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두경부에 발생하는 결손은 해부, 생리학적인 기능 결손을 초래하여 정상적인 사회 활동이 불가능하고 고통적인 삶을 이어가게 한다. 기원전 2000년 전 경부터 인도에서는 형벌에 의해 절제된 코를 성형하는 수술이 행하여지면서 두경부 재건의 기원을 이루었다.1) 이러한 결손은 외상이나 선천적 결손, 감염 등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나 대부분 두경부 종양의 절제 후 발생한다. 과거에는 종양의 수술 후 두경부에 남게 되는 결손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하, 구음 등 생명 유지에 가장 중요한 생리 기능의 장애를 극복하지 못하는 것이 두경부 종양 환자의 수술에서 주된 제한점이 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30년 동안 두경부 수술 영역에서 재건술이 가장 급격히 발달해온 분야로 성장하여 두경부 수술의 발달을 같이 유도하면서 두경부 종양의 수술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미세혈관 문합을 이용한 유리 피판의 개발로 과거 재건이 불가능하던 해부학적 부위의 재건이 가능해지고 두경부의 생리 기능 회복도 꾀하는 방법들이 소개되면서 수술에 따른 장애와 합병증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2)
이러한 두경부 재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첫째, 대부분의 두경부 종양은 원격전이 보다는 종양의 국소 침윤이나 경부 림프절 전이가 환자의 치료 및 종양에 의한 사망과 직접 관련이 있어 수술 등에 의한 국소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국소 치료를 위한 종양의 절제는 이에 따른 해부 생리학적 장애를 남기게 되며 두경부는 해부학적 특성 상 신체의 다른 부위의 수술과는 달리 이러한 면에서 종양 절제의 제한점이 있다. 또한 종양의 안전 절제연을 약간만 확장하여 절제하여도 많은 기능적, 미용적 장애를 남겨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둘째로는 이렇게 장애를 남기는 광범위 절제 수술, 특히 최근에는 경동맥 등의 중요 해부학적 구조물을 포함하여 절제하는
'초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고 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가 발달하였지만 최근 30년간 두경부 종양 환자의 생존률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이다.3) 이러한 관점이 두경부 종양의 원발 병소와 국소 치료의 효율성을 다시 한번 살펴보는 계기가 되어 최근에는 좀 더 완전하고 광범위한 국소 절제를 통한 원발 병소의 치료 후 보다 효율적이고 장애를 덜 남기는
'기능적 재건술(functional reconstruction)'을 실시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4) 또한 꾸준한 생존률의 개선과 이에 따른 환자들의 장기 생존을 고려할 때 기능적 재건은 종양의 치료에 못지않게 중요한 관점이며 두경부 종양의 환자를 치료하는데 항상 우선 고려해야 할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 들을 고려하여 이번 학회지의 정보는 두경부 재건술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 최근 두경부 재건술의 주안점 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두경부 재건술의 역사와 배경
최근 30년간 두경부외과 영역에서 가장 괄목할만한 발전은 이러한 두경부 재건분야이다. 1940년대 이후 두경부 암 환자의 생존률 개선과 기능 재활을 위하여 방사선 치료법과 광범위한 수술법이 개발되고 경부곽청술을 동시에 연결하여 실시함으로써 원발 병소뿐 아니라 경부 림프절 전이에 대한 제거를 동시에 실시하는 복합치료의 개념이 시작되면서 비록 환자의 생존률은 개선되었으나 두경부 재건술은 두경부 종양을 제거하는 이러한 방법들과 보조를 맞추어 발전하지 못하였고 이에 따른 중요한 기능적, 미용적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 입원이 필요하거나 사회로부터 격리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손부위에 대한 여러 장애뿐 아니라 이에 따르는 치명적인 합병증 등으로 인한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새로운 방법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였다. 1960년대까지도 지나친 재건을 불필요한 것으로 여겨왔으나 1960년대에 여러 가지 피판이 개발되고 재건술의 발달로 인하여 과거 제거가 불가능하였던 부분의 광범위한 절제가 가능하여졌고 수술 후의 외관상의 기형이나 기능적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면서 두경부 재건술의 개념이 정립되었다.
