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7;40(1): 86-90. |
Transepidermal Water Loss in Patients of Eczematous External Otitis. |
Young Min Park, Man Yk Kim, Ik Tae Kim, Young Min Kim, Kyung Hun Yang, Cheol Heon Lee |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2Department of Dermat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습진성 외이도염을 가진 환자에서 신체 각 부위의 경표피 수분 손실 |
박영민1 · 김만익1 · 김익태1 · 김영민1 · 양경헌1 · 이철헌2 |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피부과학교실2; |
|
|
|
ABSTRACT |
The difference of transepidermal water loss(TEWL) between normal persons and patients with eczematous external otitis was identified by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udy, 20 healthy volunteers without history of atopic dermatitis and 20 patients with eczematous external otitis were participate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t ear lobes and other various anatomical sites(proximal forearm, mid forearm, distal forearm, palm, upper back, lower back, leg(shin), leg(calf), and sole) by Tewameter TM 210(Courage;Rhazaka, Koln, Germany). Prior to the procedure, subjects stayed still for 30 minutes in the room where the temperature was controlled(18-23degreesC) with a relative humidity of 35-45%.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 TEWL values at ear lobe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eczematous external otitis than in normal persons(p<0.05).
2) TEWL values at other various anatomical sites except upper back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eczematous external otitis than in normal persons(p<0.05). |
Keywords:
Eczematous external otitisㆍTransepidermal water loss(TEWL) |
서론
경표피 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TEWL)이란 피부를 통해 수분의 손실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데 표피를 통한 수분의 손실은 땀(eccrine sweat)과 표피를 통한 수동적 확산(passive diffusion)으로 주위의 온도, 상대습도, 피부의 온도 및 각질층의 보전(integrity)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경표피 수분손실(TEWL)의 측정은 습진성 피부염의 진단 및 연구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기계를 통해 임상적으로 관찰할 수 없었던 미세(subclinical)한 피부의 변화까지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추적 검사 또한 가능하게 되었다.
습진성 피부염은 가장 흔한 피부 질환 중의 하나로 그 원인을 밝히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이비인후과에서 임상적으로 흔한 외이도의 습진성 피부염이 있는 환자들에서 수분이 국소원인 인자중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객관적으로 증명이 되지는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피부에서의 경표피 수분손실을 객관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원인인자로 수분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 질환에 감수성이 있는 사람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예방이 가능한가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아토피 피부염의 병력이 없으며 피부과 의사에 의해 육안으로 다른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다고 판정된 건강한 남녀 20명(남자 5명, 여자 15명, 연령 분포 19∼30세, 평균 연령 25.0±8.5)과 외이도에 습진성 피부염이 있는 남녀 20명(남자 5명, 여자 15명, 연령 분포 4∼50세, 평균연령 37.7±12.3)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방법은 환기가 되지 않는 밀폐된 공간에서 피검자는 검사부위를 노출시킨 다음 30분 정도 안정을 취하고, Tewameter TM 210(r) (Courage+Khazaka, Koln, Germany)의 probe 를 검사부위에 수직으로 올려놓은 후, 약간의 압력을 가해 밀착 시켜 30∼45초 동안 측정하였다. 검사 당시 실내온도는 18∼23℃ 이었고 습도는 35∼45% 이었다(Fig. 1, 2, 3).
TEWL의 측정은 환측의 ear lobe, 전박부를 3등분한 proximal forearm, mid forearm, distal forearm 그리고 palm, upper back, lower back, shin, calf, sole등을 측정하였고 손바닥과 발바닥은 중앙의 부위에서, calf와 shin은 각각의 가운데 부분에서 그리고 배부의 경우 2등분하고 난후 각각의 말단 부위에서 측정하였으며 통계 처리는 Student t-test를 시행하여 p<0.05 에서 유의하게 판정하였다.
결과
외이도에 습진성 피부염을 가진 환자군의 ear lobe에서의 TEWL치(우측:17.3±9.6, 좌측:22.5±16)는 정상인에서의 TEWL치(우측:11.9±2.6, 좌측:12.4±3.1)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높은 양상을 볼 수 있었다(Table 1).
또한 외이도에 습진성 피부염을 가진 환자 군에서 upper back을 제외한 다른 신체부위 즉 전박부를 3등분한 proximal forearm, mid forearm, distal forearm 그리고 palm, lower back, shin, calf, sole등을 측정하여 정상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높은 TEWL치를 보였다(Table 1).
