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51(1); 2008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8;51(1): 46-50.
Interleukin-1beta Decreases Caveolin-1 Expression in Human Nasal Epithelium.
Minwook Kim, Bo Mook Kim, Yoon Seok Choi, Gil Soo Han, Suk Young Yoon, Chang Shin Park, Mi Kyung Shin, Tae Young Jang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2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Inha University Hospital, Incheon, Korea. jangty@inha.ac.kr
3Younsei Coen ENT Clinic, Seoul, Korea.
4Department of Pharmacology, Center for Advanced Medical Education,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cheon, Korea.
사람 코점막 상피세포에서 Interleukin-1β에 의한 Caveolin-1 발현의 감소
김민욱1 · 김보묵2 · 최윤석3 · 한길수2 · 윤석영2 · 박창신4 · 신미경4 · 장태영2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인하대학교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2;연세코앤이비인후과3;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4;
주제어: Caveolin코점막 상피세포염증.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Caveolin-1 (Cav-1) is the structural protein that is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caveolae membrane domains. It is known as an inhibitor of various signaling pathways and associated with several diseases such as cancer, atherosclerosis, restrictive lung disease and obesity. However, studies for Cav-1 in nose has been hardly performed. The objectives of our study were to detect Cav-1 expression in human nasal epithelium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av-1 expression in the inflammation of nasal epithelium.
SUBJECTS AND METHOD:
We obtained nasal polyp specimens from three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sinus surgery. Cells from specimens were cultured using the air-liquid interface technique and IL-1beta was treated. The expression of Cav-1 mRNA and protein was determin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RESULTS:
Both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Cav-1 mRNA and protein in human nasal epithe-lium. Furthermore, the expression of both Cav-1 mRNA and protein was decreased by IL-1beta stimulation.
CONCLUSION:
Cav-1 was expressed in human nasal epithelial cells. It is assumed that Cav-1 may play a role in nasal inflammatory disease. However, further studies to confirm the interaction between Cav-1 and signaling molecules in the nasal inflammatory process should be followed.
Keywords: CaveolinNasal epitheliumInflammation

교신저자:장태영, 400-711 인천광역시 중구 신흥동 3가 7-206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인하대학교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교신저자:전화:(032) 890-3473 · 전송:(032) 890-3580 · E-mail:jangty@inha.ac.kr