역사적으로는 1842년 Mutter가 경부-견갑피판(neck-shoulder skin flap)을 처음으로 두경부 재건에 이용하였다.5) 1960년대에는 Bakamjian에 의한 삼각흉부피판(deltopectoral flap)과 McGregor의 전두피판(forehead flap) 등의 축성(axial) 국소피판 들이 두경부 재건에 이용되었고 70년대부터는 독립된 혈관경을 가지고 있는 대흉근피판(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등의 근피판(myocutaneous, musculocutaneous flap)들이 개발되면서 재건술의 방법이 많이 향상되었다.6)7)8)9) 70년대 후반부터는 미세수술 술기의 발달과 함께 유리피판술이 보편화되면서 전완유리피판(radial forearm free flap), 외측상완피판(lateral arm free flap), 족배피판(dorsalis pedis free flap) 등의 근막피판(fasciocutaneous flap)이 점막이나 피부의 재건에 이용되었고 하악골 등의 골 재건을 위하여 장골(iliac), 비골(fibula), 견갑골(scapula) 등의 골피판이 소개되었으며 90년대부터는 감각신경이나 운동신경의 재분포가 가능한 신경지배피판(innervated flap)이 개발되어 구강 및 인두 재건의 기능적 재활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었다.10)11)12)13)14)
두경부 재건 시 고려 할 점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 두경부 재건의 중점은 기능 회복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두경부를 기능적으로 재건하려면 두경부 영역의 생리적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이다. 두경부의 중요한 기능으로는 언어 구사, 저작, 연하기능과 맛, 접촉, 냄새 등의 감각기능이 있다.15) 이러한 생리 기능을 이용하여 두경부는 사회생활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두경부 재건은 과거에 결손 부위를 단순 봉합하거나 국소 조직을 이용하여 덮어주던 수준에서 벗어나 기능 재건과 미용적 측면이 강조되고 있고 최근에는 언어구사나 연하 과정의 역학을 이해한 후 이를 바탕으로 삼차원적 재건이나 감각이나 운동 회복을 꾀하는 감각 또는 운동 회복 유리 피판 등이 시도되고 있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상을 요약하면 두경부 재건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첫째, 두경부 종양 수술 후에는 항상 3차원적 구조를 갖는 결손을 남기게 되며, 둘째, 이러한 결손이 위에서 언급한 생리학적 기능을 갖는 부위에 발생하여 많은 기능 장애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셋째, 이와 같은 결손의 재건에는 단순한 피부나 점막 뿐 아니라 근육, 신경, 골 조직 같은 다양한 조직의 복합이 필요하며 넷째, 수술 부위가 항상 외부에 노출되고 타액 등에 의해 쉽게 감염될 수 있는 부위에 있어 혈류 공급이 풍부한 조직을 재건에 이용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생리적 기능의 회복을 꾀할 수 있는 재건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두경부 재건에 이용하는 방법들
두경부 재건에 이용하는 방법은 새로운 방법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Table 1과 같은 방법들이 과거부터 계속 이용되고 있으며 재건의 방법을 선택 할 때에는 가장 간단한 위의 방법부터 아래의 복잡한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는 피판술이 주로 이용되는데 이 중 유리 피판술은 풍부한 혈류 공급을 받아 창상 치유가 빨리 진행되고 이식하는 피판의 다양한 도안이 가능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차 선택 사항이다. 유경 피판도 경험이 풍부한 외과의인 경우 피판의 도안을 잘 만들면 여러 부위의 재건이 가능하기도 하나 유리 피판에 비하여 봉합부의 혈류 공급이 풍부하지 않고 피판의 도안에서도 제한이 있다. 예를 들면 구강암 절제 후 발생한 결손에 대해서는 전완 유리 피판을 이용하면 결손에 따른 다양한 모양의 피판 도안이 가능하나 대흉근 피판을 사용하면 유경판에 의한 제한과 피판의 용적에 따른 제한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16)
