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61(9); 2018 > Article

Review

문 1. 세침흡인 검사상 비정형(atyp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소견을 보여 Gene Expression Classifier 검사를 시행하였다. 양성종양을 배제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척도는?
① 민감도와 특이도
② 민감도와 양성 예측도
③ 민감도와 음성 예측도
④ 특이도와 양성 예측도
⑤ 특이도와 음성 예측도
문 2. 40세 여자가 갑상선 우엽의 20 mm 결절에서 세침흡인 검사 결과 비정형(atyp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follicular lesion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소견을 보였다. Gene Expression Classifier(GEC) 검사상 의심(suspicious) 소견을 보였을 때 가장 적절한 처치는?
① 핵침조직검사(core needle biopsy)
② 3개월 후 GEC 재시행
③ 경과관찰(active surveillance)
④ 갑상선 엽절제술(thyroid lobectomy)
⑤ 갑상선 전절제술(total thyroidectomy)
문 3. 아래의 갑상선 여포세포 기원 암종의 발병 기전에 관여하는 유전자 중 그 기전이 다른 하나는?
① RAS
② BRAF
③ MEK
④ ERK
⑤ PI3K
문 4. 다음의 갑상선암의 유전적 변이 중 가장 불량한 예후와 관련된 변이는?
① BRAF
② RAS
③ RET/PTC
④ TERT
⑤ PAX8/PPARG

Otology

문 1. 다음 중 상반고리관피열증후군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소견이 아닌 것은?
① 청각과민
② 감각신경성 난청
③ 자강강청(autophony)
④ 큰 소리 자극에 어지럼이 유발되는 Tullio 현상
⑤ 압력자극에 의해 어지럼이 유발되는 Hennebert 징후
문 2. 다음 중 소아 어지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아의 표현 능력 부족 등으로 정확한 병력 청취가 어렵다.
② 진단의 어려움과 보호자 및 의사의 간과로 병이 계속 진행할 수 있다.
③ 전정기능검사에 대한 협조가 어려우므로 뇌 MR을 시행해야 한다.
④ 원인이 매우 다양하고 성인의 경우와 다른 양상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⑤ 주원인 및 빈도에 대한 보고가 보고자의 임상과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Rhinology

문 1. 소아 수면호흡장애의 특징은?
① 소아 수면무호흡증의 유병률은 여자보다 남자에서 더 높다.
② 무호흡에 의한 수면구조의 파괴가 심하고 주간졸음 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③ non-REM 수면 때 수면호흡장애가 많이 나타난다.
④ 3~8세 소아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⑤ 치료는 먼저 CPAP를 시행하고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을 시행한다.
문 2. 소아 수면무호흡증 진단 및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수면다원검사의 EEG, EOG, EMG로 무호흡, 저호흡의 중증도를 알 수 있다.
② Level IV 수면검사를 권장하며 가장 정확하다.
③ 수면다원검사로 기도폐쇄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④ 수면무호흡증은 소아진단 기준과 성인진단 기준이 같다.
⑤ 수면다원검사에서 호흡장애의 종류는 복부 호흡노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Head and Neck

