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문 1. 비강 내 호흡기도점막의 분비물인 점액(mucus)과 점액 섬모 수송에 관한 내용 중 맞는 것은?
① 점액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에서도 점도(viscosity)와 탄성(elasticity)이 중요하고, 이러한 특징은 점액의 95~98%를 구성하고 있는 수분에 의해서 규정된다.
② 비강 내 식염수 세척은 농이나 가피 등을 물리적으로 제거하지만, 주로 점액의 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서 점액섬모수송능을 높인다.
③ Kartagener 증후군은 섬모의 배열 방향에 이상으로 발생하여 재발성 부비동염과 기관지염이 초래된다.
④ 비강점액섬모수송 이상이 의심되는 환자에게서 가장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검사는 사카린 검사(saccharine test)로 매우 유용한 선별검사이고, 99mTc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검사와 상관관계를 보이다.
⑤ 점액의 탄성은 점액의 어떠한 변형을 주었을 때 그것을 되돌리려는 힘으로 탄성이 10 dynes/cm2까지 범위라면 점액 수송이 증가하지만, 그 이상의 수준이 되면 점액수송능력이 오히려 감소한다.
문 2. 사람의 후각과 미각의 생리에 대한 설명 중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사람의 후각상피는 비강 천정, 상비갑개, 비중격 상부 등 비강의 대부분을 덮고 있다.
② 후각 점막의 후각 섬모(olfactory cilia)는 dynein arm이 있어 운동성이 있다.
③ 후각수용세포는 약 10일, 미각수용세포는 약 40일의 주기(평균 수명)를 가지고 있다.
④ 후각상피의 기저세포(basal cell)는 후각수용세포와 지지세포로 분화 성숙 될 수 있다.
⑤ 하나의 후각수용세포는 여러 종류의 후각수용체를 발현한다.
문 3. 급성 부비동염의 경험적 치료 원칙은 amoxicillin이나 trimethoprim-sulfamethoxazole과 같은 널리 알려진 약제를 일차 선택제로 충분히 쓰고 효과가 없을 때 이차 약제를 쓰는 것이다. 다음 중 이차 선택제를 조기에 사용할 수 있는 적응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내원 시 이미 항생제를 장기간 사용해 온 경우
② 내성균에 의한 부비동염의 기왕력이 확실히 있는 경우
③ 30일 이상 지속된 증상으로 내원한 경우
④ 3세 소아
⑤ 전두동이나 접형동까지 파급된 범발성 급성 부비동염
문 4. 다음 중 비강의 기능과 생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강점막의 상피층은 부위에 따라, 비전정과 비인강을 덮고 있는 중층편평상피, 비부비동의 호흡기 점막부위에 분포하는 위중층원주섬모상피, 후각 부위 존재하는 후각상피로 이루어져있다.
② 비용이나 비염이 있는 사람의 비강상피세포는 정상인에 비해 IL-5, RANTES, GM-CSF, IL-8을 더 많이 분비한다.
③ 비강에 분포하는 교감신경은 주로 혈관을 수축시켜 혈류를 조절하고, 부교감 신경은 주로 분비활동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④ 비점막에서 유발되는 반사 중 하나인 비기관지 반사는 한쪽 비강을 통해 공기량을 증가시키면 동측의 기관지 근육이 이완되어 환기량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⑤ 비주기 nasal cycle은 평균 4~12시간의 주기로 비강점막의 수축과 팽창이 교대로 순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전체 성인의 80%에서 나타나고, 소아는 성인보다 그 주기가 짧거나 불규칙하다.
Otology
문 1. 다음 중 유양돌기절제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관기능이 정상이 아닐 때, 폐쇄동 유양돌기절제술을 시행하였을 경우, 술후 고막 함몰이나 진주종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② 폐쇄동 유양돌기절제술의 경우 개방동 유양돌기절제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술후 청력결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③ 개방동 유양돌기절제술이 폐쇄동 유양돌기절제술에 비해 수술 중 시야가 좋고, 재발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④ 개방동 유양돌기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외이도 입구가 넓어지므로 상대적으로 보청기의 착용이 용이하다.
⑤ 개방동 유양돌기절제술을 시행할 때에는 가능한 안면신경능을 완전히 낮추어, 술후 공동 문제(cavity problem)를 줄일 수 있다.