서     론


  
Caveolae는 형질막(plasma membrane)에 존재하는 50
~100 nm 크기의 작은 함입된 소포체로 1953년 Palade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1) 이후 많은 연구에 의해서 caveolae는 형질막의 함입된 소포체 형태뿐만 아니라 형질막과 분리된 소포체, 포도모양의 군집(cluster), 로제트(rosette), 긴 세관(tubule) 등의 형태로도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2)
   Caveolin은 caveolae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단백질이다. Caveolin-1(Cav-1)은 세 가지의 Caveolin 중 가장 먼저 발견되었으며 주로 내피세포, 지방세포, 제 1형 폐포세포, 평활근세포 등에 존재한다. 또한 caveolae가 함입되고 소포체를 형성하는 등의 구조적 변형을 일으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 Caveolae/caveolin은 소포이동(vesicular transport)에 의한 단백질의 교통과 콜레스테롤 항상성(homeostasis)에 관여하고 있다. 또한 caveolin이 다양한 하위 신호전달분자와 상호작용함으로써 caveolae는 다양한 신호전달체계의 승강장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전달 단백질에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G-protein coupled receptor), G-단백질, 성장인자 수용체(growth factor receptor), 비수용체 티로신 활성효소(non-receptor tyrosine kinase), H-Ras, 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endothelial nitrix oxide synthase;eNOS) 등이 있으며 Cav-1은 주로 이 단백질들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3)
   최근 Cav-1과 다양한 임상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Cav-1이 유방암,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만성 폐질환, 지방이상증(lipodystrophy) 등의 질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가 있다.3) Cav-1은 여러 세포에서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NOS)와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NOS에 의해 생산되는 산화질소(nitric oxide;NO)는 다양한 세포 손상 및 염증 기전에 관련되어 있다. 비과 영역에서는 Cav-1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진 바 없으나 한 연구에서 Cav-1이 후각신경세포에도 존재하며 후각신호전달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4) 하지만 아직까지 사람 코점막 상피세포에서 Cav-1의 발현이 보고된 바 없어 저자들은 사람의 정상 코점막 상피세포에서 Cav-1의 발현을 확인하고 염증반응 시 가장 대표적인 전구물질인 IL-1β의 영향으로 Cav-1 발현 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코점막 상피세포의 계대배양5)
   만성 부비동염 및 비용으로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을 받은 세 명의 환자들에게서 채취한 비용을 1% 단백분해효소(protease, Sigma, St. Louis, MO, USA)가 포함되어 있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Gibco, NY, USA)과 Ham's F12 nutrient mixture(F12, Gibco)의 1:1 혼합용액에 하룻밤 동안 처치한 후 검체 표면을 칼로 긁어 상피세포를 분리하였다. 이를 플라스틱 용기에 평판하여 37℃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면 상피세포를 제외한 다른 세포들은 플라스틱 용기에 달라붙어 상피세포만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피세포에 계대배양배지(subculture media)를 넣은 후 플라스틱 용기에 다시 평판하였다. 계대배양배지는 bronchial epithelial growth media(BEGM, Clonetics Co., San Diego, CA, USA)에 hydrocortisone(0.5 μg/ ml, Clonetics Co.), insulin(5 μg/ml, Clonetics Co.), transferrin(10 μg/ml, Clonetics Co.), epinephrine(0.5 μg/ml, Clonetics Co.), triiodothyronine(6.5 ng/ml, Clonetics Co.), gentamicin(50 μg/ml, Clonetics Co.), amphotericin B(50 ng/ml, Clonetics Co.), epidermal growth factor(25 ng/ml, Collaborative Res., New Bedford, MA, USA), all-trans retinoic acid(10-7 M, Sigma), bovine serum albumin(1.5 μg/ml, Sigma), bovine pituitary extract(1% vol/vol, Pel Freez, Rogers, AR, USA) 등의 호르몬 및 성장인자를 첨가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계대배양배지는 평판 하루 후에 갈아주었으며 그 이후에는 2일에 한 번씩 갈아주었다. 80% 합류(confluency)를 이루었을 때 trypsin/EDTA를 처치하여 세포들을 플라스틱 용기로부터 분리시켜 단세포로 만들었다. 이 세포들을 플라스틱 용기에 이차배양하였고 평판 다음 날 배양배지로 갈아주었으며 그 이후에는 2일에 한번씩 갈아주었다. 이때 사용된 배양배지는 BEGM과 DMEM을 1:1로 혼합한 용액을 배양액으로 사용하였으며 배양액에 첨가된 호르몬과 성장인자는 epidermal growth factor를 25 ng/ml에서 0.5 ng/ml로 사용한 것 외에는 계대배양배지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였다. 배양은 37℃ 5% CO2에서 시행하였다.

Air-liquid interface(ALI) 배양10)과 interleukin-1β(IL-1β) 처치
   80% 합류를 이루었을 때 trypsin/EDTA로 세포를 분리하고 세포의 분화를 위해 반투과성막으로 상하가 구분된 배양기(Transwell-clear, Costar Co., Cambridge, MA, USA)의 위쪽 반투과성막에 각각 1×105개의 세포를 부유하여 평판하였다. 세포가 배양배지에 잠긴 상태로 7일간 배양하였으며 평판 다음 날과 이후 격일로 위 및 아래쪽 배양배지를 갈아주었다. 평판 8일째 위쪽 배양배지를 제거하여 air-liquid interface(ALI)를 형성하여 세포의 상부를 공기에 노출시켰으며 이후 아래쪽 배양배지만 매일 갈아주었다. 배양은 마찬가지로 37℃ 5% CO2에서 시행하였다. 평판 13일째 배양기의 두 개의 well에는 IL-1β를 처리하지 않고 대조군으로 하였고 두 well에는 IL-1β 10 ng/ml를 나머지 두 well에는 IL-1β 20 ng/ml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Tri-Reagent(Molecular Research Center, Cincinnati, OH, USA)를 처리하여 세포로부터 총 RNA를 추출하였고 이를 RNA PCR kit Ver. 2.1(TAKARA Bio., Otsu, Shiga, Japan)을 이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다. 이때 PCR Thermal Cycler(TAKARA Bio.)에서 30℃ 5분, 42℃ 30분, 99℃ 5분, 5℃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위해 Table 1과 같은 시발체(primer)를 사용하였다. PCR Thermal Cycler를 이용하여 94℃에서 1분간 초기 변성 후 94℃ 40초, 58℃ 40초, 72℃ 1분간의 주기로 30회 반응시키고 72℃에서 10분간 반응시켜 증폭하였다. PCR 산물을 ethidium bromide(ETBR)가 포함된 1.5%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한 후 폴라로이드 필름으로 사진을 찍었다. Densitometry 프로그램(BIO1D Ver. 97, Vilbert Lourmat, Torcy, France)을 이용하여 Cav-1 밴드와 18S rRNA 밴드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18S rRNA 밴드의 강도에 대한 Cav-1 밴드의 강도의 비율을 구하여 처리한 IL-1β 농도별로 비교하였다.

