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Test Examination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9;62(1):70-7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9 January 21

Review

문 1. 청력보존프로그램(Hearing Conservation Program) 절차 중 Hearing Protection Devices(HPD) 내용이 포함되는 것은?

① 소음측정

② 소음통제

③ 청력검사

④ 청력보호

⑤ 근로자 교육 및 훈련

문 2. Hearing Protection Devices(HPD)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어플러그(custom fit earplug)

② 이어캡(earcap or ear-canal cap)

③ 이어머프(ear muff)

④ 헬멧(helmet)

⑤ 이어버드(earbud)

문 3. 소음으로 인한 신체적인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혈관 수축으로 인한 혈압상승

② 중추청각처리장애(CAPD)

③ 오심

④ 근육활동의 증가

⑤ 수면장애

문 4. Hearing Protection Devices(HPD) 착용으로 인한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리의 증폭

② 말소리 인지

③ 말소리 탐지

④ 소리의 방향성

⑤ 소리 및 음악의 질(quality)

Otology

문 1. 54세 여자 환자가 2일 전부터 발생한 침대에 누울 때 발생하는 회전성 현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병력 조사상 우측으로 돌아누울 때 발생하며 현훈 지속시간은 20~30초 였다. 청력검사상 양측 귀 모두 정상이었고 이명도 호소하지 않았다. Right side Dix-hallpike 검사상 clockwise torsional nystagmus 관찰되었다. 이 환자의 질환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전체 어지럼증 환자의 약 20% 정도를 차지하는 질환이다.

② 메니에르병 및 전정신경염과 같은 내이질환이 있는 경우 호발한다.

③ 재발이 매우 드물다.

④ 소아보다 성인에서 흔하다.

⑤ 남성에 비해 여성에 호발한다.

문 2. 편측의 vestibular function을 추적 관찰하기 위해서 하는 검사들은 여러 가지가 있다. 다음 중 추적 관찰 시 가장 민감한 검사로 알려져 있는 검사는 무엇인가?

① Video nystagmography

② Caloric test

③ Video head impulse test

④ Rotary chair test

⑤ MRI

Rhinology

문 1. 수술 장면 사진 촬영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가능한 한 수술 시야에 피나 거즈 등이 없는 깨끗한 상태에서 촬영해야 한다.

② 수술 시야를 촬영할 때 수술 부위뿐 아니라 주변의 해부학적 구조물도 포함해야 한다.

③ 수술 부위의 가장 깊은 곳과 얕은 곳에 모두 포커스가 맞는 팬 포커스로 촬영해야 한다.

④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할 때는 무영등을 치우고 촬영하는 것이 좋다.

⑤ 디지털카메라를 기역자모양의 삼각대에 거치하여 사용하면 수술 장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문 2. 비즙의 성분과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점소(mucin)는 점액의 여러 성분 중에서 점액의 유동학적 특성을 결정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한다.

② 점액층은 표면에 위치한 겔층과 그 아래층인 섬모주위액층의 이층구조를 갖는다.

③ 대부분의 점소(mucin)는 졸(sol) 성상인 섬모주위액층에 존재한다.

④ 점소를 생성하는 유전자인 MUC 유전자 중 MUC2, MUC 4, MUC5A가 비점막에 발현되어 있다.

⑤ 점소(mucin)는 분자량이 매우 큰 당단백질로서 단백질의 중심부에 불규칙한 과당류의 고리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Head and Neck

문 1. 구인두암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구인두암은 전 세계적으로 흔한 암은 아니며 발생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② 이전에는 구인두암에서 방사선치료 단독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표준 치료였으나 수십 년 전부터 두경부암에서 비수술적 치료가 시작되었다.

③ 최근 구인두암의 증가는 HPV 양성 구인두암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④ HPV 양성 구인두암은 HPV 음성 구인두암보다 치료 반응이 좋아 더 나은 예후를 39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⑤ 구인두암에서는 치료적 결과가 동등한 근치적 초치료 방법들이 있기 때문에 치료법에 따른 기능적 결과 및 삶의 질이 선택의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문 2. 이하선 수술을 위한 절개법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Blair 절개법은 전이개부에서 시작해 귓불 부위 에서 S 모양을 그리며 경부까지 진행되기 때문에 S형 절개법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하선 전체와 경부를 포함하는 매우 넓은 수술 시야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하선 절제술의 표준 절개법으로 현재까지 인정받고 있다.

② 1967년 Appiani가 처음 소개한 안면거상 절개법이 새로이 주목받고 있으며, 여러 연구를 통해 그 기술적 가능성 및 안정성이 널리 인정되면서 현재는 미용적 이하선 절제술의 표준으로 새로이 자리매김하였다.

③ 안면거상 절개법의 경우에도 이하선의 위치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비교적 긴 후두 모발선 절개가 필요하며, 해당 영역의 모낭 손상 시 후두부 탈모를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④ V형 절개법을 이용한 이하선 절제술은 잘 선택된 환자들에게 있어 기존의 변형 안면거상 절개법과 비교해 추가적인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보다 높은 미용적 만족도를 낳을 수 있다.

⑤ V형 절개법은 우수한 수술 시야를 제공하기 때문에 모든 이하선 종양 환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④

해 설 청력보호는 지속적으로 청력보호장비를 착용함으로써 소음으로부터 노출 강도를 줄이고, 궁극적으로는 소음성난청을 능동적으로 예방하여 그 발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내용이 포함된다.

문 2. 답 ⑤

해 설 이어플러그나 이어머프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수동적 청력보호장비(passive hearing protection devices)와 전기 사용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이어캡과 헬멧 유형의 능동적 청력보호장비(active hearing protection devices)가 있다.

문 3. 답 ②

해 설 소음으로 인한 신체적인 영향은 심박동 수와 호흡수의 증가, 혈관 수축으로 인한 혈압상승, 오심, 동통, 근육활동의 증가, 영구적인 청력손실, 괴로움, 수면장애, 대화와 사고장애, 작업능률 저하 등 다양한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문 4. 답 ①

해 설 청력보호장비를 착용할 시 소음으로부터 청력을 보호하지만 소리 위치 파악 능력이 크게 저하되고 소음 상황에서의 말 이해력 또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청각보호장비는 소리 증폭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다.

Otology

문 1. 답 ③

해 설 양성돌발성체위현훈의 재발률은 25~40% 정도로 흔하다.

문 2. 답 ③

해 설 편측의 vestibular function을 알 수 있는 검사는 caloric test와 video head impulse test(vHIT)가 있고, 둘 중 추적 관찰 시 민감한 검사는 vHIT로 알려져 있다.

Rhinology

문 1. 답 ④

해 설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할 때는 무영등을 치울 필요 없이 무영등이 비추고 있는 상황에서 촬영하는 것이 좋다. 오히려 무영 등의 조명을 이용하여 포커스를 맞추기가 편하다.

참고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외과학. 서울: 일조각;00000. p.473-4.

문 2. 답 ③

해 설 표면의 겔층은 두께가 0.5~2.0 μm이며 대부분의 점소가 이곳에 분포하는 반면, 졸(sol) 성상인 섬모주위액층은 두께가 7~10 μm이다.

참고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외과학. 서울: 일조각;0000. p.115-6.

Head and Neck

문 1. 답 ①

해 설 구인두암은 전 세계적으로 흔한 암은 아니나, 다른 주요 암종의 발생이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구인두암의 발생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문 2. 답 ④

해 설 V형 절개법은 제한된 수술 시야를 제공하기 때문에 모든 이하선 종양 환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