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8;41(5): 590-594. |
Radiological Measurements of the Paranasal Sinuses Using Ostiomeatal Unit CT in Children. |
Sung Won Chae, Geon Choi, Heung Man Lee, Joon Hwan Oh, Sang Hak Lee, Sang Hoon Shin |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
Ostiomeatal Unit CT를 이용한 유소아 부비동의 방사선학적 계측 |
채성원 · 최 건 · 이흥만 · 오준환 · 이상학 · 신상훈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
|
|
|
주제어:
OMU CTㆍ소아ㆍ사골동ㆍ접형동. |
ABSTRACT |
BACKGROUND AND OBJECTIVES: As the endoscopic sinus surgery continues to gain popularity, the application of endoscopic sinus surgery has extended to children. The knowledge about the variation of the paranasal sinuses in children is essential to perform sinus operations without complication.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paranasal sinuse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we have measured the cribriform plate, the ethmoid roof (lateral lamella of the lamina cribrosa), the width of the anterior ethmoid sinus and the position of the sphenoid sinus.
MATERIAL AND METHODS: Ostiomeatal unit CT scans of the paranasal sinuses obtained in consecutively imaged cases were analysed. The subjects were 58 children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had 22 children from ages 4 to 10 and the second group had children from ages 11 to 16.
RESULTS: The length of the lateral lamella was 4.5+/-1.6 mm (group 1) and 5.4+/-2.9 mm (group 2). The depth of the lateral lamella was 4.1+/-1.4 mm (group 1) and 5.3+/-2.2 mm (group 2). The width of the cribriform plate was 2.5+/-0.9 mm for Group 1 and 2.8+/-0.9 mm for Group 2. The width of upper portion in the anterior ethmoid sinus was 7.9+/-2.1 mm for Group 1 and 9.2+/-2.9 mm for Group 2. The width of lower portion in the anterior ethmoid sinus was 9.7+/-2.2 mm for Group 1 and 13.5+/-3.1 mm for Group 2. The front of the sphenoid sinus was 45.9+/-6.6 mm from the anterior nasal spine for Group 1 and 50.9+/-7.1 mm for Group 2.
CONCLUSION: Since the length and depth of the lateral lamella in children were greater than the reported lengths in the ad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lateral lamella in children is more prone to danger than in adults.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 nasal spine and anterior face of the sphenoid sinus in children was 5 to 10 mm shorter than in the adults. |
Keywords:
OMU CTㆍChildrenㆍEthmoid sinusㆍSphenoid sinus |
서론
비강 및 부비동 질환의 수술적 치료로서 내시경하 부비동 수술이 보편화 되어 있으며, 내시경하 부비동 수술의 적응 대상이 성인으로부터 유소아까지 영역이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ostiomeatal unit CT(이하 OMU CT라 함)는 내시경하 부비동 수술이 시행된 이후 보편화된 검사 방법으로서 부비동 및 비강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유소아의 부비동은 출생후 성장기 동안 변화하므로 내시경하 부비동 수술시 성장기 해부학적 변화로 각 개인에 따라 해부학적 변화와 차이가 많아 수술에 어려움이 있다. 성장기 동안의 부비동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지식을 통하여 내시경하 부비동 수술의 합병증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내시경하 부비동 수술 중에 발생 가능한 합병증 중 두개강으로의 천공은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천공이 쉽게 일어나는 부위로는 전사골 혈관(anterior ethmoid vessel)이 지나는 부위와 접형동 전연의 사골동 천정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소아에 있어 사골동 천정과 사상판 사이의 깊이가 성인에 비하여 깊은 것을 흔히 접하게 된다. 또한 전비극으로부터 접형동 전연 중앙부까지의 거리는 성인에 있어 비강저와 이루는 각도가 30°이며 그 길이는 평균 7 cm로 알려져 있으나,1) 성장기 유소아의 접형동 위치를 확인함에 있어 비강저로 부터의 각도와 전비극으로 부터의 거리가 성인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유소아 환자에서 촬영한 OMU CT를 대상으로 사골동 천정 구조를 계측하고 접형동의 위치를 확인하여 보고되어 있는 정상 성인의 평균치와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성장에 따른 사골동 부비동의 상대적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1996년 1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에서 OMU CT를 시행한 유소아 5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두부 및 안면부의 외상 혹은 기형이 있는 경우는 검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검사 대상 전례는 사골동의 점막의 이상이 있었다.
