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64(9); 2021 > Article

Review

문 1. 기관절개술의 가장 흔한 적응증인 것은?
① 하기도 폐쇄
② 급성 호흡 부전
③ 악안면 외상
④ 구인두 염증
⑤ 성대마비
문 2. 장기간 기관 내 삽관이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폐렴
② 축농증
③ 연하장애
④ 두경부 암
⑤ 기관 협착
문 3. 기관절개술을 통한 캐뉼라의 삽입은 장기간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한 환자에게 실행 가능한 대안으로 알려져 있는데, 다음 중 그 이점이 아닌 것은?
① 기도 저항 증가
② 편안함 향상
③ 진정 약물 투여 감소
④ 가래 제거 용이
⑤ 안전한 기계호흡 보조 중단
문 4. 코로나 환자의 기관절개술 술기 과정 중 일부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환자를 천정을 보고 누운 자세로 위치시키며 어깨 베개를 사용하여 경부를 신장시킨다.
② 수술 중 기침 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경 근육 차단 약제를 사용하여 완전히 마비시킨다.
③ 기관 삽관 튜브의 커프를 예상하는 기관창보다 더 위쪽에 위치하도록 넣고, 에어로졸 등의 누출을 막기 위해 튜브 커프를 최대한 팽창시킨다.
④ 기관창을 내기 전, 최소한 5분 동안 산소포화도를 100%로 유지한다.
⑤ 기관창을 내고, 캐뉼라를 넣기 위한 준비를 위해 기관 삽관 튜브를 뺄 때, 기계호흡을 중단시킨 뒤 행한다.

Otology

문 1. 다음 중 돌발성 난청의 좋지 않은 예후 인자가 아닌 것은?
① 고령
② 당뇨
③ 중간주파수 대역 난청
④ 현기증이 동반된 경우
⑤ 초기 난청이 전농인 경우
문 2. 다음 중 어음청력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된 것은?
① 검사어음의 50%를 정확하게 알아들을 수 있는 어음의 최소 강도를 speech reception threshold (SRT)라고 한다.
② SRT를 측정하기 위하여 2음절어표를 사용한다.
③ 어음명료도검사는 단음절어 50개를 이용하여 검사한다.
④ Speech discrimination score는 가장 편안하게 느끼는 어음강도인 최적안정역치에서 정확하게 알아들은 검사어음 수를 백분율로 환산한다.
⑤ 최적안정역치는 대개 어음청취역치보다 15~20 dB 높은 강도이다.

Rhinology

문 1. 다음 중 수면 무호흡을 일으키는 기도폐쇄 부위의 확인을 위한 검사법이 아닌 것은?
① Muller 검사법
② 약물유도 수면내시경(drug-induced sleep endoscopy)
③ 수면 비디오투시검사(sleep videofluoroscopy)
④ Friedman staging
⑤ 다중수면잠복기검사(multiple sleep latency test, MSLT)
문 2. 다음 중 비자가 조직의 특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메드포어는 혈관과 섬유 조직이 보형물 내로 잘 생착되므로 안정성이 우수하며 감염 가능성이 높지 않다.
② 실리콘은 체내 삽입 후에도 조직에 흡수되지 않는다.
③ 실리콘은 문제가 생겼을 때 쉽게 제거가 어렵다.
④ 고어택스는 주변조직이 보형물 안으로 자라서 들어간다.
⑤ 고어택스는 재질이 부드러원 폭이나 모양을 원하는 대로 쉽게 가공할 수 있다.