문 1. 38세 여자 환자가 내원 1주일 전부터 지속되는 인두통 및 개구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다음은 경부 CT 소견이다. 이 질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고르시오.
kjorl-61-9-493i1.jpg
① 피하 지방층(subcutaneous fat plane)을 통한 질병의 전파가 흔하다.
② 항생제 사용 이후에는 치성 감염보다는 편도 감염에 의한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③ 수술적 치료를 결정하는데 유의한 예측인자로 C-반응단백과 고혈압이 보고 되었다.
④ 질병 파급의 가능성으로 수술적 치료는 금기이며 항생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⑤ 질병의 파급으로 인한 흉부 합병증은 사망률의 상승과 관계가 없다.
문 2. C-반응단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급성기 반응물질 중 가장 늦게 정상화되는 특징으로 감염의 치료 지표로 사용된다.
② 녹농균(Pseudomonas)의 C-polysaccharide와 침강반응을 일으키는 성질이 있다.
③ 정상수치(0.3~1 mg/dL)의 최대 약 70배까지 증가된다.
④ 급성기 질환이 최고조에 이르는 시간부터 증가하기 시작한다.
⑤ 잠재감염의 확인 및 자가면역질환의 질병 활성도 평가에 이용된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③
해 설 양성종양을 배제하기 위한 검사는 높은 민감도와 음성 예측도가 필요하다.
문 2. 답 ④
해 설 GEC 검사상 suspicious 소견을 보이는 경우 30~50%가 악성종양으로 진단적 엽절제술이 추천된다.
문 3. 답 ⑤
해 설 여포세포 기원 갑상선 암종의 발병에는 RAS-RAF-MEK-ERK로 이어지는 MAPK 경로와 PI3K 경로가 관련된다.
문 4. 답 ④
해 설 TERT 변이는 공격적 특성을 보이는 종양에서 관찰되며, 질환 특이 생존율, 재발률에 독립적으로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Otology

문 1. 답 ②
해 설 상반고리관피열증후군에서는 주로 저주파 영역의 전도성 난청 소견을 보인다.
문 2. 답 ③
해 설 소아의 경우 협조가 어렵지만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정기능검사를 소아에 적절히 맞추어 시행해야 한다. 의식의 변화가 있거나 외상의 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뇌 MR이나 CT를 촬영할 필요가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MR을 반드시 시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Rhinology

문 1. 답 ④
해 설 소아 수면무호흡증의 유병률은 남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난다. 수면구조는 비교적 잘 유지되며 주간졸음 증상은 드물고, REM 수면 때 주로 수면호흡장애가 발생한다. 소아 수면무호흡증의 주된 치료는 adenotonsillectomy이고 높은 치료 효과를 보인다.
참고문헌: 이비인후과학-두경부외과학 대한이비인후과학회편 일조각;2009. p.1382-4.
문 2. 답 ⑤
해 설 수면다원검사의 호흡기류(airflow), 호흡노력(respiratory effort), 산소포화도(oxymeter)를 통해 무호흡, 저호흡 등을 알 수 있으며, 가장 추천되는 수면검사는 검사자가 참여하는 level I 검사이다. 기도폐쇄부위는 수면다원검사로 확인할 수 없으며 소아진단 기준과 성인진단 기준은 다르다. 복부의 호흡노력을 통해 중추성, 혼합성, 폐쇄성 등 호흡장애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비인후과학-두경부외과학 대한이비인후과학회편 일조각;2009. p.1371-2.

Head and Neck

문 1. 답 ③
해 설 심경부 감염 환자로 심경부 감염은 경강(cervical space) 및 경막면(fascial plane) 에서의 감염(①)을 의미한다. 항생제 사용 이후에는 편도 감염보다는 치성 감염에 의한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②). 적절한 항생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감염이 지속되거나 명백한 농양이 존재할 시에는 절개 및 배농을 시행한다(④).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하행성 종격동염, 상기도 폐쇄, 늑막과 폐의 농양, 심낭염, 경정맥 혈전, 파종성 혈관 내 응고증, 패혈증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며, 사망률이 크게 증가한다(⑤).
문 2. 답 ⑤
해 설 C-반응단백은 급성기 반응물질 중 가장 먼저 증가하고(④) 치료 시 가장 먼저 정상화되는 특징(①)을 가지고 있다. 연쇄상구균(Streptococcus)의 C-polysaccharide(②)와 침강반응을 일으킨다. 정상수치의 1000배(③)까지도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다.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2,086
View
85
Download
Related articles
Self-Test Examination  2024 April;67(4)
Self-Test Examination  2024 March;67(3)
Self-Test Examination  2024 February;67(2)
Self-Test Examination  2024 January;67(1)
Self-Test Examination  2023 December;66(12)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