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51(4); 2008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8;51(4): 387-389.
A Case of Oculocardiac Reflex During Endoscopic Sinus Surgery.
Hong In Baek, Ki Joon Oh, Jin Yu, Young In Kim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Kwangju Christian Hospital, Gwangju, Korea. kchent2@hanmail.net
부비동 내시경 수술 중 발생한 안구심반사 1예
백홍인 · 오기준 · 유 진 · 김영인
광주기독병원 이비인후과
주제어: 안구심반사합병증부비동 내시경 수술.
ABSTRACT
Endoscopic sinus surgery has been used popularly for treatment of chronic paranasal sinusitis. Sometimes endoscopic sinus surgery is complicated by narrow visual field and anatomical variations. Oculocardiac reflex is developed by surgical or nonsurgical procedures to the eyeball. It occurs because of decreasing of heart rate and other arrhythmia including atrioventricular block, ventricular premature beat and cardiac arrest. Oculocardiac reflex during endoscopic sinus surgery is unusual and it is potentially a life threatening complication. The authors report the first case of oculocardiac reflex experienced during endoscopic sinus surgery in Korea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eywords: Oculocardiac reflexComplicationEndoscopic sinus surgery

교신저자:백홍인, 503-715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264번지  광주기독병원 이비인후과
교신저자:전화:(062) 650-5095 · 전송:(062) 650-5090 · E-mail:kchent2@hanmail.net

서     론


  
만성 부비동의 치료를 위해 부비동 내시경 수술이 도입되면서부터 종래의 수술 방법보다 적은 합병증과 빠른 회복기간 등으로 부비동 내시경 수술이 부비동 수술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1,2,3) 그러나 부비동 내시경 수술은 부비동의 해부학적 변이와 출혈 시 시야확보의 어려움, 그리고 좁은 시야 등으로 여전히 위험한 요소가 남아있다.2,3,4,5,6) 부비동 내시경 수술에 의한 합병증은 대부분 가역적이고 일시적인 것들이지만 비가역적이고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술전에 철저한 조사와 합병증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2,4) 안구심반사는 주로 안과에서 시행하는 사시수술 중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외안근의 견인이나 안구에 자극을 가하였을 때 부정맥이 유발되는 것으로 Sorenson과 Gilmore는 안구심반사로 심정지가 발생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 보고하여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7,8,9,10) 저자들은 부비동 내시경 수술 중 지판 손상으로 발생한 내직근 자극에 의한 안구심반사 1예를 경험하였고 이는 국내에 아직까지 보고된 문헌이 없으며 세계적으로도 그 예를 찾아보기 힘들어서 이에 대한 경험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53세 남자 환자가 수년 전부터 발생한 후비루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과거력상 고혈압이나 당뇨, 심혈관 질환 및 기타 특이병력은 없었으며 이전에 수술을 받은 경험도 없었다. 혈액검사에서도 특이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이학적 검사 및 부비동 컴퓨터단층촬영상 양측성 상악동염 및 사골동염으로 진단되었으며(Fig. 1) 이에 따라 내원 2주 후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을 시행하였다. 좌측 중비도개구술을 실시하기 위해 좌측 구상돌기 절제술을 시행 후 주변 연부조직과 외측벽의 병변을 처리하기 위해 안와지판 아래쪽 방향으로 microdebrider를 사용하였다. 외측 벽의 처리 도중 안와 내 지방으로 의심되는 연부조직의 돌출소견이 보였으며 이후 갑자기 환자의 심박수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심전도 그래프상 5초 이상의 고도 방실 차단(high degree A-V block)이 기록되다가 다시 정상 심전도와 심박수를 되찾았다(Fig. 2). 곧바로 수술을 중단하고 환자의 활력징후를 신중하게 관찰하였으며 이후 활력징후에는 더 이상의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이지 않아서 다시 수술 부위를 확인하였다. 안구압박 검사상 microdebrider를 사용하였던 부위에서 Stankiewicz 징후 양성소견이 확인되었고 작은 결손부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안구돌출 소견이나 결손부위의 출혈은 보이지 않았다. 결손부위가 크지 않아서 결손부위에 Ofloxacin을 묻힌 Gelfoam
®을 대고 Merocel® 충전만 시행하였으며 이어서 반대편에 대한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을 마무리하였다. 
   수술 후 환자의 활력징후에 특별한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심전도 검사에서도 정상 소견을 보여 회복실에서 수시간 관찰하다가 환자를 병실로 옮겼다. 환자에게 침상안정을 하도록 하였으며 고농도의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여 점차 용량을 줄였고 그 외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좌측 안와주위 반상 출혈과 두통을 동반한 좌측의 복시현상이 경미하게 나타났으나 시력저하와 안구운동장애는 보이지 않았다. 술 후 1일째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을 다시 시행하였으며 좌측 안와지판의 골결손과 안와기종이 관찰되었으나 외안근, 특히 내직근의 손상은 보이지 않았다(Fig. 3). 술 후 2일째 Merocel
® 충전을 제거하였고 이후 점차적인 증상의 호전을 보이면서 두통과 복시 현상이 사라졌으나 술 후 10일째까지 지켜보다가 퇴원하였고 현재까지 별다른 불편함 없이 잘 지내고 있다.