발달기의 부비동 계측을 위하여 유소아 군은 소아과 진료 대상인 16세 이하의 환자로 정하였다. 10세 이하인 경우가 22례, 10세 초과 16세 이하인 경우가 36례였다. 검사 대상으로는 남자가 34명, 여자가 24명이었으며 총 116례의 사골동을 검사 하였고, 58례의 접형동을 검사하였다. 검사 대상의 평균 연령은 11.00±3.52세였다.
방법
전례에서 OMU CT를 시행하였으며, 전두동 전연부터 접형동 후연까지 3 mm 간격으로 관상면 영상(coronal section)을 얻었고, OMU 부위는 2 mm 간격으로 촬영하였다.
사골동 천정구조의 계측은 전사골 혈관이 출현하는 부위를 선정하였다. 또한 동일 관상면 영상에서 상부와 하부에 있어 전사골동의 폭을 확인하기 위하여 두개저와 상악동 막양부(fontanelle of maxillary sinus) 위치에서 전사골동의 폭을 계측하였다. 접형동에 대한 측정은 OMU CT의 기준을 설정하는 시상면 영상(sagittal section)에서 계측하였다.
사골동 천정구조의 계측
사상판 외측기판의 길이
단층촬영법의 관상면 영상에서 외측기판이 사판(cribriform plate)과 사골동 천정이 만나는 점의 거리를 측정하였다(Fig. 1).
사상판 외측기판의 깊이
단층촬영법의 관상면 영상에서 양측 사판을 연장한 수평선과 외측기판이 사골동 천정과 만나는 점에서 수평선을 그어 두 직선 사이의 최단 거리를 측정하였다(Fig. 2).
사판의 폭
단층촬영법의 관상면 영상에서 계관(cristal galli)의 기시부로부터 기판의 기시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다(Fig. 3).
전사골동 폭의 계측
단층촬영법의 관상면 영상에서 전사골동의 상부 폭은 두개저 위치에서 중비갑개와 지양판 사이의 거리로 하였으며, 하부의 폭은 상악동 막양부 상부 위치에서 중비갑개와 지양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다(Fig. 4).
접형동의 계측
단층촬영법의 시상면 영상에서 전비극과 접형동 전연의 중앙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비강저를 기준으로 전비극과 접형동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치는 CT상의 계측치를 확대율로 고려하여 실제 수치로 정산하였으며, 10세 이하 군과 10세 초과 16세 이하 군(이하 16세 이하 군이라 함)으로 분류하여 성장기에 따른 발육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통계학적 처리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95%로 정하였다.
결과
사골동 천정구조의 계측
사상판 외측기판의 길이
사상판 외측기판의 길이의 실제 계측치는 10세 이하 군의 경우 4.5±1.6 mm이었으며, 16세 이하 군의 경우 5.4±2.9 mm이었으며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6).
사상판 외측기판의 깊이
사상판 외측기판의 깊이는 10세 이하 군의 경우 4.1±1.4 mm이며, 16세 이하 군의 경우 5.3±2.2 mm이었다(p=0.001).
사판의 폭
사판의 폭은 10세 이하 군의 경우 2.5±0.9 mm이며, 16세 이하 군의 경우 2.8±0.9 mm이었다(p=0.111).
사골동 천정구조 계측에 있어 각 군의 남, 녀 및 좌, 우측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전사골동의 폭
전사골동 상부의 폭은 10세 이하 군이 7.9±2.1 mm이며, 16세 이하 군이 9.2±2.9 mm이었다(p=0.010). 하부의 폭은 10세 이하 군이 9.7±2.2 mm이며, 16세 이하 군이 13.5±3.1 mm이었다(p=0.001).
전사골동의 폭 계측에 있어 각 군의 남, 녀 및 좌, 우측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하부 사골동의 폭을 상부 사골동의 폭으로 나눈 값은 10세 이하 군이 1.22이며 16세 이하 군이 1.46으로 나이가 적을수록 상부와 하부의 사골동의 폭 차이가 작았다.
