∼10 kHz로 하여 한 번 자극으로 상부, 중부 및 하부 승모근의 복합운동 활동전위를 동시에 기록하였다. 기록전극(recording electrode)의 활동전극(active electrode)은 표면전극(surface electrode)을 이용하며 상부 승모근에서는 제 7 경추 극돌기(spinous process)의 외측 5 cm 위치에, 중부 승모근에서는 견갑극(spine of scapula)의 중간부위와 같은 높이의 극돌기와의 중간 위치에, 하부 승모근에서는 견갑골 하극과 평행한 극돌기에서 2 cm 외측에 부착하였으며, 참고전극(reference electrode)은 제 3 흉추의 극돌기에 부착하였고, 접지전극(ground electrode)은 견봉(acromion)에 부착하였다. 복합근활동전위(compound motor action potential)에서 잠시는 최초의 음향 평향점(negative deflection)으로, 진폭은 정점과 정점 사이로 측정하였다. 또한 자발운동 활성전위(voluntary Motor Unit Action Potential, 이하 MUAP라 약함)의 간섭양상(interference pattern)을 percent (%)로 환산하여 파형이 oscilloscope 화면을 전부채우면 4점, 파형이 화면의 75%를 채우면 3점, 파형이 화면의 50%를 채우면 2점, 파형이 화면의 25%를 채우면 1점, 화면에 나타나지 않으면 0점을 부여하였다. 양측 경부청소술을 시행한 례에서는 수술전 시행한 전기진단검사 결과를, 편측 경부청소술을 시행한 례에서는 경부청소술을 시행하지 않은 반대측의 결과를 정상치로 하였다. 종합 임상점수의 평가 각 임상양상(견갑통, 견갑골의 외측편위, 견관절의 수동적 운동범위 및 승모근의 근력)을 등급으로 분류 후 합산하였다. 이때 총합산값은 16점이며 14점이상을 경도(mild)의 장애, 10점이상 14점미만을 중등도(moderate), 10점미만을 고도(severe)의 장애로 분류하였다. 통계 처리 SPSS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전기진단학적 검사의 결과(상부 승모근의 탈신경 양상과 최대수축시 자발운동 활성 전위의 간섭양상)와 임상 양상 및 검사결과를 un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다시 수술방법에 따라 ANOVA 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각 수술형태에 따른 종합임상점수의 비교 각 수술형태에 따른 개개인의 경도, 중등도 및 고도장애 비율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부곽청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변형적 경부청소술이나 선택적 경부 청소술의 비율에는 못미치나, 승모근기능장애가 경도인 경우가 2례(20%) 존재하였으며, 변형적 경부청소술이나 선택적 경부청소술을 시행하였음에도 승모근의 기능장애가 심한 경우가 변형적 경부청소술인 경우 3례(18%), 선택적 경부청소술을 시행한 경우 2례(15%)가 존재하였다(Table 2). 승모근의 각 부위로 가는 척수 부신경의 잠시 및 진폭의 정상치 각 례에서 수술전 시행한 전기진단검사 결과 및 경부청소술을 시행하지 않은 반대측의 전기진단검사 결과, 상부 승모근으로 가는 척수 부신경의 평균 잠시는 2.1±0.6 msec, 진폭은 6.5±2.3 mV, 중부 승모근으로 가는 척수 부신경의 평균 잠시는 3.2±0.4 msec, 진폭은 11.1±3.5 mV이며 하부 승모근으로 가는 척수부신경의 평균 잠시는 4.4±0.6 msec, 진폭은 4.0±1.8 mV이었다(Table 3). 척수 부신경손상과 임상 양상과의 관계 전기진단학적 검사상 척수 부신경의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와 정상인 환자에 있어서의 통증의 정도, 견갑골의 외측 편위, 견관절의 운동역 및 근력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동통에 있어서는 척수 부신경이 손상된 경우 2.19, 정상인 경우 2.31로 두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p=0.070), 견갑골의 외측 편위에 있어서는 손상군은 2.80, 정상군은 3.81로 유의한 차이(p=0.004)가 있었다. 견관절의 수동적 외전 운동의 영역의 수치도 손상군 3.00, 정상군 3.75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p=0.048)가 있었으며, 도수근력검사의 경우도 손상군 2.42, 정상군 4.25로 두 군간에 차이가 의미있게(p=0.020) 나타났다(Table 4). 수술형태에 따른 전기진단학적 검사 소견의 양상 운동신경 전도검사상 복합근 활동전위가 유발되지 않고, 자발운동(spontaneous movement)때 운동전위 활동전위가 보이지 않아 승모근의 완전 탈신경이 의심되는 경우는 경부곽청술을 시행한 환자 중 2례(20%)에서만 나타났다. 반면에 운동신경 전도검사상 진폭이 작고 잠시가 지연되어 있거나 침근전도검사상 안정상태에서는 비정상 자발전위가 나타나고 자발운동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운동단위 활동전위가 나타나 승모근의 불완전 탈신경이 의심되는 경우는 경부곽청술에서 8례(80%), 변형적 경부청소술에서 7례(44%), 보존적 경부청소술에서 6례(46%)로 척수 부신경을 희생시키는 경부곽청술을 시행한 경우에 있어서도 승모근의 탈신경화 현상이 불완전하게 일어나는 례가 적지 않게 발견되었으며 또한 척수 부신경을 보존하는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서도 13례(45%)에서 불완전 탈신경화 현상이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Table 5). 