고찰
습진성 외이도염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흔한 피부 질환 중의 하나로 외이도나 외이도 입구부에 발적을 일으키고 부종이 나타나며 소양감과 함께 수성 분비물이 나온 후 가피를 형성하는 병변으로 이는 지루성 피부염(seborrhagic dermatitis)이나 neomycin으로 인한 피부반응에 의한 피부염 등과 구별이 뚜렷하지 않으며 이 진균증(otomycosis)에서와 같이 병명이 남용되기도 한다.14) 또한 다양한 외인성 및 내인성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피부의 염증 반응 모두를 포함하며 그 원인은 밝히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으로 피부의 습진성 질환은 지루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자극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국소적인 원인 인자로서 온도와 습도가 중요시되며 감염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이차적으로 일어나는 문제로 알려져 있다.1)3)10)14)15) 이 질환은 육안으로 보이는 모양에 의해 진단되고 병변의 분포 상태 혹은 원인이 밝혀진 경우 그 원인이 되는 요인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습진성 반응의 많은 부분이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과 같은 면역학적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비특이적 요인들이 원발 요인과 함께 혹은 원발 요인을 대신하여 이차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10)14)
증상은 소양증이 임상적으로 대표적인 습진의 특징인데 그 정도는 다양하다.14) 조직학적 소견으로는 급성기에 상피세포 사이에 부종을 보이는 소위 해면화(spongiosis)가 일어나 조직학적 지표가 된다. 아울러 진피에는 염증 세포의 침윤이 있다. 만성기에는 상피에 극 세포증과 과 각화증이 나타나고 해면화 현상과 염증 세포 침윤은 감소한다. 급성과 만성 병변 사이의 이행 시기도 존재할 수 있다. 습진성 피부염의 조직학적 소견은 습진의 종류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조직학적 소견만으로는 감별이 힘들 때가 많다.
외이도의 습진성 피부염에 일반적 치료는 정확히 진단하고 원인별로 분류하여 각각에 독특한 치료를 하는것이 필요하지만 습진 모두에 거의 공통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치료법을 알아두는것이 실제적으로 대단히 중요하다. 외이도의 습진성 피부염을 치료할 때는 우선 외이도 주위의 습기를 최대한 제거하고 원인 물질을 회피하며 Burrow 용액(1:20) 등을 사용하고 이차적 세균성 감염이 있을 때는 항생제를 사용하기도 하며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나 로숀을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신적인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가 증상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할 때는 진정제를 사용하기도 한다.4)7)9)10)15)
이러한 외이도의 습진성 피부염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여러 원인 인자중 중요한 변수로 생각되어지는 피부의 수분배출 정도를 알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으며 피부를 통한 수분의 손실은 땀과 표피를 통한 수동적 확산으로 주위의 온도, 상대습도, 피부의 온도 및 각질층의 보전(integrity) 등에 의하여 결정되며 흔히 경표피 수분손실(TEWL)이라고 한다.2) 이러한 피부를 통한 수분의 배출정도는 각질층의 지방분포상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는 각질층의 지방이 수분에 대한 장벽(barrier)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방의 장벽기능의 장해가 있을 시에는 높은 TEWL 치를 보이게 된다.6)8)
경표피 수분손실을 측정하는 방법은 unventilated chamber(closed chamber), ventilated chamber, open chamber 등이 있으나 전자의 두 가지 방법은 피부 표면 주위의 미세 환경(microclimate)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현재는 open chamber method 만이 사용되고 있다. 피부를 둘러싸고 있는 10mm 두께의 경계층(boundary layer) 내에는 피부 표면과 주위 공기간에 수분 증기 기울기(water vapor gradient)가 존재하게 되는데 evaporimeter의 open chamber 내에 있는 감지기(sensor)가 이를 인지하여 TEWL치를 결정하게 된다.11)12) 즉 피부표면에서 배출되는 수분의 정도는 피부표면에서 10mm내의 미세환경을 조성하여 습도가 높은 곳에서 있는 것과 같은 조건을 형성하게된다.
