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0(9); 199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7;40(9): 1352-1356.
A Case of Verrucous Carcinoma of Maxillary Sinus.
Woo Chong Lee, Kang Dae Lee, Jae Hwan Jekal, Tai Hyun Yu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Kosin Medical College, Pusan, Korea.
상악동에 발생한 우상암종 1례
이우종 · 이강대 · 제갈재환 · 유태현
고신대학교 의학부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Verrucous carcinoma is a rare varia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that is more often seen in the oral cavity and larynx, but extremely rare in the paranasal sinus. In establishing the diagnosis, close cooperation is required between the clinician and pathologist, since the lesion appears obviously malignant on clinical examination but on pathologic study it may be reported as hyperplastic or papillomatous or as hyperkeratotic benign squamous epithelium. Verrucous carcinoma should be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because there is evidence to suggest that the lesion may become more aggressive after radiotherapy and surgery gives better survival rates than radiotherapy. We experienced a case in which the patient presented with a history of right nasal obstruction and intermittent facial pain for about 4 months and was ultimately diagnosed as having verrucous carcinoma of maxillary sinus. Caldwell-Luc's operation was performed.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eywords: Verrucous carcinomaMaxillary sinus
서론 우상암종은 1941년 Friedell과 Rosenthal이 유두성 우상 양상의 구강암종 8례를 보고한 이후1), 1948년 Ackerman이 처음으로 기술하였다.2) 이 종양은 편평상피세포암종의 한 변종으로서, 국소적으로 침윤하는 특성을 보이며, 원격전이가 드물고, 잘 분화된 암종이며 구강 및 후두에서는 종종 볼 수 있지만 상악동과 같은 부비동에서 발생한 경우는 아주 드물다. 현재 치료방법으로는 우상암종의 일부에서 방사선조사 후 역형성암종으로의 변이를 보이므로 수술적 제거가 추천된다. 저자들은 71세 남자에서 상악동에 발생한 우상암종 1례를 외과적 제거로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환자:박O준, 71세, 남자. 초진일:1995년 5월 12일. 주소:4개월간의 우측비폐색감 및 간헐적인 우측안면동통. 과거력 및 가족력:특이사항 없음. 현병력:1995년 1월경 우측 비폐색 및 간헐적인 우측 안면통증이 있었으나 특별한 치료 없이 지내다 개인의원에서의 약물치료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자 동년 5월 10일, 모병원으로 전원되어 촬영한 부비동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소견상 우측 상악동종물이 발견되어 본원 이비인후과 외래로 방문하였다. 이학적 검사:전신상태는 양호하였고 비내시경을 통한 우측비강내 소견상 측벽이 내측으로 팽융된 소견과 점막부종 및 약간의 점액성 비루 외에 특이소견은 없었다. 방사선 소견:부비동 CT 소견상 우측상악동내에 전체적으로 혼탁상 및 골미란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수술소견 및 경과:1995년 5월 12일 초진시 부비동 CT 소견상(Fig. 1A, B) 우측상악동암을 의심하여 우측하비도를 통한 상악동조직생검상 각질화 편평상피로 판명되었으며, 확진을 위하여 국소마취하에 Caldwell-Luc’s approach가 시행되었다. 술중 육안소견상 우측상악동내 종물은 마치 진주종처럼보였고 종양의 기시부위는 확인할 수 없었으며 상악동점막과의 유착소견을 보이고 있었다. 술중 시행한 동결조직생검상 악성종양세포는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상악동근치수술만 시행되었다. 그러나 술후 표본의 현미경소견상 우상암종으로 판명되었다. 