두경부 각 부위 재건의 최신 방법
구강의 구조 중 구순에 발생하는 종양의 빈도는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구순의 결손은 흔하지는 않으나 구순의 재건은 외양적인 면과 구음(articulation) 및 구강 괄약기능(oral competence) 등의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해부학적으로 구순은 피부, 구륜근(orbicularis oris muscle)과 점막의 세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피부점막 경계부(vermilion border)가 매우 중요하므로 재건 시 필히 보존하여야 한다. 재건의 목적은 구강 괄약기능(oral competence)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근육의 연속성을 유지하며 감각기능을 보존하며 구강의 둘레를 최대화하여 정상적인 구조로 재건하는데 있다. 재건방법에는 동측의 남아있는 부분을 이용하거나 반대 측의 구순 혹은 인접한 부위의 조직을 이용하며 이들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원격 피판을 사용한다.17) 결손부가 구순 전체의 1/3 이하인 경우에는 국소 피판으로 2/3까지의 결손은 Karapandzic 피판이나 Gillies fan 피판 같은 방법으로 재건하며 전 구순의 결손에는 감각 신경 재생을 이용한 전완유리 피판 같은 유리 피판 들이 이용되고 있다.17)
구강 내 작은 병변은 일차 봉합으로 대부분 결손의 처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대부분 구강 협부 점막이나 혀와 같이 혈류 공급이 좋고 주변 조직의 탄력성이 풍부한 조직에서 가능하다. 그러나 일차 봉합에 의한 결손의 처치가 잘 안된 경우에는 혀의 운동성이 떨어지고, 구음이나 연하 작용이 방해 받게 되며 수술 후 방사선 치료에 의해 이러한 장애가 더 심해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구강 내 국소 피판인 구개 피판이나 협근점막피판(buccinator myomucosal flap)을 이용하면 대부분의 중간 크기의 결손을 재건할 수 있다.18)19) 구강 설 1/2 이상이나 협부의 큰 결손의 재건에는 전통적으로 대흉근 피판 같은 근 피판이 이러한 결손의 재건을 위해 사용되어 왔지만 용적이 너무 커서 구강 내에서 조작하기 어렵고 수술 후 구강 기능 유지가 어려워 미용적이나 기능적인 결과가 좋지 않았다. 이러한 구강 내 결손의 재건을 위해서 현재는 전완 유리 피판이 가장 좋은 선택으로 알려져 있다. 넓은 표면적, 유연성, 적절한 부피 등이 상부 소화-호흡계의 결손을 막는데 이상적이고 언어와 연하 기능 회복에 적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피판의 도안을 결손에 맞추어 재건 후 구강의 생리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방법 들이 개발되어 기능 회복을 한결 용이하게 하였고 감각 신경 문합을 통한 이식 피판의 감각 재생도 성공적으로 보고 되고 있다.20)21) 이러한 구강 재건의 원칙은 생리적 작용 시에 발브(valve)로 작용하는 구강 내 각 부위의 생리적 변화를 이해하여야 하는데 재건 후 구순의 폐쇄가 잘 일어나야 하고 구강 내 가동 설과 구강저 부위를 분리된 구조로 재건하여 구강 설의 가동성을 최대한 유지하고 구강 전정을 잘 보존하여 저작 시에 음식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야 하며 재건 후 혀의 높이를 충분히 유지하여 구음 및 연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19) 혀의 전절제술 후의 재건은 특별히 어렵다. 이 경우 연하와 구음 작용에 중심 역할을 하는 혀가 전부 소실되므로 완전한 기능 회복을 기대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상적인 재건 방법으로는 일반 근피판 재건 후 가장 문제가 되는 이식 피판의 단계적 용적 감소가 없는 피판을 사용하여야 재건 후에도 구강 내 혀의 용적이 충분한 소위‘말 안장 모양(saddle back)’을 유지하여 연하나 구음 시에 재건한 혀가 구개와 접촉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감각 신경의 재생으로 연하 반사가 잘 일어나야 하며 연하 시 후두가 거상되어 설근부 바로 아래로 이동하여 하부 호흡기를 보호 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상적인 조건에 근접하는 피판으로는 운동 신경을 보존하여 피판의 위축을 막고 감각 회복을 꾀하는 복직근 유리 피판이나 감각 재생을 꾀할 수 있고 커다란 피부판 사용이 가능한 전대퇴부 피판 등이 이용되고 있다.22)23)