Western blot 분석
   IL-1β 처치한 세포를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1 mM DTT, 10 μg Leupeptin, 10 μg Trypsin inhibitor, 2 μg Aprotonin, 1 mM PMSF, 1 μg Pepstatin)가 포함된 lysis buffer(320 mM Sucrose, 200 mM HEPES, 1 mM EDTA)로 용해시킨 후 초음파기를 이용하여 세포막을 파쇄시켰다. 파쇄한 시료는 BCA protein assay kit(Pierce, Rockford, IL, USA)를 사용해 단백질의 양을 정량하였다. 처리한 IL-1β 농도에 따라 각각 다른 lane에 단백질 20 μg을 넣어 10% SDS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된 단백질은 polyvinylidene difloride(PVDF) membrane(Millipore, Miliford, MA, USA)에 4℃에서 18 V로 밤새 전이시켰다. 이 막에 TBST(0.1% Tween 20, 10 mM Tris base, 100 mM NaCl, pH 8.0)에 녹인 5% non-fat dry milk를 실온에서 1시간 반 동안 처리하여 항체와의 비특이적 결합을 억제시킨 후 Cav-1에 대한 다클론 항체(1:2000,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Santa Cruz, CA, USA)와 β-actin에 대한 단클론 항체(1:5000, Sigma)로 밤새 반응시켰다. 10분마다 3회 TBST로 세척 후 Cav-1 다클론 항체로 반응시킨 막은 anti-rabbit IgG 다클론 이차항체(1:5000, Pierce)로 β-actin 단클론 항체로 반응시킨 막은 anti-mouse IgG 단클론 이차항체(1:10000, Pierce)로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다시 TBST로 10분마다 3회 세척하고 enhanced chemiluminescence(ECL kit, Pierce)에 막을 2분간 반응시킨 후 암실에서 X-ray 필름(Kodak, NY, USA)에 감광하였다. X-ray 필름을 현상 및 고정한 후 densitometry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av-1 밴드와 β-actin 밴드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β-actin 밴드의 강도에 대한 Cav-1 밴드의 강도의 비율을 구하여 처리한 IL-1β 농도별로 비교하였다.

결     과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결과 사람의 정상 코점막 상피세포에서 Cav-1 mRNA가 발현되었다. 이와 같은 Cav-1의 발현은 IL-1β를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Fig. 1).

Western blot 분석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결과와 같이 Western blot 분석 결과에서도 정상 사람 코점막 상피세포에서 Cav-1 단백질이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av-1의 mRNA 발현 양상과 동일하게 IL-1β를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단백질 발현 정도가 감소하였다(Fig. 2).