이러한 TEWL의 측정은 근래 여러 실험실에서 접촉성 피부염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측정이 불가능한 미세한 수분에 대한 보호벽 기능(barrier function)의 변화와 자극성 및 알레르기성 첩포검사 반응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보조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13) 현재 TEWL을 측정하는 기계로는 Evaporimeter EP1(ServoMed, Stockholm, Sweden)과 Tewameter TM 210(r) (Courage+Rhazaka, K ln, Germany) 등이 있으며, 이들 기계를 이용하여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항상 피검자의 특성(host related factors), 주위환경(environmental factors), 기계의 특성 등 TEWL 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항상 고려하여야 한다. 피검자의 특성으로 연령, 성별, 인종, 피부 온도, 발한, 환자의 피부질환등이 있으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공기의 대류, 실내 온도, 실내 습도, 직사광선, 계절의 변화, 하루중의 변화(diurnal variation)등이 이에 속한다.5)11)13)16)17)18)19)
본 연구에서는 검사의 간편성 등을 고려하여 Tewameter TM 21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EWL의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로는 주위의 온도, 상대습도, 발한, 공기의 대류 등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실내 온도 18℃와 23℃사이에서 30분 정도 미리 휴식을 취함으로서 발한 을 예방하였으며 계절적으로는 가을인 9월과 10월에 측정하였고 공기의 대류를 예방하기 위하여 밀폐된 공간에서 측정하였고 실내 습도는 35%에서 45%를 유지하였다. 이는 실내 온도 20℃내외 와 실내습도 40%정도에서 가장 이상적이라는 기존의 보고를 참작하였다.13)
결론 및 토의
외이도의 습진성 피부염이 있는 환자들에서 경표피 수분손실이 정상적인 사람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것이 확인이 되었으며 이는 막연히 추측되기만 했던 국소적 원인 인자인 수분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음을 객관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역으로 경표피 수분손실이 높은 사람들은 외이도의 습진성 피부염에 감수성이 높을 것이라는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감수성이 높은 피부를 가진 사람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습도가 높은 곳에서 오래 노출되는 것을 피함으로써 이러한 질환에 이환 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예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며 추후 이 문제에 대하여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1) Agner T: Basal transepidermal water loss, skin thickness, skin blood flow and skin colour in relation to sodium-lauryl-sulphate- induced irritation in normal skin. Contact Dermatitis 25:108-114, 1991
2) Agner T, Serup J: Skin reactions to irritants assessed by non-invasive, bioengineering methods. Contact Dermatitis 20:352-359, 1989
3) Agner T: Skin susceptibility in uninvolved skin of hand eczema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Brit J Dermatol 125:140-146, 1991
4) Baumann ES, Carr CD, Senturia BH: Studies of factor considered responsible for disease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Ann Otol 70:1055-1061, 1961
5) Berardesca E, Maibach HI: Racial differences in sodium lauryl sulphate induced cutaneous irritation, black and white. Contact Dermatitis 18:65-70, 1988
6) Fartasch M, Diepgen T: The barrier function in atopic dry skin;Disturbance of membrane-coating granule exocytosis and foramtion of epidermal lipids? Acta Derm Venereol (Stockh) Suppl 176:26-31, 1992
7) Fraki JE, Kalimo K, Tuohimaa P: Contact allergy to various components of topical preparations for treatment of external otitis. Acta Otolaryngol (Stockh) 100:414-418, 1985
8) Imokawa G, Abe A, Jin K, et al: Decreased level of ceramides in stratum corenum of atopic dermatitis:an etiologic factor in atopic dry skin? J Invest Dermatol 96:523-526, 1991
9) Jones EH: Allergy of the external ear. Otolaryn Clin North Amer 4:535-547, 1971
10) Mckelvie M, Mckelvie P: Some aetiological factors in otitis externa. Brit J Derm 78:227-231, 1966
11) Nilsson GE: Measurement of water exchange through skin. Med Biol Eng Comput 15:209-218, 1977
12) Nilsson GE: On the measurement of evaporative water loss;Methods and clinical applications. Linkoping University Medical Dissertations, No 48, Linkoping, Sweden, 1987
13) Pinnagoda J, Tupker RA, Agner T, et al: Guidelines for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measurement. Contact Dermatitis 22:164-178, 1990
14) Rassmussen PA: Otitis externa an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ta Otolaryng 77:344-347, 1974
15) Singer DE, Freeman E, Hoffort WR, et al: Otitis externa, bacteriological and mycological studies. Ann Otol 61:317-330, 1952
16) Spruit D: The diurnal variation of water vapour loss from the skin in relation to temperature. Br J Dermatol 84:66-70, 1971
17) Tupker RA, Coenraads PJ, Pinnagoda J, et al: Baseline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as a prediction of susceptibility to sodium lauryl sulphate. Contact Dermatitis 20:265-269, 1989
18) Van der Valk PGM, Nater JP, Bleumink E: Skin irritancy of surfactants as assessed by water vapour loss measurements. J Invest Dermatol 82:291-293, 1984
19) Wilson DR, Maibach HI: An in vivo comparison of skin barrier function. In Maibach HI, Boisits EK (eds). Neonatal skin, structure and function. New York, Marcel Dekker 101-110, 198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