하악골의 결손은 구강 기능에 심각한 장애를 남긴다. 하악골에 종양이 침범하여 하악골의 결손이 발생하면 이를 반드시 재건하여야 한다. 현재 하악골의 재건은 유리 피판을 이용한 골 조직과 연부 조직의 재건이 가장 적절한 재건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하악골 재건의 첫 단계는 결손부를 정확히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일단 골 및 연부 조직의 결손이 분류되면 다음 목표는 결손에 따른 기능과 형태의 회복을 위한 적절한 피판을 도안하는 것이다. 이상적인 재건은 하악골 원래의 모양을 유지하여 미용적인 결손을 최소화 하는 것이며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저작, 연하, 구음 기능이 유지되고 적절한 기도의 유지 등이 중요하다.24) 현재 사용하는 방법 중 가장 이상적인 재건에 접근하는 방법으로는 비골 골-피부 피판이 일차 선택 방법이며 장골 유리 피판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공여부는 감각 신경의 이식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피판 도안이 가능하다.25)
안면 중앙부의 결손(midfacial defects)은 부비동이나 안와의 손상이나 종양 적출 후 발생한다. 이 부분의 결손의 경우 피판의 도안이 어려운 3차원적 복잡성이 있어 이상적인 재건이 어렵다. 미적인 관점에서도 안면 중앙부는 개인의 얼굴로서 인지되는 부분일 뿐만 아니라 및 표정을 짓는 부위이며 기능적으로는 중추신경계로 연결되어 중추 신경계 감염의 관문 역할을 하고 정상 언어 구사와 연하에도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2) 기능적인 재건의 목적은 중추 신경계 감염을 막고 폐쇄된 빈 공간을 없애야 하며 미적인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 안와 적출 후 같이 결손이 큰 경우에는 복직근 유리 피판을 사용하며 다양한 3차원적 재건이 필요한 부위에는 전완 유리 피판이나 전대퇴 유리 피판을 사용한다. 비강이나 구강 내부 결손의 재건에는 국소 피판이나 보장구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상악적출 후 비골 피판을 이용한 복합 조직 유리 피판을 이용한 재건으로 장애를 남기지 않는 재건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26) 최근에 안면 중앙부의 재건 방법이 많이 발달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구개 재건은 가장 어려운 부분이고 아직도 많은 도전과 시도가 행하여지는 부위이다. 구개 재건의 목표는 첫째, 비강과 구강이 분리되고 둘째, 언어 구사 시 알아들을 수 있는 명료한 발음의 유지이며 셋째, 정상 연하 및 저작 기능의 유지 넷째, 미용적인 측면의 회복 이다. 이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서는 환자와 재건하는 의사의 기술과 능력, 치과보철의사와 언어치료사 등의 의료인의 절대적인 협동이 필요하다. 구강 보조기가 한때 구개 결손부 재건의 주류였던 때도 있었으며 자가 조직을 이용한 재건방법이 보철기술과 함께 발달하여 좋은 기능적 미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경구개의 재건은 구강 보조물이나 골 조직과 연부 조직을 동시에 재건하는 견갑골이나 비골 골-피부 유리 피판이 주로 이용되며 연부 조직만이 필요한 경우에는 요전 유리 피판이나 전 대퇴 유리 피판을 이용한다. 연구개의 재건은 두경부 재건 중 가장 어려운 부위인데 이는 연구개가 정상 연하 및 구음 과정에서 계속 운동을 하며 생리 기능을 하는 특성 때문이다. 결손부의 재건에는 구강 보조기나 국소 피판 등이 과거에는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전완 유리 피판 등을 이용한 가동성 유리 피판(dynamic free flap) 등의 방법이 개발되어 왔고 전 연구개 결손에는 전완 유리 피판과 구개 피판 같은 국소 피판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외측 개구공을 만들어 주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27)