접형동의 계측
전비극으로부터 접형동 전연까지의 거리는 10세 이하 군의 경우 45.9±6.6 mm이며, 16세 이하 군의 경우 50.9±7.1 mm이었으며(p=0.010), 비강저와 접형동 전연 사이의 각도는 10세 이하 군의 경우 31.3±6.5이며, 16세 이하 군의 경우 35.0±5.9이었다(p=0.033). 접형동 전연과 후연 사이의 거리는 접형동 함기화에 따른 변화가 많아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고찰
사골동은 안와의 내벽과 비강 상부 측벽 사이에 위치하며 중비도에서 발생하는 전사골 봉소를 중심으로 하며 상비도 측벽에서 발생하는 후사골봉소로 부터 형성되기 시작한다. 사골동은 출생시부터 잘 발달되어 있으며 출생후 2년 동안 주위골의 변연부까지 함기화가 형성되어 사골동의 최종 형태는 대개 12∼14세 사이에 형성이 완성되며 이후 안면골의 발달에 따라 크기가 약간 증가한다고 한다.2)
사상판의 외측 기판(lateral lamella of the lamina cribrosa)는 후각와(olfactory fossa)의 외측 경계이며, 사상판의 밑바닥을 이룬다. 사골동 천정을 형성하는 전두골의 평균 두께는 0.5 mm이고 외측 기판의 두께는 0.2 mm이며 특히 전사골 혈관이 지나는 곳인 ethmoid sulcus 부위는 전사골 혈관에 의한 함몰로 더욱 얇아져 0.05 mm로 보고되어 있다.3) 사골동 수술시 전사골 혈관 부위 주변을 처치할 때 혹은 수술 기구를 내측으로 회전 시킬 때 사상판의 외측기판의 손상이 쉽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Lang5)은 성인에 있어 외측 기판의 길이가 4.79 mm이며, 깊이는 3.18 mm로 보고하였으나 한국 성인에 대한 Kim 등6)의 보고에 따르면 외측 기판은 길이가 3.1 mm, 깊이는 1.8 mm로 동양인에 있어 서양인에 비하여 작다고 하였다. 10세 이하 군의 외측 기판의 길이는 4.5 mm이고 깊이는 2.1 mm이며, 16세 이하 군에서는 길이가 5.4 mm, 깊이가 3.3 mm로 성인에 대한 Kim 등6)의 결과 보다 길게 측정 되었다. 유소아의 외측 기판은 성인에 비하여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ros7)는 후각와의 형태에 따라 사판이 사골동 천정보다 1∼3 mm 낮은 type I, 4∼7 mm 낮은 type II, 8 mm 이상 낮은 type III 로 나누어 3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 대상인 유소아의 경우 type III는 없었으며, type II가 54례 중 34례로 전체의 62.9%를 차지하였다. 성인의 후각와에 대한 Min 등 8)의 보고에 의하면 type I이 15%, type II가 80%로 type II가 제일 많았다. 후각와의 형태가 유소아도 성인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나 전체 사골동의 크기가 작은 것을 고려하면 성인에 비하여 후와각의 형태가 수술에 불편한 구조를 갖고 있었다. 사판의 폭이 10세 이하 군의 경우 2.5±0.9 mm이며, 16세 이하 군의 경우 2.8±0.9 mm로 성인에 대한 보고6) 보다 평균 2 mm 작았다. 성인의 사상판의 외측기판의 계측 결과상 좌, 우 사골동에 있어 의미있는 차이를 보고하고 있으나,6) 유소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성별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내시경하 부비동 수술시 전사골동 상부의 경계는 내측으로 두개저, 외측으로 안구로 이루어져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부위이다. 두개저 직하부 위치에서 중비갑개와 지양판 사이의 거리로 측정한 전사골동 상부의 폭은 10세 이하 군의 경우 7.9±2.1 mm이고, 16세 이하 군의 경우 9.2±2.9 mm로 사골동의 성장에 따라 상부 사골동의 폭이 증가하나 소아용 사골동 수술 감자의 좌, 우 폭이 약 5 mm인 것을 고려하면 사골동 수술 감자를 상부 사골동 위치에서 좌, 우 회전 시키는 조작은 지양판 및 두개저의 손상을 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수술시 사용하는 사골동 수술 감자의 폭을 기준으로 삼아 사골동의 폭을 예측하면 사골기판 부위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상악동 상부 막양부에서 중비갑개까지의 거리로 정한 전사골동 하부의 폭은 10세 이하 군이 평균 9.7±2.2 mm이었고, 16세 이하 군의 경우 평균13.5±3.1 mm이었다. 