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신저자:윤주헌, 120-752 서울 서대문구 성산로 250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교신저자:전화:(02) 2228-3610 · 전송:(02) 393-0580 · E-mail:jhyoon@yuhs.ac
서
론
Rosai-Dorfman disease는 sinus histiocytosis with massive lymphadenopathy(SHML)라는 병명으로 일컬어지기도 하며 원인 불명의 흔하지 않은 질환으로 1969년 Rosai와 Dorfman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1) 이 질환은 두경부 영역에 흔히 침범을 하는, 조혈계와 섬유 조직의 양성 증식성 병으로 단핵성 식세포계와 면역 조절계의 장애로 비롯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지금까지 전세계적으로 보고된 예는 600여 건 정도 되고 국내에서는 3예가 보고된 바 있다.2,3,4,5) 평균 발병 연령은 20세이며 남녀간의 발생 비율은 1.4:1로 남자에서 다소 더 많이 발생한다.6) 전체 환자의 90%에서 양측성, 무통성의 경부 림프절 종대를 보이며 43%에서는 이와 함께 림프절 외 침범을 보이고, 그 중 75%가 두경부 영역을 침범한다.2,6) 두경부의 주된 침범 부위는 비강과 부비동이나 그 외에도 구강, 편도, 후두, 기관 등의 기도 및 이하선, 악하선 등의 침샘, 안와 등에도 호발한다. 이 밖에도 임상 소견으로 발열, 체중 감소 등의 비특이적 전신 증상과 각 침범 부위에 따라 비폐색, 비루, 안구돌출, 인후통, 호흡곤란, 천명 등의 증세를 보일 수 있으며 혈액 검사에서 정구성 혹은 소구성 빈혈, 적혈구 침강 속도 증가, 다클론성 고감마글로불린혈증, 호중구 증가 및 림프구 감소 소견을 나타낼 수는 있으나 질환에 특이하지는 않다. 저자들은 25세 남자 환자로 비강과 비인강에 걸쳐 침범한 Rosai-Dorfman disease 1예를 체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환자는 25세 남자로 수 개월간의 비폐색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과적, 외과적 특이 과거력은 없었으며 가족력상 특이사항은 없었다. 환자는 비교적 전신 상태나 영양 상태가 양호하였으며 문진상 비폐색감 이외 비루, 호흡곤란 등의 다른 불편한 증상은 없었다. 말초혈액 검사상 호중구 증가와 림프구 감소 소견을 보였으나 이외 일반 생화학 검사, 뇨 검사, 흉부 방사선 사진상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신체 검사상 좌측으로의 비중격 만곡증과 비중격 전단부의 융기된 종물 소견이 보였다. 또한 비인강 전체를 채우고 있는 종물이 오른쪽 구인두로 확장된 양상이었으며(Fig. 1) 경부 촉진시 양측 경부 레벨
II~IV에 걸쳐 약 1~2 cm 크기를 가지는 비압통성의 부드럽고 가동성인 다수의 림프절 비대 소견이 확인되었다. 부비동 CT에서는 조영 증강이 잘 되고(Fig. 2) T2 MRI 촬영에서 고음영으로 나타나는 병변이 비중격의 전단부, 그리고 비인강의 후벽에서 기원하여 비인강 전체를 채우고 오른쪽 후비공과 구인두까지 걸쳐 있었으며(Fig. 3) 양측 경부 레벨
I~V, 그리고 후인두 공간에 다수의 림프절 비대 소견이 보였다. 이에 전신마취 하에 비내접근법을 통하여 오른쪽 비인두강 부위와 비중격의 병변 부위에 각각 절개 생검을 실시하였으며 동결절편 검사상 악성 림프종이 의심되는 소견이 보였으며, 추후에 최종 조직 검사 결과상 juvenile xanthogranuloma 등과 같은 non-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혹은 Erdheim-Chester disease, Rosai-Dorfman disease 등의 병이 의심되나 최종 확진을 위하여 절제 생검을 권유 받았다. 이에 비내시경하 재생검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조직학적으로 다수의 조직구들이 림프구, 형질세포와 혼재되어 빽빽하게 채우고 있으며 이때 증식된 조직구가 림프구를 탐식하는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면역조직화학 염색상 S-100 단백에 대해 강한 양성 반응 보이는 바 Rosai-Dorfman disease로 확진되었다. 이후 환자의 비폐색감의 증세 완화를 위하여 비내접근법으로 절제술을 시도하였으나 종물의 기저 부위가 넓고 완전한 절제가 힘들어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이후 비강내 종물의 크기 변화나 타장기로의 침습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주관적인 증세 또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외래에서 현재 3개월간 추적관찰 중이며 이후 증상의 재발 시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나 화학요법을 계획 중이다.
고 찰
Rosai-Dorfman disease는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임상적으로는 대부분 양측 무통성 경부 림프절 종대를 야기하고 림프절 외 침범을 할 경우에는 침범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양측 경부 림프절 비대 소견과 함께 비강과 비인강을 가득 메우는 병변으로 인해 비폐색 증상을 보였으나 비루, 연하곤란, 호흡곤란 등은 호소하지 않았다.