구인두, 하인두, 경부 식도의 결손은 부분 결손과 전체 직경의 결손으로 구분한다. 부분 결손에는 유경 피판이나 유리 피판 모두의 샤용이 가능하나 전체 직경의 결손에는 공장 유리 피판이나 전완 유리 피판 등이 바람직하다. 이 부위의 재건에는 과거에 위 거상 피판이나, 유경 피판을 말아서 사용하기도 했으나 이 같은 방법들은 환자의 합병증을 증가시켜 왔다. 유리 피판으로 많이 이용되는 공장 유리 피판은 피판 이식 후 연하 기능은 훌륭하지만 음성 재활이 어려운 경우가 있어 최근에는 전완유리 피판 같은 피부 피판이 선호되기도 한다.2) 최근에는 후두나 하인두의 진행암에서 전완 유리 피판 등을 이용하여 후두의 고유 기능을 보존하는 방법들이 소개되어 보다 높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28)
두경부 재건 방법의 선택
두경부 종양을 절제 할 경우에는 반드시 재건술을 고려를 해야 한다. 동일한 병기의 환자들에서도 내과적 전신 상태나 예후에 따라서 재건 방법의 선택은 달라야 하는데 예를 들어 전신 상태가 불량한 환자의 경우에는 수술 후 기능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국소 피판이나 근거리 피판을 이용한 재건을 선택하여 수술 시간이나 공여부의 빠른 회복을 유도하여야 한다. 유리 피판을 이용하여 재건함으로서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전설적출 환자의 경우에서도 수술 후 기능적 결과 보다 환자의 전신적, 환경적 지표 이외에 제일 중요한 것은 환자 개개인의 상태이다. 어떤 재건술을 시행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 수혜부가 어떠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해야 하며 빠른 창상 치유를 유도할 수 있도록 공여부 및 수혜부의 해부 생리학적 특성을 항상 기억해야 한다. 그동안 여러 연구에서 유리 피판술이 다른 재건술에 비해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공여부 혈관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나 이전에 몇 차례 피판이 실패한 경우, 환자의 생명이 얼마 남지 않았을 경우 등에서는 여전히 금기가 되는 경우가 있다. 즉 재건 방법의 선택은 환자의 결손부와 전신 상태, 환경 요소를 고려하여야 하며 집도의의 기술 능력과 병원의 환경 요인 등을 모두 고려하여 신중한 선택을 하여야 한다.29)
두경부 재건 후의 기능적 재활
두경부 재건 후의 기능적 재활은 수술 전후의 여러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평가 역시 저작, 연하, 구음 및 구강 폐쇄 유지 등의 다양한 관점이 판단되어야 한다. 구강에서는 재건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연조직의 섬유화와 하악골의 재편위에 의한 개구장애와 부정교합(malocclusion)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 구강의 구(oral sulcus)는 일차적 재건 시 거의 모두 소실되므로 이들을 이차적으로 피판의 부피를 감소시키거나 추가적인 피부이식으로 만들어 주어야 하고 특히 전치순은구(anterior gingivobuccal sulcus)는 치과적 재활 등의 구강기능에 중요하므로 다시 재건해 주는 것이 좋다. 치과 재활은 유리 피판술을 제외한 기타 재건 방법에서는 만족할 만한 재건 시에도 의치 사용이 가능한 경우가 약 10% 정도로 아직 낮은 편이다. 장골이나 비골 피판의 경우는 치아매식(osteointergrated dental implant)이 술 후 4개월 후면 가능하며 정상인과 비교하여도 기능적으로 손색이 없다.30) 두경부 재건은 정상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목적이 되어야하며 유리 피판 같은 이식 후 기능적 재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 유리 피판 같은 새로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더 나은 기능적 결과에 대한 연구가 더욱 더 필요할 것이다.