상악동 막양부의 자연 개구부를 확장 시키기 위한 조작을 시행할 때 사골동 수술 감자의 회전이 지양판의 손상을 가하지 않을 정도의 여유가 있으나, up-ward 사골동 수술 감자를 사용할 시에는 회전 반경이 커져 이에 대한 주의가 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 성인의 경우 접형동의 전연 중앙부는 전비극에서 비강저와의 각도가 32±3에 위치하며, 전비극으로부터 53±4 mm에 있다고 보고 되어있다.9) 10세 이하 군은 각도상 31.3±1.6°이며, 거리가 45.9±6.6 mm이었다. 16세 이하 군은 각도상 35.0±5.9°이고, 거리는 50.9±7.1 mm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유소아의 경우 전비극과 비강저를 연결한 선과 접형동 전연과의 각도는 성인과 차이가 없었으나, 전비극으로부터 접형동 전연까지의 길이는 한국 성인의 평균치 보고 6) 53 mm 보다 5∼10 mm 정도 짧았다.
성장 과정에 있는 유소아의 부비동은 형성 과정에 있으므로 성인과 다르며 내시경하 부비동 수술전 OMU CT를 통하여 해부학적 차이를 세심히 관찰하면 내시경적 비내수술을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유소아의 사상판 외측기판은 길이와 깊이가 성인 보다 컸으며, 사판의 폭은 성인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후각와 형태는 type II형이 많아 성인과 차이가 없었다. 상부 사골동의 폭이 성인에 비하여 작아 사골동 수술 감자의 회전시 지양판 및 두개저의 손상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접형동의 전연 중앙부가 전비극에서 비강저와 이루는 각도는 성인과 차이가 없었으나, 전비극과의 거리는 5∼10 mm 정도 짧아 접형동 확인할 때에 전비극으로 부터의 거리와 주위 구조물과의 상관관계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Stankiewicz JA. Complications of endoscopic sinus surgery. Otolaryngol Clin North Am 1989;22:749-58.
2) Moss-Saletijin L. Anatomy and embryology. In: Blizter A, Lawson W, Friedman W, editors. Surgery of the paranasal sinuses. 2nd ed. Philadelphia: WB Saunders;1991. p.17-8.
3) Kainz J, Stammberger H. The roof of the anterior ethmoid: A place of lease resistance in the skull base. Am J Rhinol 1990;4:7-12.
4) Stammberger H. Special endoscopic anatomy of the lateral nasal wall and ethmoid sinuses. In: Stammberger H, editor. Functional endoscope sinus surgery. 1st ed. Philadelphia: Mosby;1991. p.49-88.
5) Lang J. Paranasal sinuses. In: Lang J, editor. Clinical anatomy of the nos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New York: Theime;1989. p.56-98.
6) Kim IT, Kang ST, Lim SK, Kim YM, Park YM, Lim HJ. Dimension of lateral lamella of lamina cribrosa in ostiomeatal unit CT. Korean J Clinical Otolaryngol 1993;36:926-31.
7) Keros P. Uber die praktische bedeutung der niveauunterschiede der lamina cribrosa des ethmoids. Z Laryngol Rhinol Otol Ihre Crenzgeb. 1982;41:808-13 (cited in Stammberger, 1991)
8) Min YG, Yang KH. A radiological study of the paranasal sinuses in normal Korean adults Korean J Clinical Otolaryngol. 1990;33:84-92.
9) Koo HY, Ko KI, Ban SS, Ko KS, Park HW, Ko KR. Anatomical measurements of the paranasal sinuses using PNS CT. Korean J Clinical Otolaryngol 1993;36:966-71.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