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신저자:정유삼, 405-760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1동 1198
가천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전화:(032) 460-3763 · 전송:(032) 467-9044 · E-mai:yschung@ghil.com
서
론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비성형술의 중요성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비배부에 곡비(hump)가 있을 경우 작은 변형으로도 코의 모양이 왜곡되어 보이며 개인의 인상 또한 달라져 보이게 된다.1) 이 곡비의 수술에는 절골도(osteotome)와 강판(rasp)이 주로 이용되는데, 비배부의 피부의 두께와 비골의 두께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축비술시 여러 가지 문제점이나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술자의 풍부한 경험과 정확하고 세밀한 교정이 필요하다. 본 교실에서는 비성형술을 위해 개발된 microdebrider를 축비술에 이용하였으며, 이 기구의 유용성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1999년 12월부터 2001년 3월까지 비성형술을 위해 가천의대 길병원으로 내원한 환자중 곡비 및 사비가 있는 총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축비술이 필요한 경우 microdebrider를 이용하였다. 환자들의 연령은 만 22세에서 49세 사이로 평균 연령은 32세였으며 남녀비는 7:4였다. 이중 곡비만을 가진 환자가 6명, 그리고 사비(deviated nose)와 곡비가 동반된 환자가 5명이었다. 11명의 환자중 3명은 비내접근법을, 나머지 8명은 비외접근법을 이용하였다. 곡비만 있었던 6명의 환자 중 5명은 microdebrider만으로 수술하였으며 이중 3명에서 비내접근법으로 수술하였다. 다른 1명과 사비를 동반한 5명의 환자에서는 먼저 osteotome으로 제거 후 추가적인 골제거나 표면을 다듬는데 microdebrider를 이용하였다(Fig. 1).
방 법
수술에 이용한 기구는 XOMED®사의 XPS 2000 Microresector System중 비골을 다듬는데 사용될 수 있게 고안된 microdebrider를 이용하였다. 여기에는 FeatherTouch TM Automated Rasp, RhinoBurTM, Pediatric Round BurTM, Tardy MicroburTM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Automated Rasp과 Pediatric Round BurTM를 주로 이용하였다(Fig. 2). Automated Rasp은 곡비의 높이가 4 mm 이하로 국소적인 제거가 필요한 경우 처음부터 이용하였으며, osteotome으로 곡비를 제거 후 생긴 ‘open roof’를 매끄럽게 다듬거나, 곡비 제거 후 남아있는 국소적인 곡비나 골편들을 제거하는데 이용하였다. 또 전통적인 resp으로 도달하기 힘들거나 왕복운동이 어려운 곳에 위치한 경우에도 이용하였다. Pediatric Round BurTM는 작은 골편의 제거나 Automated Rasp으로 작업 후의 세밀한 교정에 주로 이용하였다.
결 과
수술 후 환자들의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0개월이었으며 11명의 환자 중 10명은 만족 하였지만 1명은 약간의 곡비가 남아있어 만족해 하지 않았다. 술자들이 판단하기에는 9명에서는 만족할 만한 교정이 이루어졌으나 2명에서는 약간의 곡비가 관찰되었다. 비배부의 불규칙성은 모든 예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고 찰
지금까지 곡비의 제거시 주로 rasp과 osteotome을 많이 사용하였다. Rasp은 곡비가 크지 않을 경우 전체 곡비의 제거시, 또는 국소적으로 곡비를 다듬는데 사용될 수 있고, osteotome으로 곡비를 제거한 후 생기는 open roof를 이루는 비골의 비배부의 표면을 다듬는데 사용되어 왔다.1)2) 그러나 rasp의 문제점으로는 rasp의 사용시 무리한 힘을 가할 경우 상외측비연골에 적출손상(avulsion injury)을 줄 수가 있으며, 왕복 운동시 주위 연부 조직에 손상을 주어 출혈이나 부종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수술중 환자에 대한 평가를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rasp에 의해 발생된 골편(bone spicule)이나 골분(bone dust)들이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을 경우 술후 비배부의 불규칙성을 야기할 수 있다. Osteotome후의 흔한 문제로는 비배부의 과도한 제거로 인해 과교정이 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배부가 넓어지거나 안장코(saddle nose)가 발생할 수 있다.3)
저자들은 이런 합병증들을 줄이고자 최근 비성형술을 목적으로 고안된 microdebrider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작업 부위를 제외하고는 덮개가 있어서 주위의 연부조직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있어, rasp의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반상출혈이나 부종등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접근법으로는 비내 접근법과 비외접근법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었으며 비내접근법에서 내시경과 같이 사용시 rasp의 경우 잘 보이지 않았던 부위에도 좋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원하는 부위를 정확히 제거할 수 있었다.