두경부 재건술의 미래
미세 혈관 문합 시 사용하는 확대관찰방법은 기술적으로 계속 발전하고 있다. 과거에는 확대경(loupe)으로 90% 이상의 수술 성공률을 보고하였으나 최근 혈관직경이 1 mm이하인 소아의 경우 등에서는 좀 더 배율이 좋은 수술현미경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 다른 확대방법으로는 3차원적 화상 미세수술(three-dimensional on-screen microsurgical system, TOMS)에 의한 방법이 있다. 임상에서도 이 기구를 이용하여 양안을 사용하는 수술현미경을 카메라에 부착시켜 이것이 화면에 나타나도록 하여 술자가 특수한 안경을 착용하여 깊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혈관 문합을 시도 하는 방법이다.31)
혈관 문합의 방법은 좀 더 새롭게 개선된 문합방법 들이 연구되고 있는데 최근 레이저를 이용한 문합을 실시하여 성공적인 혈관통과율과 수술시간의 감소를 이루는 방법들이 실험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10600 nm
CO2 레이저나 514-488 nm argon 레이저, 830 nm diode 레이저를 이용하여 미세동맥류 형성없이 문합하는 개선된 방법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를 이용한 문합은 임상적에서도 사용이 보고된바 있는데 이의 주요 장점은 문합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32) 또한 3 M 반지핀 체계 같은 기구들도 시간을 줄이고 손쉽게 문합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개발 되고 있으나 아직 숙련된 사람에 의한 방법을 대체하지는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피판 채취 방법이 보고 되고 있다. 이 방법은 Fine 등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 되었다. 내시경을 이용하여 광배근피판을 채취하는데 공여부 절개를 최소한으로 하여 채취하는 과정을 보고하였지만 채취에 걸리는 수술시간이 4시간여에 이르게 되고 수술 방법이 좀 더 어렵다고 하였다.33) 복직근피판의 채취도 이러한 방법으로 사체실습에서 보고 되고 있고 대망피판, 공장피판 등을 채취하는 동물적 실험이 연구되고 있다. 미래에는 이러한 내시경법을 이용한 기법으로 반흔을 줄이고 수술시간과 비용, 피판 생존률, 합병증 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미래에 발달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새로운 분야는 피판 공여부를 준비하여 피판을 미리 만들어 놓는 전조립(prefabrication) 벙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혈관경과 임의 형태의 연부조직이나 골조직들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 조직이식 형태로 만들어서 수혜부로 전이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는 동일한 조직성질을 가진 유리피판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코나 이개 등을 만들어 줄 수 있도록 복합형태로 조각하여 이전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34)
사체를 이용한 동종이식은 기능적으로 복잡한 기관을 재건할 때 쓰일 수 있는데 후두, 혀, 기관, 하악골 등의 재건에 연구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전 기관의 동종이식은 적절한 기관의 기능회복을 위하여 실험적인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암환자에서 이식으로 인한 면역억제치료를 받아야 하면서도 환자치료에 해롭지 않게 하는 방법 등을 연구하고 있다.
기타 연구되는 방법으로는 조직 확장기와 유리이식술을 병합함으로써 피판의 공여부의 장애나 이병률을 줄일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최근에는 감염의 저항력이 강한 hydroxyapatite 인공물질인 biocomposite가 두개나 하악의 결손재건에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35) 주요기관의 기능회복을 위하여 감각 유리 피판을 사용하여 연하작용이나 언어구사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구강인두 재건 방법 들이 연구되고 있다.