또한 각 수술 형태에 따른 최대 수축시의 운동단위 활동전위의 간섭양상을 수치로 환산한 경우, 경부곽청술 후에 있어서는 1.57±1.36, 변형적 경부청소술 후 2.93±1.12, 그리고 보존적 경부청소술 후 3.23±1.09로 경부곽청술을 시행한 군에서 척수 부신경을 보존하는 경부청소술을 시행한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최대 수축시의 간섭양상이 저하된 소견을 보였고(p=0.013) 변형적 경부청소술과 보존적 경부 청소술 사이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758)(Table 6). 고찰 Crile 등1)에 의하여 두경부암의 수술적 치료에 처음으로 경부곽청술(radical neck dissection)이 시행된 이래 척수 부신경의 희생에 따른 승모근의 탈신경으로 여러가지 술 후 후유증이 보고되었는데 이를 Nahum 등 2)이 경부곽청술을 시행한 7명의 환자의 술 후 증상 및 증후를 조사하고 1) 견갑관절의 통증, 2) 견갑외전의 제한, 3) 수동적 운동영역 제한, 4) 해부학적 변형 등을 제시하며 이를 통합하여 “견갑 증후군(Shoulder syndrome)” 이라 명명하였다. 위와 같은 증상은 술후 취업 등의 사회복귀에 큰 불편을 갖게 하였기에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보존적 경부청소술의 술식이 개발되었다. Bocca 등3)은 술후 견갑기능의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척수 부신경(spinal accessory nerve)을 보존하는 변형적 경부청소술(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을 시행하였고, 최근들어 예방적 경부청소술에는 경부림프절 전이의 선택적 부위만 선별해서 제거하는 선택적 경부청소술(selective neck dissection)이 보편화되고 있다. 다른 저자들은 경부곽청술로 척수 부신경을 제거 후 자가신경(autologous nerve), 예를 들어 비복신경(sural nerve) 등으로 이식하는 수술을 시도하였고10), Weisberger 등11)은 경부곽청술 후 자가신경이식술을 시행한 9명, 변형적 경부청소술을 시행한 10명 및 경부곽청술을 시행하고 신경이식을 하지 않은 6명의 환자의 견갑기능을 주관적 또는 객관적 근력 검사로 비교한 결과 변형적 경부청소술, 자가신경대치술, 경부곽청술의 순으로 견갑기능의 저하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견갑기능의 임상양상은 견갑부의 통증, 견갑골의 외측편위, 견관절의 수동적 외전운동 영역, 승모근의 도수근력평가 등을 이용하여 견갑의 기능을 평가하였으며, 이는 여러 저자에 의하여도 사용된 방법들이다12). 한편 척수부신경의 전기진단학적 검사는 Cherington 방법13), Fahrer방법9) 및 Krogness 방법14)이 있는데 이중 본 연구에서는 Fahrer 방법을 사용하였다. Sobol 등15)은 변형적 경부청소술을 시행한 환자의 임상증상과 전기진단 검사소견이 일치하지 않음을 지적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임상양상 및 이학적 검사소견과 전기진단학적 검사의 결과가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Leipzig 등4)은 변형적 경부청소술을 시행한 28명 중 14명에서 승모근(trapezius muscle)에 분포하는 척수 부신경을 보존하였음에도 견갑의 기능 장애가 심한 경우가 있었으며, 또한 일부의 경부곽청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척수 부신경의 희생에도 승모근의 기능 장애는 미미함을 보인 례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경부곽청술을 시행한 경우라도 견갑의 기능장애가 미약한 경우(20%)가 일부 존재하였으며, 변형적 경부청소술을 시행하였어도 견갑의 기능장애가 심한 경우(17%)가 존재하였다. 또한 척수 부신경을 보존하는 수술을 시행하였음에도 임상적 견갑의 기능은 개인별로 상이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척수 부신경의 보존시에 여러 다른 요인에 의하여 견갑기능이 장애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요인들로는 첫째, 술중 신경의 견인, 광범위한 박리로 인한 혈류차단 및 지혈목적으로 시행되는 전기소작 등에 의하여 척수 부신경에 손상을 받을 수 있으며5) 둘째, 유착성 피낭염(adhesive capsulitis)에 의한 상완골의 회전의 장애가 한 요인으로, 척수 부신경에 의한 증상과 유착성 피낭염에 의한 증상을 분류하여 시간별 증상의 변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시간이 지나면서 척수 부신경에 의한 증상은 줄어들고 유착성 피낭염에 의한 증상은 심해진다고 하였다.6) 본 연구에서도 척수 부신경을 보존하는 수술을 시행한 환자의 45%에서 탈신경의 증거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수술 중에 상기 여러 요인에 의하여 척수 부신경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한편 척수 부신경을 희생시키는 경부곽청술을 시행한 일부에서 견갑의 기능이 어느 정도 보존되는 이유는 승모근의 신경분포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승모근의 신경분포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 중 Krause 등7)은 47구의 시신에서 승모근, 흉쇄유돌근의 척수 부신경, 경추신경의 신경학적 분포를 조사한 결과 승모근에는 척수 부신경 외에 다른 근막하 경추신경(subfascial cervical plexus)이 승모근의 하단부에 분포한다고 하였다. 