술후 촬영한 부비동 CT소견상(Fig. 1C, D) 잔존하는 종물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재발이 느리다는 점, 국소적 침윤, 원격전이가 드물다는 점 및 재발시 조기발견의 가능성을 감안하여 더 이상의 광범위절제술은 시행되지 않았으며 술후 현재까지 약24개월간 추적관찰 중이며 특이한 소견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병리학적소견:종양은 현저한 각질화를 동반한 유두상증식을 보이는 잘 분화된 편평상피세포암종이었다(Fig. 2A). 상악동점막은 상피가 두드러지게 편평상피로 화생되어 있었으며 실질은 수많은 염증세포들, 특히 림프구 및 혈장세포들이 몇몇 호산구들과 함께 섞여 있었다. Frank세포성위축이 국소적으로 상피양 암종에서 보인다(Fig. 2B). 고찰 우상암종은 1948년 Ackerman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2), 국소적으로 침윤하는 특성을 보이며, 원격전이가 드문, 잘 분화된 편평상피세포암종으로 두경부에 있어서 우상암종은 구강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3) 후두, 비(鼻), 누관에서 언급된 바 있다.3)4)5) 그러나 상악동과 같은 부비동에서 발생한 경우는 아주 드물다. Ferlito와 Recher에 의하면 우상암종은 임상적으로는 고도의 악성종양의 양상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유사분열이 드물고 화생이 없는 형태학적으로 양성종양의 양상을 보일 수도 있다고 한다.6) 비(鼻)와 부비동의 악성종양은 전체 두경부종양들 중 단지 3%에 불과하며, 모든 악성종양들중에서는 1%미만이다.7) 그리고 부비동종양들 중 약55%가 상악동에서 발생한다. Ackerman이 우상암종을 기술한 이후2), 우상암종이 비강8)9)10), 전두동11) 및 상악동4)12)13)14)15)16)과 같은 비부비동에 발생한 예는 극히 드물다. 임상적으로 이 종양은 서서히 자라는 침윤성종양의 특성을 보이지만 침윤성 편평상피세포암의 일반적인 양상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소량 혹은 표재성 조직생검으로는 과각질화, 극세포증 그리고 현저한 양성유두종증소견만 보일 수도 있어 진단은 불가능할지도 모르며 단지 각질세포와 핵이 증가된 것이 악성임을 시사하는 소견일 수도 있다.17) Medina에 의하면 구강에 발생한 우상암종 중 약20%에서 우상암종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편평상피세포암종의 전형적인 병소가 함께 존재한다고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재발률이 아주 높다.18) 본 증례에 있어서는 첫 조직생검에서 거의 각질화소견만 보였으며 술후 얻은 다량의 조직으로 우상암종으로 확진할 수 있었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술자는 정확한 진단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상세한 병력뿐만 아니라 충분한 표본을 채취하거나 절제적 조직생검을 하는 등의 병리학자와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우상암종의 올바른 치료방법으로는 우선적으로 수술이 추천된다. 두경부의 대다수 편평상피세포암종에 있어서 방사선치료가 적응이 되지만 이 종양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경우 종종 공격적인 역형성암종(anaplastic carcinoma)으로 재발하므로 일반적으로 수술적 치료가 추천된다.6)19)20)21) 그리고 이 종양은 전이가 드물기 때문에 수술적치료를 시행할 경우 통상적으로 경부곽청술을 시행하지는 않는다.22) 그러나 역형성 변화에 관한 이들의 보고에도 불구하고, Schwade와 Burns 등은 방사선치료에 반응을 보였던 경우들을 보고하고 있기도 하다.5)23) 이전에 보고된 상악동에 발생한 증례들을 살펴보면, 1례는 술후 방사선치료를 받고 5년이상 생존하였으며4) Bacon 등13)이 보고했던 증례의 경우 편측상악절제술과 사골동절제술을, Daoud 등14)의 경우 상악동대근치수술(extended Caldwell-Luc’s operation)을, Agrawal 등12)의 증례의 경우 좌측 상악골전절제술을, Srinivasan 등16)의 경우 상악동근치수술후 상악부분절제술이 시행되었다. 본 증례의 경우, 상악동근치수술을 통해 상악동점막과 함께 종물의 완전적출이 이루어졌으며 재발이 느리다는 점, 국소적 침윤은 잘 하지만 원격전이가 드물다는 점 및 재발시 조기발견의 가능성을 감안하여 더 이상의 광범위절제술은 고려하지 않았다. 방사선치료는 역형성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과 저급악성종양인 점을 고려하여 시행하지 않았지만 재발시 선택되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현시점에서 상악동에 발생한 우상암종의 치료방법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두경부 중 다른 부위에 발생한 우상암종의 행태를 근거로 하여 치료의 원칙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Friedell HL, Rosenthal LM:The etiologic role of chewing tobacco in cancer of the mouth. JAMA. 1941;116:2130-2133 2) Ackerman L:Verrucous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Surgery. 