결 론
두경부에 발생한 결손을 적절히 재건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기술한 다양한 재건 방법 들에 대해 완전히 이해해야 한다. 두경부 영역에서 대부분의 결손에서 유리 피판술이 필요 한 것은 아니며 국소 피판 같은 전통적 수술법이 작은 결손을 재건하는데 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결손 부위가 큰 경우 유리 피판이 필요 하게 된다. 유리 피판은 수술술기가 어렵고 실패의 가능성도 있으며 수술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재건 방법을 선택하는데 있어 신중해야 한다. 요즘은 여러 기관에서 수술팀이 두팀으로 이루어져 한쪽에서는 유리 피판을 채취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종양적출 수술을 같이 진행함으로서 수술시간이 많이 줄이게 되었다. 유리 피판의 이식 실패율은 혈관 문합 후 종래에는 약
2~8% 사이였으나 혈관경이 크고 긴 유리 피판에서는 실패율이 1%이하로 떨어져 실패율은 더 이상 큰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아직 실패율과 수술 시간은 술자의 기술에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여전히 수술 방법을 결정 하는데 수술하는 사람의 기술이 중요한 요인이 되며 환자의 전신 상태, 공여부의 합병중 및 수술 후 기능적인 변화, 경제적 요인 등을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앞으로 두경부 재건의 방향은 유리 피판을 이용한 기능적 재건(functioanl reconstruction)에 그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두경부의 기능적 재건의 개념을 요약해 보면 첫째, 두경부의 다양하고 복잡한 해부 생리학적 기능을 이해하여 결손을 분석하여야 하며 둘째, 이러한 기능 회복을 최대한 꾀할 수 있는 재건의 방법을 선택하여야 하며 셋째, 이를 통하여 좀 더 광범위하고 안전한 원발 병소의 수술이 가능해 지고 마지막으로 이를 통하여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보다 완전한 기능 회복을 이루는데 있다고 하겠다.
지금까지 약 30년간 두경부 영역의 재건술은 눈부신 발전해왔으나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 하고 보다 발전할 수 있는 분야라고 하겠다.
REFERENCES
-
Davis JS.
The story of plastic surgery. Ann Surg 1941;113:641-5.
-
Geoffrey CG, Gregory RD. Advances in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Plast Reconstr Surg 2000;106:672-83.
-
Silverberg E, Boring CC, Squires TC.
Cancer statistics 1990. Cancer J Clin 1990;40:9-13.
-
Kroll SS.
An Overview of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In Kroll SS, editor. Reconstructive Plastic Surgery for Cancer. 1st Ed. St. Louis: Mosby;1996.
-
Haughey BH, Wilson EP.
Free tissue transfer. In: Cummings CW, Fredrickson JM, Harker LA, Krause CJ, Richardson MA, Schuller DE, editors.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3rd ed. Mosby Co; 1998. p.171-86.
-
Flood J, Hobar PC. Head and neck II: Reconstruction. Selected Readings in Plastic Surgery 1995;8:2-46.
-
McGregor IA, Morgan C. Axial and random pattern flaps. Br J Plast Surg 1973;26:202-13.
-
Ariyan S. The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Plast Reconstr Surg 1979;63:3-81.
-
Baek S, Biller HG, Krepsi Y, Lawson W.
The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island flap for reconstruction of the head and neck. Head Neck 1979;1:293-300.
-
Hayden RE. Microvascular free flap for soft tissue defect. Otolaryngol Clin Nor Am 1991;24:1343-66.
-
Kuriloff DB, Sullivan MJ.
Mandibular reconstruction using vascularized bone graft. Otolaryngol Clin Nor Am 1991;24:1391-418.
-
Urken ML, Biller HF. A new bilobed design for the sensate recial forearm flap to preserve tongue mobility following significant glossectomy.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4;120:26-32.
-
O'Leary MJ, Martin PJ, Hayden ME.
