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7;40(7): 1049-1051. |
A Case of Craniocervical Necrotizing Fasciitis. |
Sung Ho Kang, Jin Kook Kim, Dai June Lim, Seok Chan Hong |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n-Kuk University, Chungju, Korea. |
경부의 괴사성 근막염 치험 1례 |
강성호 · 김진국 · 임대준 · 홍석찬 |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
|
ABSTRACT |
Necrotizing fasciitis is a rapidly progressive invasive soft tissue infection that is rarely seen in craniocervical area.
In the majority of cases described in the medical literature, there has been an identifiable initiating event such as instrumentation or other trauma to the skin. Because of the rapid progression of the infection, the key to a successful outcome is early recognition and rapid initiation of definitive surgical management. A case is presented in which necrotizing fasciitis was seen in a craniocervical area with instrumentation especially dental extraction. |
Keywords:
Necrotizing fasciitisㆍDeep neck infection |
서론
두경부 영역에서의 괴사성 근막염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경부의 표재성 근건막계(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 및 천근막층을 침범하는 진행성의 중증의 세균성 감염이다. 이는 감염이 진행됨에 따라 심근막을 침범하게 된다. 균주로는 보통 Group A β-hemplytic streptococcus, Staphylococcus aureus와 혐기성 세균으로 알려져 있다.1)2)3) 주요 혈관과 종격동으로의 감염의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고, 조기 진단후 광범위한 변연절제술과 침범된 근막층의 적절한 배농술 및 광범위 항생제의 사용이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두경부를 침범하는 괴사성 근막염 환자에서 광범위한 변연 절제술과 배농술 및 피부 이식술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환자:곽O곤, 44세, 남자.
초진일:1996년 6월 14일.
주소:내원 7일전부터 시작된 경부 전면의 종창 발적 및 경부 강직.
과거력:20년전에 당뇨병 진단받은 후 현재 경구 혈당 강하제 복용중이나 혈당은 조절되지 않는 상태임. 이외는 특이 소견 없음.
현병력:내원 1개월전 좌측 하악 제 3 대구치 발치후 계속되는 인후통으로 간헐적인 약물 투여를 하였으나 증상 호전없이 악화되어 본원 내원함.
이학적 소견:경부 전면에 발적을 동반한 종창이 5×10cm 정도로 관찰되었고 심한 압통은 있었으나 압박시 염발음은 없었다(Fig. 1). 양측 폐의 청진상 이상음은 없었다.
검사 소견:혈액학 검사에서 백혈구가 좌측 편위된 17900/mm 3가 관찰 되었다. 공복시 혈당은 250∼350mg/dl로 조절되지 않은 상태였고 경부 전산화 단층 촬영상, 횡단면에서 기도를 우측으로 편위시키는 좌측 전방의 연조직 및 천근막층의 기포형성이 관찰되었음(Fig. 2).
치료 및 경과:괴사성 근막염으로 진단한 후 입원하여 2세대 cephalosporin과 ampicillin를 정주하였으며 insulin으로 혈당을 조절하였다. 입원 2일후 증상호전이 없어서 전산화 단층 촬영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부위에서 암갈색의 농이 나왔고 이를 균배양하였다. 술후 4일째 최초 창상부위에 괴사소견을 보여 다시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8일째 창상 범위는 7×5cm정도였다(Fig. 3). 균배양에서 β-hemolytic streptococcus가 검출되었고, 수술후 30일째 우측 견갑부를 공여부로 하는 피부이식을 실시하였다(Fig. 4). 환자는 현재 재발의 소견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고찰
괴사성 근막염은 경부 영역에서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주로 사지, 회음부, 체부에 자주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1) 성인에서 두경부 영역의 괴사성 근막염은 치주염이나 외상과 연관되어 있고 또한 당뇨병, 알콜중독증과 동맥경화증 등의 전신 결함 상태와도 연관이 있다고도 한다.6)
경부영역의 괴사성 근막염은 경부의 천근막층과 표재성 천근막계(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를 침범하는 진행성의 염증으로1)7)8) 최초 침범 부위는 표재성 천근막계이고 이는 경부에서는 광경근, 안면부에서는 전두근의 후면부로 연속되는 구조이다.5) 이곳을 처음 침범하는 이유는 잘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근막층의 무혈관성 때문일것이라고 추측된다.4) 괴사성 근막염의 합병증으로는 질식, 폐농양, 종격동염, 혈관 침범 등이 있다.3)
균주로는 β-hemolytic streptococcus가 가장 많고 Staphylococcus aureus도 중요한 원인균이며 최근에는 혐기성 세균에 의한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조기 진단이 치료에 가장 중요하므로 의사들은 초기 경부 감염에서 이 질환을 반드시 포함시킨 감별 진단을 해야 한다. 초기 증상은 경미한 압통, 종창 등이 있어 이는 봉와직염이나 단독등으로 오진될 수 있다. 연부 조직의 염발음도 생길 수 있고, 빈맥, 빈호흡, 기면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진단적인 방법으로는 전산화 단층 촬영이 좋으며, 병의 진행 범위와 기포의 생성 유무, 초기 감염 부위와 외과적 변연 절제술시 해부학적인 정보를 준다.4)
치료에 있어서는 조기 진단과 광범위 변연절제술이 중요하고 이후 창상의 소독과 고단위의 항생제 정맥 주사가 요구된다.
결론
저자들은 최근 당뇨병을 동반한 경부 영역에서의 괴사성 근막염 1예를 조기 진단과 광범위 변연 절제술을 시행, 치유하고 피부결손을 피부 이식술을 통해 치료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REFERENCES 1) Balcerak RJ, Sisto JM, Bosack RC:Cervicofacial necrotizing Fasciitis:Report of three cases and literature review. J Oral Maxillofac Surg. 1988;46:450-459
2) Goldwag DA, Purcell TB:Necrotizing Fasciitis in the pediatric age group:Report of a case. J Emerg Med. 1990;299-304
3) Henrich DE, Smith TL, Mukherjis, Drake AF:Pediatric craniocervical necrotizing Fasciitis. Ann Otol Rhinol Laryngol. 1996;105:72-74
4) Ledingham IM, Tehrani MA:Diagnosis, clinical course and treatment of acute demal gangrene. Br J Surg. 1972;162:364-369
5) Mitz V, Peyronie M:The superfical musculoaponeurotic system (SMAS) in parotid and cheek area. Plast Reconstr Surg. 1976;58:80-88
6) Overholt EM, Flint PW, Overholt EL, Murakami CS:Necrotizing Fasciitis of eyelid.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2;106:339-344
7) Wenig BL, Shikowitz MJ, Abramson AL:Necrotizing Fasciitis as a lethal complication of peritonsillar abscess. Laryngoscope. 1984;94:1576-1579
8) Williams SR, Carruth JAS, Brightwell AP:Necrotizing Fasciitis of the face without siginifcant trauma. Clin Otolaryngol. 1992;17:344-35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