1948;23:670-678 3) Maw AR, Cullen RJ, Bradfield JWB:Verrucous carcinoma of larynx. Clin Otolaryngol. 1982;7:305-311 4) Elliott GB, MacDougall JA, Elliott JDA:Problems of verrucous squamous carcinoma. Ann Surg. 1973;177:21-29 5) Schwade JG, Wara WM, Dedo HH, et al:Radiotherapy for verrucous carcinoma. Radiology. 1976;120:677-679 6) Ferlito A, Recher G:Ackerman’s tumor(verrucous carcinoma) of the larynx.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77 cases. Cancer. 1980;46:1617-1630 7) Cheesman AD:Non-healing granulomata and tumours of the nose and sinuses. In Diseases of the Ear, Nose and Throat(ed. Scott-Brown), 5th ed. London:Butterworth, 1987;299 8) Duncavage JA, Cambell BH, Kun LE, et al:Diagnosis of malignant lymphoma of nasal cavity, paranasal sinuses and nasopharynx. Laryngoscope. 1983;93:1276-1280 9) Hanna GS, Ali MH:Verrucous carcinoma of the nasal septum. J Laryngol Otol. 1987;101:184-187 10) Klaus FT, Perez-Mesa C:Verrucous carcinoma:Clinical and pathological study of 105 cases involving oral cavity, larynx and genitalia. Cancer. 1966;19:26-38 11) Newman AN, Colman M, Steven A:Verrucous carcinoma of the frontal sinus: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Surg Oncol. 1983;24:298-303 12) Agrawal R, Martin FW:Unusual presentation of verrucous carcinoma of maxillary antrum. J Otolaryngol. 1992;21:371-372 13) Bacon MP:Verrucous carcinoma of maxillary antrum. J Laryngol Otol. 1989;103(4):415-416 14) Daoud A, Lannigan FJ, McGlashan JA, et al:View from beneath:Pathology in focus Verrucous carcinoma of maxillary antrum. J Laryngol Otol. 1991;105:696-699 15) Indudharan R, Das PK, Thida T:Verrucous carcinoma of maxillary antrum. Singapore Med J. 1996;37(5):559-561 16) Srinivasan V, Davies HT, Judd PA:Verrucous carcinoma of maxillary antrum. Br J Oral Maxillofac Surg. 1996;34(1):132 17) Michaels L, Cooper J, Brewer CJ, Hyams VJ:Image analysis in histological diagnosis of verrucous squamous carcinoma of the larynx. J Pathol. 1984;143:329 18) Medina JE, Dichtel W, Luna MA:Verrucous squamous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104 cases. Arch Otolaryngol. 1984;110:437-440 19) Biller HF, Ogura JH, Baver WC:Verrucous cancer of the larynx. Laryngoscope. 1971;81:1323-1329 20) Perez CA, Klaus FT, Evans JC, et al:Anaplastic transformation in verrucous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after radiation therapy. Radiology. 1966;86:108-115 21) Ryan RE, Desanto LW, Devine KD, et al:Verrucous carcinoma of the larynx. Laryngoscope. 1977;87:1989-1994 22) Ferlito A:Diagnosis and treatment of verrucous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a critical review. Ann Otol Rhinol Laryngol. 1985;94:575-579 23) Burns HP, van Nostrand AWP, Bryce DP:Verrucous carcinoma of the larynx management by radiotherapy and surgery. Ann Otol Rhinol Laryngol. 1976;85:538-54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