The neurocutaneous free fibular flap in mandibular reconstruction. Otolaryngol Clin Nor Am 1994;27: 1081-96.
-
Stepnick DW, Hayden RE. Options for reconstruction of the pharyngoesophageal defect. Otolaryngol Clin Nor Am 1994;27:1151-8.
-
Alain S. Oropharyngeal reconstruction: Current state of the art. Otolaryngol Head and Neck Surg 2003;11:251-4.
-
Nabawi A, Gurlek A, Patrick CW Jr, Amin A, Ritter E, Elsharaky M, et al. Measurement of blood flow and oxygen tension in adjacent tissues in pedicled and free flap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Microsurgery 1999;19:254-7.
-
Hamilton MM, Branham GH. Concepts in lip reconstruction. Otolaryngol Clin North Am 1997;30:593-606.
-
Tal H, Bichacho N, Imber S, Kornowski Y, Nemkovsky CE.
Rotatory palatal flap: A functional and aesthetic solution in enentulous sites. Prac Proced Aesthet Dent 2004;16:599-606.
-
Zhao Z, Li S, Yan Y, Li Y, Yang M, Mu L, et al. New buccinator myomucosal island flap: Anatomic study and clinical application. Plast Reconst Surg 1999;104:55-64.
-
Urken ML, Biller HF.
A new bilobed design for the sensate radial forearm flap to preserve tongue mobility following significant glossectomy.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4;120:26-31.
-
Urken ML.
The restoration or preservation of sensation in the oral cavity following ablative surgery.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5;121:607-12.
-
Yamamoto Y, Sugihara T, Furuta Y, Fukada S. Functional reconstruction of the tongue and deglutition muscles following extensive resection of tongue cancer. Plast Reconst Surg 1998;102:993-8.
-
Yu P.
Reinnervated anterolateral thigh flap for tongue reconstruction. Head Neck 2004;26:1038-44.
-
Urken ML.
Advances in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Laryngoscope 2003;113:1473-6.
-
Ritvik PM, Daniel GD. Mandibular reconstruction in 2004: An analysis of different techniques. Otolaryngol Head and Neck Surg 2004; 12:288-93.
-
Kazaoka Y, Shinohara A, Yokou K, Hasegawa T. Functional reconstruction after total maxillectomy using a fibular osteocutanesou flap with osseointergrade implants. Plast Reconst Surg 1999;103:1244-6.
-
Paul GS. Hard and soft palate reconstruction. Otolaryngol Head and Neck Surg 2003;11:225-9.
-
Chantrain G, Deraemaecker R, Andry G, Dor P.
Wide vertical hemipharyngolaryngectomy with immediate glottic and pharyngeal reconstruction using a radial forearm free flap: Preliminary results. Laryngoscope 1991;101:869-75.
-
Eben LR, Susan FD. Free flap complication: When is enough, enough? Otolaryngol Head and Neck Surg 2003;11:236-9.
-
Jeremy DV, Brian BB.
Functional outcomes after free flap reconstruction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Otolaryngol Head and Neck Surg 2004;12:305-10.
-
Shenaq SM, Klebuc MJ, Vargo D.
Free-tissue transfer with the aid of loupe magnification: Experience with 251 procedures. Plast Reconstr Surg 1995;95:261-9.
-
Lewis WJ, Uribe A.
Contact diode laser microvascular anastomosis. Laryngoscope 1993;103:850-3.
-
Fine NA, Orgill DP, Pribaz JJ. Early clinical experience in endoscopic-assisted muscle flap harvest. Ann Plast Surg 1994;33:465-9.
-
Abbase EA. Prefabricated flaps: Experimental and clinical review. Plast Reconstr Surg 1995;96:1218-25.
-
Angel MF, Mellow CG, Knight KR, Coe SA, O'Brien BM.
A biochemical study of acute ischemia in rodent skin free flaps with and without prior elevation. Ann Plast Surg 1991;26:41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