Head and Neck

문 1. 혈관육종에 임상양상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혈관육종은 5년 생존률 70%-80% 정도로 좋은 예후를 보인다.
② 혈관육종은 비교적 젊은 연령의 여성환자에서 호발한다.
③ 일반적으로 출혈이 동반된 경우 MR T2 영상에서 저신호강도를 보일 수 있다.
④ 혈관육종은 P16 면역염색에서 양성소견을 확인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⑤ 과거의 방사선 조사력 등이 원인이라는 보고가 있다.
문 2. 혈관육종의 치료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항암치료는 주로 cisplatin 등 백금계열의 항암제를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② 주로 선행 항암방사선치료로 병변의 범위를 줄인 후 수술적 치료를 계획한다.
③ 초기에 발견될 경우 전이는 흔하지 않으므로 국소적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다.
④ 전이의 소견이 의심되거나 보일 경우 이하선 절제술을 포함한 경부절제술을 계획한다.
⑤ 수술 절제연의 침범이 없으면 국소재발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해 설 기관절개술의 가장 흔한 적응증은 급성 호흡 부전이다. 이외에도 기도 확보가 필요한 악안면 외상에 의한 상기도 폐쇄, 신경학적 질환, 성대마비, 두경부 암, 구인두 염증의 원인이 보고되었다.
참고 문헌: Cheung NH, Napolitano LM. Tracheostomy: Epidemiology, indications, timing, technique, and outcomes. Respir Care 2014;59(6):895-919; discussion 916-9.
문 2. 답
해 설 정상적인 후두 방어 메커니즘이 없는 기관, 기관지 및 폐는 장기간 기관 내 삽관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감염 및 전파가 되기 쉽다. 이로 인해, 인공호흡기 관련된 폐렴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축농증, 연하장애, 성문하 및 기관 협착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두경부 암의 경우 기관절개술의 흔한 적응증 중 하나이다.
참고 문헌: Rello J, Ollendorf DA, Oster G, Vera-Llonch M, Bellm L, Redman R, et al. Epidemiology and outcome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a large US database. Chest 2002;122(6):2115-21.
Metheny NA, Hinyard LJ, Mohammed KA. Incidence of sinusitis associated with endotracheal and nasogastric tubes: NIS database. Am J Crit Care 2018;27(1):24-31.
Skoretz SA, Flowers HL, Martino R. The incidence of dysphagia following endotracheal intubation: a systematic review. Chest 2010;137(3):665-73.
문 3. 답
해 설 장기간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한 환자들의 경우 기관절개술을 통한 캐뉼라 삽입은 상당히 큰 이점들을 가지고 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이점은, 기계호흡 보조(인공호흡기)를 안전하게 중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환자의 기도 저항 감소, 편안함 향상, 진정 약물의 투여 감소 및 가래 제거 용이의 장점이 있다.
참고 문헌: De Leyn P, Bedert L, Delcroix M, Depuydt P, Lauwers G, Sokolov Y, et al. Tracheotomy: Clinical review and guidelines. Eur J Cardiothorac Surg 2007;32(3):412-21.
Engels PT, Bagshaw SM, Meier M, Brindley PG. Tracheostomy: From insertion to decannulation. Can J Surg 2009;52(5):427-33.
문 4. 답
해 설 먼저, 환자를 supine 자세로 위치시키며 어깨 베개를 이용하여 경부 신장시킨다. 이후 환자의 기침 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경 근육 차단 약제를 사용하여 마비시킨다. 기관 삽관 튜브의 커프를 예상하는 기관창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밀어 넣고, 에어로졸의 누출을 막기 위해 튜브 커프를 최대한으로 팽창시킨다. 최소한 5분 동안 산소 포화도를 100%로 유지한 후 기관창을 낸다. 기관창을 내고, 캐뉼라를 넣기 위한 준비를 위해 기관 삽관 튜브를 뺄 때 기계호흡을 중단시킨 뒤 행한다. 이후 기관창 캐뉼라를 넣고 즉시 커프를 팽창시킨다. 클램프된 기관 내 튜브를 제거한 후 기관창 캐뉼라는 폐쇄회로와 연결한다. End tidal CO2를 체크해 캐뉼라가 기도 내로 잘 들어갔는지 확인하면서, viral filter나 가습필터(HME filter)를 기관창 캐뉼라에 연결한다.
참고 문헌: Volo T, Stritoni P, Battel I, Zennaro B, Lazzari F, Bellin M, et al. Elective tracheostomy during COVID-19 outbreak: To whom, when, how? Early experience from Venice, Italy. Eur Arch Otorhinolaryngol 2021;278(3):781-9.
Broderick D, Kyzas P, Sanders K, Sawyerr A, Katre C, Vassiliou L. Surgical tracheostomies in Covid-19 patients: Important considerations and the “5Ts” of safety. Br J Oral Maxillofac Surg 2020;58(5):585-9.

Otology

문 1. 답
해 설 순음청력검사에서 저음 또는 중간 주파수 대역에 청력손실이 있는 경우는 고음장애나 전주파수대 영역에 손실이 있는 경우보다 회복률이 좋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파주: 군자출판사;2018. p.638.
문 2. 답
해 설 최적안정역치는 일반적으로 정상 또는 전음성난청에서는 어음청취역치보다 35~40 dB 높은 강도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파주: 군자출판사;2018. p.210.

Rhinology

문 1. 답
해 설 다중수면잠복기검사(MSLT)는 주간기면을 나타내는 다양한 수면질환을 감별하기 위해서 시행하는 검사이다.
참고 문헌: 대한비과학회. (최신) 임상비과학. 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7. p.643-73, 768-72.
문 2. 답
해 설 실리콘은 이물에 대한 염증 반응으로 보형물 주위에 섬유조직 capsule이 형성되어 제거가 쉽다.
참고 문헌: 대한안면성형재건학회. 얼굴 성형 재건. 1판. 파주: 군자출판사;2014. p.313-9.

Head and Neck

문 1. 답
해 설 현재 두피 혈관육종의 치료법으로 정립되어 있는 방법은 없지만 병변의 광범위 절제술 후 보조적 방사선 요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빠른 진행을 보이고 광범위 병변 절제술 및 술후 보조요법에도 불구하고 매우 불량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혈관육종은 ERG, CD31 염색에서 양성 소견을 보여 혈관 내피세포에서 유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문 2. 답
해 설 현재 두피 혈관육종의 치료법으로 정립되어 있는 방법은 없지만 병변의 광범위 절제술 후 보조적 방사선 요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항암치료는 다른 육종에서 사용하는 anthracycline, ifosfamide, taxane 계열의 약제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보조적인 방법으로 사용한다.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785
View
139
Download
Related articles
Self-Test Examination  2024 November;67(11)
Self-Test Examination  2024 October;67(10)
Self-Test Examination  2024 September;67(9)
Self-Test Examination  2024 August;67(8)
Self-Test Examination  2024 July;67(7)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