고     찰

   Cav-1은 세 가지의 caveolin 단백질 가족 중 가장 먼저 발견되었으며 caveolae 형성에 반드시 필요한 단백질이다. 반면에 Cav-2는 Cav-1과 이형과합체(hetero-oligomer)를 형성하고 있으며 caveolae 형성에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Cav-3는 Cav-1 상동유전자의 cDNA 라이브러리 검색을 통해서 발견되었으며 심근세포와 골격근세포의 형질막에 있는 caveolae를 구성하고 있다.3) Cav-1은 내피세포, 섬유모세포, 제 1형 폐포세포, 지방세포, 평활근세포 등에 풍부하게 존재하며 성장인자 수용체 단백질을 포함하는 여러 신호전달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여 일반적으로 증식 억제 기능을 나타낸다.
   최근 연구들은 다양한 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있어서 Cav-1이 관련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원발성 유방암과 구강 상피세포암에서 Cav-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었으며 갑상선암에서 Cav-1과 Cav-2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6,7,8) 또함 Cav-1 결손 마우스는 화학물질 유발성 피부 종양이 더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Cav-1은 종양 억제 유전자의 기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9)
   폐는 Cav-1이 가장 많이 발현되어 있는 조직 중의 하나로 폐포 내피세포뿐만 아니라 제 1형 폐포세포에도 풍부하게 발현되어 있다. Cav-1 결손 마우스의 폐세포에서는 과세포충실성(hypercellularity)과 폐포 중격이 두꺼워진 소견 등 과증식성의 표현형을 보였다.10) 이러한 소견은 Cav-1이 제한성 폐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Cav-1이 없는 지방세포는 세포의 지름이 감소하고 분화가 잘 되지 않은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비만과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소견이다.10)
   Cav-1은 혈관 생리 분야에서 가장 잘 연구되어 왔다. Cav-1은 혈관 내피세포에서 eNOS의 기능을 억제하고 있어 Cav-1을 결손시키면 Cav-1의 eNOS 억제효과가 사라지므로 강력한 혈관확장물질인 산화질소(NO)가 증가하여 혈관의 긴장도가 낮아진다.10) 또한 Cav-1 결손 마우스의 혈관내피세포에서 미세혈관 투과성이 증가하는 소견도 관찰되었다.11) 이러한 소견으로 미루어 Cav-1은 혈관 긴장도와 투과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단백질로 생각되며 죽상경화증과 같은 혈관질환의 병태생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 연구에서는 Cav-1을 완전히 결손시키면 죽상경화증 발생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도 하였다.12)
   한 연구에서 Cav-1은 Cav-2과 함께 후각상피세포에서도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 Cav-1은 G단백질과 같은 신호전달분자와 상호작용함으로써 후각신호를 전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4) 하지만 아직까지 사람의 정상 코점막 상피세포에서 Cav-1의 발현을 보고된 바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코점막 상피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는 ALI 방법으로 정상 코점막 상피세포를 배양하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과 Western blot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사람 정상 코점막 상피세포에 Cav-1이 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저자들은 사람 코점막 상피세포의 염증과정에서 Cav-1이 관련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강력한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IL-1β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Cav-1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처리한 IL-1β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Cav-1의 발현이 mRNA 수준에서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소견으로 미루어 Cav-1이 사람 코점막의 염증과정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른 세포에서도 아직까지 염증과정에서 Cav-1의 역할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Cav-1 결손 마우스를 이용한 실험에서 리포다당질(lipopolysaccharide)을 투여하였을 때 Cav-1 knock-out 마우스의 폐에 비해 Cav-1 wild-type 마우스의 폐에 중성구 분리가 많이 일어났고 미세혈관 투과성과 부종 형성이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Cav-1이 eNOS에 의한 NO 생성을 통해 리포다당질에 대한 염증 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고 하였다.13) 반면에 다른 연구에서는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Cav-1의 발현을 감소시킨 경우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인 TNF-α, IL-6가 증가하였고 염증억제 사이토카인인 IL-10이 감소하였으며 Cav-1의 발현을 증가시키면 반대의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Cav-1이 MKK3/p38 MAPK 경로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가진다고 하였다.14)
   사람 코점막 상피세포의 염증 과정에서 Cav-1의 역할을 밝히기 위해서는 이 과정에서 Cav-1이 관여하는 신호전달체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NOS)는 여러 세포에서 Cav-1과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NOS에 의해 생산되는 NO는 다양한 세포 손상 및 염증 기전에 관련되어 있다. 세 가지의 NOS 중에서 유도형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는 다른 동위효소와 다르게 칼슘의 농도와 관계없이 활성을 보이며 IL-1β, TNF-α, IFN-γ와 같은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에 의해 전사(transcription) 수준에서 발현이 조절되어 염증반응이 있을 때 다양한 세포에서 발현된다.15) iNOS는 정상 코점막 상피세포에서도 발현되며16) 정상 하비갑개 점막 상피세포에 비해 비용 상피세포에 더 많이 발현된다고 알려져 있다.17) 따라서 비용 발생의 병인론에 대하여 초기 염증반응에 의해 iNOS가 증가하고 다량의 산화질소가 생성되며 산화질소에 의해 염증이 지속되어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도 한다.17) Cav-1은 NOS의 caveolin 결합 motif와 상호작용함으로써 eNOS와 신경 산화질소 합성효소(neuronal nitic oxide synthase;nNOS)의 활성을 억제한다.2) iNOS도 이와 유사한 motif를 가지고 있지만 Cav-1이 다른 NOS와 마찬가지로 iNOS의 활성 억제 효과가 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18) 하지만 사람 대장암종 세포를 이용한 최근 연구에서는 Cav-1이 단백질 분해과정을 통해서 iNOS의 활성을 억제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19) 반면에 췌장 β세포를 이용한 한 연구에서는 IL-1β에 의해 인산화된 Cav-1은 Ras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함으로써 iNOS 발현과 산화질소 생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20) 이러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볼 때 코점막 염증과정 및 비용 발생에서 Cav-1과 iNOS가 관련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     론

   사람 코점막 상피세포에서 Cav-1이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인 IL-1β를 처리한 결과 Cav-1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사람 코점막의 염증 반응과정에서 유리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들의 영향으로 면역기전에 작용하는 Cav-1의 새로운 역할들이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Palade GE. Fine structure of blood capillaries. J Appl Phyiol 1953;24:1424-36.