이 질환의 확진은 조직 검사로 이루어지며, 본 증례에서 확인되었듯이 조직학적인 특징 소견으로는 Rosai-Dorfman cell 로 불리는 조직구성 탐식 세포가 림프구, 형질세포 등과 함께 혼재되어 림프절의 수질동을 침윤하는 양상이며, 여기서 림프구 탐식현상(lymphophagocytosis, emperipolesis)을 통하여 증식된 조직구의 세포질내로 림프구가 탐식되어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것은 이 질환의 특징적인 소견이다(Fig. 4). 또한 면역화학적인 염색상 보이는 특징은 S-100 단백, α1-antichymotrypsin, CD-68과 CD-1a에 양성을 보이는 소견이다(Fig. 5).2,7)
Rosai-Dorfman disease는 전이성 암종(metastatic carcinoma), 림프종(lymphoma), 골수종(myeloma), 랑게르한스 세포조직구증(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전이성 악성 흑색종(metastatic malignant melanoma) 등의 질환과 감별이 필요하다.
본 질환의 병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지만, Epstein-Barr virus나 Herpes type 6 virus, Cytomegalovirus,
Brucella, Klebsiella 등의 감염성 병원체의 만성 감염이나 염증성 상태로부터 비롯된다는 가설과 면역 조절 체계의 이상이 원인일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Rosai-Dorfman disease의 불량한 예후와 연관된 인자로는 림프절 외 다발성 장기를 침범한 경우, 특히 신장, 간 및 하기도 호흡기관을 침범한 경우이며 기저에 면역 결핍성 질환이 동반된 경우, 호중구 증가와 림프구 감소를 동반한 빈혈, 적혈구 침강 속도의 증가 소견이 있는 경우에도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많게는 전체 환자의 82%에서 자연 관해를 보였다는 보고가 있으며 50%에서는 치료를 요하지 않았다.7) 이 외 일부분에서는 증상의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경과를 보인다.
Rosai-Dorfman disease는 드문 질환이기에 치료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으며 따라서 정립된 치료 원칙은 현재까지 없는 실정이다. 병의 상당 부분 자연관해를 보인다는 점에서 치료는 증세로 인해 생활이 불편한 경우가 아니면 가능한 한 임상적으로 경과 관찰하는 것이며, 주요 장기의 압박이 발생하거나 기도 협착 등의 생명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의 중요 임상 양상을 동반한 림프절 외 침범을 보이는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질환으로 인한 38℃ 이상의 발열 소견이나 급성 림프종대를 보이는 경우에는 5일에 걸쳐 prednisone 60 mg 사용하는 것이 발열 증세의 경감이나 림프절 크기 감소에 도움이 되었다는 보고가 있다.7) 이 외에도 여러 저자들에 의해 alkylating agents, vinka alkaloids 혹은 IFN-α 등의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 등을 시도한 바 있으나 그 임상적 효용성에 대해서는 아직 입증된 바가 없다.7,8)
REFERENCES
-
Rosai J, Dorfman RF. Sinus histiocytosis with massive lymphadenopathy. A newly recognized benign clinicopathologic entity. Arch Pathol 1969;87(1):63-70.
-
Carbone A, Passannante A, Gloghini A, Devaney K, Rinaldo A, Ferlito A. Review of sinus histiocytosis with massive lymphadenopathy (Rosai-Dorfman disease) of head and neck. Ann Otol Rhinol Laryngol 1999;108(11 Pt 1):1095-104.
-
Cho HC, Lee SS, Choi SH, Lee JK. Rosai-Dorfman disease in the neck and subglotti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07; 50(11):1062-4.
-
Suh SH, Han CS, Kang HJ, Kim DW. The Rosai-Dorfman disease of the nasal cavity and salivary gland: A case report.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0;43(9):1001-4.
-
Shin SH, Pyen JS, Hu C, Cho MY. Rosai-Dorfman disease in posterior fossa. J Korean Neurosurg Soc 2006;39(4):303-5.
-
McAlister WH, Herman T, Dehner LP. Sinus histiocytosis with massive lymphadenopathy (Rosai-Dorfman disease). Pediatr Radiol 1990;20(6):425-32.
-
Pulsoni A, Anghel G, Falcucci P, Matera R, Pescarmona E, Ribersani M, et al.
Treatment of sinus histiocytosis with massive lymphadenopathy (Rosai-Dorfman disease): Report of a case and literature review. Am J Hematol 2002;69(1):67-71.
-
Komp DM. The treatment of sinus histiocytosis with massive lymphadenopathy (Rosai-Dorfman disease). Semin Diagn Pathol 1990;7(1):83-6.
-
Rosai J, Dorfman RF. Sinus histiocytosis with massive lymphadenopathy: A pseudolymphomatous benign disorder. Analysis of 34 cases. Cancer 1972;30(5):1174-88.
-
Foucar E, Rosai J, Dorfman R. Sinus histiocytosis with massive lymphadenopathy (Rosai-Dorfman disease): Review of the entity. Semin Diagn Pathol 1990;7(1):19-73.
-
Horneff G, Jürgens H, Hort W, Karitzky D,
Göbel U.
Sinus histiocytosis with massive lymphadenopathy (Rosai-Dorfman disease): Response to methotrexate and mercaptopurine. Med Pediatr Oncol 1996;27(3):187-92.
-
Wenig BM, Abbondanzo SL, Childers EL, Kapadia SB, Heffner DR.
Extranodal sinus histiocytosis with massive lymphadenopathy (Rosai-Dorfman disease) of the head and neck. Hum Pathol 1991;24(5):483-92.
-
Shemen L, D'Anton M, Klijian A, Toth I, Galantich P.
Rosai-Dorfman disease involving the premaxilla. Ann Otol Rhinol Laryngol 1991;100(10):845-51.
-
Goodnight JW, Wang MB, Sercarz JA, Fu YS. Extranodal Rosai-Dorfman disease of the head and neck. Laryngoscope 1996;106(3 Pt 1):25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