또한 Brodal 등16)은 상부 및 중부 승모근에는 척수 부신경이 분포하며 하부 승모근은 제 3, 4경추신경이 분포하고 있다고 하였고, Soo 등17)도 역시 승모근에 분포하는 신경의 해부학적 연구에서 척수 부신경뿐만 아니라 제 3, 4경추신경도 하부 승모근에 분포한다고 하였으며, 또한 제 1 및 제 2 흉추신경의 분포도 언급하고 있으나, 운동신경인지의 여부는 알려진 바 없다고 하였고, Anderson 등10)은 제 3 및 제 4 경추신경은 순수한 고유감각신경이라 하여 승모근에 경추신경이 운동신경으로 작용하는 지에 대한 것은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많다. Soo 등18)은 14명의 환자에서 변형적 경부청소술을 시행하며 술중 직시하에서 척수 부신경 및 제 3 경추신경을 자극하여 전기진단 검사를 시행한 결과 승모근의 주된 운동신경은 척수 부신경이며, 경추신경도 대부분 분포하나 변이가 많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중 척수 부신경을 절제한 환자에게 있어서 20%는 완전 신경손상의 증거를 보였으나, 80%에서는 최대 수축시 운동단위 활동전위가 나타나 불완전 신경손상의 증거를 보였다. 즉 경부곽청술을 시행하여 척수 부신경이 제거된 환자의 80%에서 승모근에 척수 부신경 이외의 운동신경이 분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Soo등18)과 일치하는 소견을 보이고 있다. 견갑 증후군은 척수 부신경을 보존한 경우에도 절제한 경우보다 미미하기는 하나 나타나며, 이같은 증상은 수술 중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척수 부신경이 손상된 환자에 있어서 더욱 심하였으므로, 이러한 원인 및 그의 예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또한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여러 재활 치료방법들이 병행되어야 한다. Gluckman 등19)은 관절운동의 제한, 승모근의 마비로 인한 견갑골의 불안정 및 능형근(rhomboid muscle) 및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muscle)의 신전에 의하여 통증이 유발되며, 또한 견갑상완골관절(scapulohumeral joint)의 관절주위염이 다른 요인으로 작용함을 보고하고, 이러한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술 후 물리 치료의 중요성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경부청소술 후 견갑의 물리치료에 의하여 증상의 호전을 보인다 하였다.12) 이러한 물리치료의 이론적 근거는 상부 승모근의 기능 향상뿐만 아니라, 견갑거근, 능형근 및 전거상근(serratus anterior muscle)의 기능을 강화시켜, 견갑골을 안정화하여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있다.12) 한편, Bigliani 등 20)은 승모근 위축을 동반한 환자를 대상으로 10명의 환자에서 견갑거근 및 능형근을 견갑골의 외측으로 전이 시키는 수술을 시행한 결과, 6명의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 평가와 전기진단검사의 결과 사이에 유의한 연관관계가 있었으며 척수 부신경 희생에 따른 탈신경 소견이 가장 심했던 술식은 경부곽청술이었다. 그러나, 경부곽청술을 시행한 환자에 있어서도 승모근의 근력이 미미한 변화를 보이는 경우도 있고, 또한 대부분의 환자에서 전기진단학적 검사상 근단위 활동전위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술중 전기진단검사나 사체검사 등을 통한 승모근의 신경분포에 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요구된다. 결론 두경부암종에서 경부청소술을 시행한 39례를 대상으로 경부청소술의 각 수술 방법에 따른 술 후의 임상 양상과 전기진단학적 검사소견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승모근 장애의 임상적 평가 방법이 전기진단적 검사 결과와 상호 유의한 연관관계를 보여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둘째, 경부곽청술을 시행한 경우보다 변형적 또는 보존적 경부청소술을 시행하여 척수 부신경을 보존한 경우에 술 후의 견갑 기능장애가 적었으며 전기진단학적 검사상 척수 부신경의 손상이 없는 환자에서 술 후의 견갑부 기능장애가 적었다. 세째, 경부곽청술을 시행한 환자 10례중 8례에서(80%) 승모근의 근단위활동전위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척수 부신경 이외에 승모근의 운동기능을 담당하는 다른 신경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된다. 