 

고     찰

   부비동 내시경수술이 만성부비동염의 치료로 정립된 이후 많은 수술적 치료의 성과를 이루었으며 합병증의 빈도 역시 다른 수술적 치료에 비하여 줄어들었으나 합병증 발생의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1,2,4,6) 부비동내시경의 합병증은 작게는 출혈이나 유착에서부터 안와 내 합병증으로 안와혈종, 안와기종, 비루관 손상, 안구운동장애, 시력손상, 복시 등이 있고 두개내 합병증으로는 뇌척수액 유출, 지주막하 출혈, 두기종, 뇌막염, 뇌농양 등이 있을 수 있다.1,3,5) 흔히 접하는 합병증으로 본 증례와 같은 안와지판의 손상은 구상돌기 절제술 시 앞쪽 손상이 잘 일어나고 사골동 절제술 시 뒤쪽 부위 손상 가능성이 높다.1,2) 그러므로 수술 중 여러 차례 안와를 촉지해보고 안구지판과 가까운 부분을 처리할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1,2,4) 안구심반사는 1908년 Aschner와 Dagnini가 동물실험을 통해 안구에 자극을 줘서 부정맥이 발생함을 보고하여 도입된 개념이다.7,8) 안구심반사의 구심성 경로는 외안근의 근 방추에서 나온 말단 신경섬유가 삼차신경의 안분지를 통하여 삼차신경절로 가며, 삼차신경절에서 나온 신경섬유는 삼차신경의 삼차신경주 지각핵에 종말한다. 원심성 경로는 주로 미주신경이 담당하며 미주신경을 거쳐 심장에 부교감신경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7,8,11,12,13) 깨어있는 상태보다는 마취하에 있을 때 더 잘 발생하고, 나이가 들면서 자율신경계의 강직성 효과가 점차 감소되므로 노인 보다는 젊은 사람일수록 발생 빈도가 높다.14) Anderson은 안구와 안와의 손상, 외안근 견인, 안구압박, 안와 내 압력상승, 급성녹내장 등에 의해 안구심반사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였다.12) 안구심반사의 양상은 심전도상 동서맥(sinus bradycardia)가 가장 흔하며, 이외에도 방실차단(A-V block), 동성차단(sinus block), 심실 조기 박동(ventricular premature beat), 방실결절성 일탈(A-V nodal escape) 등의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다.7,8,9,13,15) 또한 안구심반사의 결과로 심정지가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된 바 있다.10) 수술 중 안구조작에 의한 안구심반사로 부정맥이 발생하였을 때는 곧바로 수술을 중단하고 atropine과 같은 anticholinergics를 정맥투여하는 것이 추천된다고 하였다.7,8,14) 본 증례는 안와지판 손상 후 발생한 안구심반사로는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되는 증례이고 안구심반사가 안과적 수술의 합병증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부비동 내시경 수술에서도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안구심반사에 의한 일시적인 부정맥만 발생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가 사망할 수도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부비동 내시경 수술 시 심전도 감시 장치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Kim CN, Hong SK, Lee JA, Min JH, Kim MC, KIm MJ. Clinical analysis for complications after endoscopic sinus surgery in Korea during Past 7 Year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97;40(12): 1772-8.

  2. Kim H, Cho JS, Lee KH, Hwang MG, Hong SM, Cha CI. Analysis of the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of endoscopic sinus surgery.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2;45(8):777-80.

  3. May M, Levine HL, Mester SJ, Schaitkin B. Comlications of endoscopic sinus surgery: Analysis of 2108 patients-incidence and prevention. Laryngoscope 1994;104(9):1080-3.

  4. Stankiewicz JA. Complications in endoscopic intranasal ethmoidectomy: An update. Laryngoscope 1989;99(7 pt 1):686-90.

  5. Ramadan HH, Allen GC. Comlications of endoscopic sinus surgery in a residency training program. Laryngoscope 1995;105(4 pt 1):376-9.

  6. Jang YJ. Computerized tomographic evaluation of the incidence of bony defects of lateral lamella of the cribriform plate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paranasal sinusiti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98;41(9):1137-40.

  7. Kim HK, Yoon KC, Park YG. Oculocardiac reflex during strabismus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03;44(4):896-903.

  8. Cho JS, Kim DS, Shin JC. Oculocardiac reflex during strabismus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1998;39(12):3079-82.

  9. Sorenson EJ, Gilmore JE. Cardiac arrest during strabismus surgery: A preliminary report. Am J Ophthalmol 1956;41(5):748-52.

  10. Gold RS, Pollard Z, Buchwald IP. Asystole due to oculocardiac reflex during strabismus surgery: A Report of two cases. Ann Ophthalmol 1988;20(12):473-7.

  11. Apt L, Isenberg S, Gaffney WL. The oculocardiac reflex in strabismus surgery. Am J Ophthalmol 1973;76(4):533-6.

  12. Anderson RL. The blepharocardiac reflex. Arch Ophthalmol 1978;96(8):1418-20.

  13. Van Brocklin MD, Hirons RR, Yolton RL. The oculocardiac reflex: A review. J Am Optom Assoc 1982;53(5):407-13.

  14. Meyers EF, Tomeldan SA. Glycopyrrolate compared with atropine in prevention of the oculocardiac reflex during eye muscle surgery. Anesthesiology 1979;51(4):350-2

  15. Alexander JP. Reflex disturbances of cardiac rhythm during ophthalmic surgery. Br J Ophthalm 1975;59(9):518-24.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