문헌에 고찰된 microdebrider의 적응증으로는 rasp과 마찬가지로 osteotome을 사용후 추가적인 골조각의 제거나 표면을 다듬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곡비의 높이가 4 mm이하로 국소적인 경우 처음부터 microdebrider만으로도 곡비를 제거할 수가 있다. 이 기구의 장점은 rasp의 왕복 운동이 곤란한 한정된 공간에 불규칙한 면이 있을 경우 세밀한 작업이 가능하며, rasp의 특징인 왕복운동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주위 연부 조직에 상처가 적다. 또한 직시하에서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쉽고 작업 부위에 흡입구가 같이 있어서 골제거시 발생된 골분이나 골편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4)5) 본 연구에 사용된 Automated Rasp은 왕복 운동 범위가 0.5 cm 정도로 주위 조직에 더 적은 손상을 주면서 수술이 가능하였으며, Pediatric Round Bur는 직경이 2.9 mm로 비내접근법을 이용한 경우에도 좁은 시야에서 미세한 작업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빠른 회전 운동이나 왕복운동을 이용하는 것으로 hump의 제거 속도가 기존의 기구에 비하여 빠르기 때문에 운용에 주의를 요하며, 적당한 관주(irrigation)가 안될 경우 마찰열에 의한 연부조직 손상을 줄 수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ecker 등에 의하면 57명의 환자에서 microdebider를 사용하였는데
3~4 mm의 축소가 필요한 경우는 osteotome으로 제거후에 표면을 다듬는데 사용하였고,
1~2 mm의 축소가 필요한 경우는 microdebider만을 사용하였다. 모든 경우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microdebider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으며 연부조직에 대한 손상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술후 발생하는 반상출혈와 부종이 기존의 방법보다 많이 개선되었다고 하였다.5) 본 연구에서는 4 mm이하의 곡비인 경우에서는 먼저 microdebrider의 사용을 시도 하였으며 우려할 만한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현재는 외측 절골술을 위한 powered linear osteotome도 개발되어 있는데 특히 중간절골술이 필요한 경우 기존의 방법은 양쪽의 골절편에 자주 작은 미세골절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것은 이러한 분쇄골절없이 명확한 절골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5)
따라서 microdebrider가 rasp이나 osteotome을 대신하여 축비술이나 절골술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배부에서 보다 정확하고 원하는 부위에서 제한된 절제가 필요한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결 론
이상과 같이 축비술에서 rasp의 대용으로 microdebrider의 이용은 한정된 공간에서도 정확한 양을 제거할 수 있었으며 간단한 조작으로 주위 조직에 더 적은 손상을 주면서 곡비의 교정이 가능하였다. 이것으로 술 후 비배부에서 불규칙성의 빈도를 줄일 수 있었으며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
Yoon JH.
Reduction rhinoplasty. In: 1st rhinoplasty workshop in cerebration of the first year anniversary of INHA hospital;1997. p.220-24.
-
Sullivan MJ, Krause CJ.
Surgery of the bony & cartilageous dorsum. Otolaryngol. Clin North Am 1987;20:825-36.
-
Johnson CM, Torumi DM.
The upper two-thirds of the nose. Open Structure Rhinoplasty 1990:179-205.
-
Becker DG, Torumi DM, Gross CW, Tardy ME.
Powered instrumentation for dorsal nasal reduction. Facial Plastic Surgery 1997;13:291-7.
-
Becker DG, Park SS, Torumi DM.
Powered instrumentation for rhinoplasty and septoplasty. Otolaryngol Cli North Am 1999;32:683-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