  2. Razani B, Woodman SE, Lisanti MP. Caveolae: From cell biology to animal physiology. Pharmacol Rev 2002;54(3):431-67.

  3. Williams TM, Lisanti MP. The caveolin genes: From cell biology to medicine. Ann Med 2004;36(8):584-95.

  4. Schreiber S, Fleischer J, Breer H, Boekhoff I. A possible role for caveolin as a signaling organizer in olfactory sensory membranes. J Biol Chem 2000;275(31):24115-23.

  5. Yoon JH, Kim KS, Kim SS, Lee SM, Lee JH, Lee JG. Secretory differentiation of serially passaged normal human nasal epithelial (NHNE) cell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98;41(8):1008-14.

  6. Hayasi K, Matsuda S, Machida K, Yamamoto T, Fukuda Y, Nimura Y, et al. Invasion activating caveolin-1 mutation in human scirrhous breast cancers. Cancer Res 2001;61(6):2361-4.

  7. Han SE, Park KH, Lee G, Huh YJ, Min BM. Mutation and aberrent expression of Caveolin-1 in hum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oral cancer cell lines. Int J Oncol 2004;24(2):435-40.

  8. Aldred MA, Ginn-Pease ME, Morrison CD, Popkie AP, Gimm O, Hoang-Vu C, et al. Caveolin-1 and caveolin-2, together with three bone morphogenetic protein-related genes, may encode novel tumor suppressors down-regulated in sporadic follicular thyroid carcinogenesis. Cancer Res 2003;63(11):2864-71.

  9. Capozza F, Williams TM, Schubert W, McClain S, Bouzahzah B, Sotgia F, et al. Absence of caveolin-1 sensitizes mouse skin to carcinogen-induced epidermal hyperplasia and tumor formation. Am J Pathol 2003;162(6):2029-39.

  10. Razani B, Engleman JA, Wang XB, Schubert W, Zhang XL, Marks CB, et al. Caveolin-1 null mice are viable but show evidence of hyperproliferative and vascular abnormalities. J Biol Chem 2001;276(41):38121-38.

  11. Schubert W, Frank PG, Woodman SE, Hyogo H, Cohen DE, Chow CW, et al. Microvascular hyperpermeability in caveolin-1 (-/-) knock-out mice. Treatment with a specific nitric-oxide synthase inhibitor, L-NAME restores normal microvascular permeability in Cav-1 null mice. J Biol Chem 2002;277(42):40091-8.

  12. Frank PG, Lee H, Park DS, Tandon NN, Scherer PE, Lisanti MP. Genetic ablation of caveolin-1 confers protection against atherosclerosis.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4;24(1):98-105.

  13. Garrean S, Gao XP, Brovkovych V, Shimizu J, Zhao YY, Vogel SM, et al. Caveolin-1 regulates NF-kappaB activation and lung inflammatory response to sepsis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J Immunol 2006;177(7):4853-60.

  14. Wang XM, Kim HP, Song R, Choi AM. Caveolin-1 confers antiinflammatory effects in murine macrophages via the MKK3/p38 MAPK pathway. Am J Respir Cell Mol Biol 2006;34(4):434-42.

  15. Nussler AK, Billiar TR. Inflammation, immunoregulation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J Leukoc Biol 1993;54(2):171-8.

  16. Furukawa K, Harrison DG, Saleh D, Shennib H, Chagnon FP, Giaid A.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n the human nasal mucosa.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6;153(2):847-50.

  17. Watkins DN, Lewis RH, Basclain KA, Fisher PH, Peroni DJ, Garlepp MJ, et al.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the inducible isoform of nitric oxide synthase in nasal polyp epithelium. Clin Exp Allergy 1998;28(2):211-9.

  18. Garcia-Cardena G, Martasek P, Masters BS, Skidd PM, Couet J, Li S, et al. Dissecting the interaction between nitric oxide synthase (NOS) and caveolin. Functional significance of the nos caveolin binding domain in vivo. J Biol Chem 1997;272(41):25437-40.

  19. Felley-Bosco E, Bender FC, Courjault-Gautier F, Bron C, Quest AF. Caveolin-1 down-regulate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via the proteasome pathway in human colon carcinoma cells. Proc Natl Acad Sci U S A 2000;97(26):14334-9.

  20. Veluthakal R, Chvyrkova I, Tannous M, McDonald P, Amin R, Hadden T, et al. Essential role for membrane lipid rafts in interleukin-1beta-induced nitric oxide release from insulin-secreting cells: Potential regulation by caveolin-1+. Diabetes 2005;54(9):2576-85.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