네째, 변형적 또는 보존적 경부청소술을 시행한 환자의 45%에서 승모근에 분포하는 운동신경의 일부 손상이 나타나 이의 원인 및 예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앞으로 경부청소술 후의 승모근 기능과 척수 부신경 역할에 대한 더 많은 이해를 위하여서는 지속적인 환자들의 추적관찰 및 술중 척수 부신경에 대한 전기진단학적 검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Crile GW. Excision of cancer of the head and neck, JAMA 1906;47:1780-6. 2) Nahum AM, Mullally W, Marmor L. A syndrome resulting from radical neck dissection. Arch Otolaryngol 1961;74:424-8. 3) Bocca E, Pignatarro O. A conservation in radical neck dissection. Ann Otol Rhinol Laryngol 1967;76:975-9. 4) Leipzig B, Suen JY, English JL, Barnes J, Hooper M. Functional evaluation of the spinal accessory nerve after neck dissection. Am J Surg 1983;146:526-30. 5) Green RF, Brian M. Accessory nerve latency to the middle and lower trapezius. Arch Phys Med Rehabil 1985;66:23-6. 6) Patten C, Hillel AD. The 11th Nerve Syndrome: Accessory nerve palsy or Adhesive capsuliti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3;119:215-20. 7) Krause HR, Bremerich A, Herrmann M. The innervation of the trapezius muscle in connection with radical neck dissection: anatomical study. J Craniomaxillofac Surg 1991;19:87-9. 8) Soo KC, Guiloff RJ, Oh A. The innervation of the trapezius muscle: a study in patients undergoing neck dissections. Head Neck 1990;12:488-95. 9) Fahrer H, Ludin HP, Mumenthaler M, Neiger M. The innervation of the trapezius muscle: an electrophysiological study. J Neurol 1974;207:183-8. 10) Anderson R, Flowers RS. Free grafts of the spinal accessory during radical neck dissection. Am J Surg 1969;118:769-79. 11) Weisberger EC, Lingeman RE. Cable grafting of the spinal accessory nerve for rehabilitation of shoulder function after radical neck dissection. Laryngoscope 1987;97:915-8. 12) Fialka V, Vinzenz K. Investigation into shoulder function after radical neck dissection. J Craniomaxillofac Surg 1988;16:143-7. 13) Cherington M. Accessory nerve conduction studies. Arch Neurol 1968;18:708-9. 14) Krogness K. Serial conduction studies of the spinal accessory nerve used as a prognostic tool in a lesion caused by lymph node biopsy. Acta Chir Scand 1974;140:7-11. 15) Sobol S, Jensen C, Sawyer W II, Costiloe P, Thong N. Objective comparison of physical dysfunction after neck dissection. Am J Surg 1985;150:503-9. 16) Brodal A. Neurological anatomy in relation to clinical medicine. 2nd Ed.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1981:457-9. 17) Soo KC, Hamlyn PJ, Peggington J, Westbury G. Anatomy of the accessory nerve and its cervical contributions in the neck. Head Neck Surg 1986;9:111-5. 18) Soo KC, Strong EW, Spiro RH, Shah JP, Nori S, Green R. Innervation of the trapezius muscle by the intra-operative measurement of motor action potentials. Head Neck 1993;15:216-21. 19) Gluckman JL, Myer CM, Aseff JN, Donegan JO. Rehabilitation following radical neck dissection. Laryngoscope 1983;93:1083-5. 20) Bigliani LU, Perez-Sanz JR, Wolfe IN. Treatment of trapezius paralysis. J Bone Joint Surg 1985;67A:871-7.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