문 2. 다음 중 보청기를 착용 시에 적절하게 이득이 있는지 검증(verification)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Functional gain 검사는 음장(soundfield)에서 측정하게 되며, 헤드폰이 아니라 일정 거리를 둔 스피커를 이용하여 검사를 한다.
② Functional gain 검사는 pure tone audiometry 검사와 다르게 wobble tone 또는 narrow band masking noise를 이용하여 검사를 한다.
③ Functional gain 검사 시 어음검사는 일정한 크기의 ‘보통 대화음 레벨(65 dB SPL)’에서 보청기 전/후의 어음인지도(word recognition score)를 비교해야 보청기의 효과를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다.
④ 실이측정(real ear measurement)은 2cc coupler에서 보청기의 이득을 측정하는 것으로, 좀 더 개별적인 환자에게 적합한 맞춤을 시행할 수 있다.
⑤ Speech mapping은 녹음된 음성을 이용하여 실이측정을 하는 것으로, 3단계의 소리(작은 소리, 편안한 소리, 큰 소리)로 검증을 한다.
Rhinology
문 1. 내시경적 누낭비강문합술의 적응증에 해당하는 환자는?
① 비루관의 기능적 폐쇄가 있는 환자
② 비루관의 해부학적 폐쇄가 있는 환자
③ 누낭의 기능적 폐쇄가 있는 환자
④ 누낭의 해부학적 폐쇄가 있는 환자
⑤ 누소관의 해부학적 폐쇄가 있는 환자
문 2. 결막누낭비강문합술의 적응증에 해당되는 환자는?
① 비루관의 기능적 폐쇄가 있는 환자
② 비루관의 해부학적 폐쇄가 있는 환자
③ 누낭의 기능적 폐쇄가 있는 환자
④ 누낭의 해부학적 폐쇄가 있는 환자
⑤ 누소관의 해부학적 폐쇄가 있는 환자
Head and Neck
문 1. 경부 근막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심근막(deep fascia)는 심부염증이 전파하는 데 중요하며, 외, 중, 내의 3개의 층으로 나누어지고, 잠재 공간 혹은 구획을 형성한다.
② 심근막의 외층은 흉쇄유돌근, 악하선을 둘러싸며, 이하선은 악하선과는 달리 심근막의 내층에 의하여 둘러 쌓여져 있다.
③ 심근막의 심층에 의하여 인두, 식도, 후두, 기관, 그리고 갑상선이 둘러쌓여져 있으며, 이를 내장근막이라고도 부른다.
④ 척추전근막과 척추 사이의 공간은 후인두공간이라고 부르며, 심경부 감염이 파급되는 주요 통로이다.
⑤ 경동맥초 내에 포함되는 장기는 경동맥, 반회후두신경, 내경정맥, 경부교감신경연쇄이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⑤
해 설 ① 점액의 특징은 주로 점소(mucin)에 의해서 결정된다.
② 비강 내 식염수 세척은 주로 농이나 가피 제거를 통해서 점액섬모수송능을 높인다.
③ Kartagener 증후군은 외측 미세소관의 동력단백팔의 결손에 의해서 발생한다.
④ 사카린 검사는 검사 결과가 일정하지 않고 99mTc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검사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으며, 사카린 청소시간이 정상범위에 있을때에는 섬모운동 횟수와도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115-8.
문 2. 답 ④
해 설 ① 사람 비강의 대부분은 호흡상피로 덮여 있다.
② 후각 점막의 후각 섬모(olfactory cilia)는 호흡상피세포의 섬모와 달리 dynein arm이 없기 때문에 운동성은 없다.
③ 후각수용세포는 약 40일, 미각수용세포는 약 10일의 주기를 가지고 있다.
⑤ 하나의 후각수용세포는 한 종류의 후각수용체를 발현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47-56.
문 3. 답 ④
해 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비동염의 내과적 치료. In: 조진희, editor. 이비인후과학:두경부외과학 2권. 2판. 서울:일조각;2009. p.1173.
문 4. 답 ④
해 설 ④ 비폐 반사 nasopulmonary reflex에 대한 설명이다. 비기관지 반사: 기도의 과민성이 있을 때 비강에 항원을 유발하면 기관지 수축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108-19.
Otology
문 1. 답 ④
해 설 개방동 유양돌기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외이도 입구가 넓어서 feedback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 보청기의 착용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475-9.
문 2. 답 ④
해 설 실이측정은 2cc coupler가 아닌 probe-tube 마이크로폰을 고막에 위치시키고 주파수반응을 SPL dB HL로 측정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7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