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4(10); 2001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1;44(10): 1120-1122.
Dual Ectopic Thyroid.
Dong Young Kim, Si Ho Yang, Se Ho Song, Jung Soo Park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Gil Medical Center, Gachon Medical College, Incheon, Korea. jsparkmd@ghil.com
이중 이소성 갑상선 1예
김동영 · 양시호 · 송세호 · 박정수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주제어: 이소성 갑상선.
ABSTRACT
Dual ectopic thyroid is an uncommon entity and seven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Clinically, most cases in ectopic thyroid were noted at adolescence or postpartum due to increased physiologic hormonal demands. The sublingual area is the most common site of ectopic thyroid tissue, accounting for 90% of the cases, followed by the area in high cervical thyroid. Clinical manifestation, thyroid function test, and radiologic imaging should be employed for making diagnosis and therapeutic plan of this disease. The primary therapeutic goal is to restore the thyroid function. We describe a patient with dual ectopic thyroid tissue in the sublingual and subhyoid area.
Keywords: Dual ectopic thyroid

교신저자:박정수, 405-220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1동 1198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전화:(032) 460-3324 · 전송:(032) 467-9044 · E-mail:jsparkmd@ghil.com

서     론


   이소성 갑상선은 정상적인 갑상선의 위치가 아닌 다른 곳에 갑상선 조직이 존재하는 드문 태생학적 이상으로, 90%가 설근부에 발생하며,1) 설하부, 후두전부 등에도 발생할 수 있다.2) 이학적 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갑상선 동위원소 검사 그리고 경부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증상 유무에 따라 주기적 관찰, 내과적 치료, 외과적 절제 그리고 자가이식 등의 치료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 시 이소성 갑상선의 75%는 경부 갑상선이 없이 유일한 갑상선 기능을 수행하므로 충분한 술 후 상태에 대한 예측 후 절제를 시행해야 한다.3)4)
   이중 이소성 갑상선(dual ectopic thyroid)은 두 개의 이소성 갑상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임상적으로 매우 드문 질환으로 7예만이 보고되어 있으며 국내 보고된 예는 없다. 최근 저자들은 7세 여아의 설근부와 후두전부에 동시에 발생한 이소성 갑상선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7세 여아로 내원 2주 전 상기도 감염 후 우연히 촉지된 경부 정중부 무통성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가족력과 과거력상 특이사항은 없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1.5×1.5 cm 정도의 낭포성 종물이 갑상연골 직상방의 정중부에서 촉지되었으며, 연하시 상부로 이동하였다. 경부 촉진시 갑상선은 정상위치에서 촉지되지 않았다. 다른 부위에서 촉지되는 비정상적 종물은 없었고, 기타 혈액 및 갑상선 기능검사도 정상이었다.
   후두 내시경상 유곽유두 바로 뒤쪽 설근부에 2×2 cm의 표면이 비교적 매끄러운 분홍색을 띄는 돌출성 종물이 관찰되었고 후두개, 성대 등의 후두 부위에는 특별한 이상을 보이지 않았다. 경부 단순측면 촬영상에는 설기저부의 종창이 관찰되었으며, 경부 전산화 단층 촬영상 경부 설골하부 정중부에 1.5×1.5 cm의 주위와의 경계가 분명하고, 갑상선과 동일 음영의 병변이 관찰되며(Fig. 1A), 이 병변의 하방은 갑상연골까지 내려와 있었고, 설근부에서도 2×2 cm의 동일음영의 병변이 관찰되었다(Fig. 1B). 갑상선 동위원소 검사상 정상위치의 갑상선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부 정중부 상부와 하부에 약 2×2 cm의 두 개의 독립적인 섭취가 관찰되었다(Fig. 2). 경부 종물에서 시행한 세침 흡인 검사상 정상 갑상선조직이 발견되었다(Fig. 3).
   이상의 소견에서 이중 이소성 갑상선으로 진단되었으며, 환자의 나이, 증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현재 주기적 외래 추적 관찰을 시행 중이다.

고     찰

   이소성 갑상선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대개의 경우에 사춘기 혹은 임신 후 갑상선 호르몬의 생리적 요구량이 증가하면서 발견되며, 증상은 크기가 증가하는 경부 종물, 연하장애, 호흡곤란, 발성 장애 등이 있다.4)
   대부분의 경우에서 정상위치의 갑상선조직이 없는 설근부의 이소성 조직(설갑상선)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5)
   1869년에 Hickman이 설갑상선을 처음으로 보고한 이래, 증상과 연관되어 약 400예 정도가 문헌상에 보고되어 있으며, 실제 임상적으로는 약 1만명에 1명꼴로 발생한다.1)5)6) 이중 이소성 갑상선은 갑상선 조직이 두 곳에 동시에 이소성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7예만이 문헌상에 보고되어 있다. Rakesh 등4)은 설근부와 설골하부에서 생긴 이중 이소성 갑상선환자에서 thyroxine을 이용한 억제요법으로 치료하였으며, Hazarika 등8)은 설근부와 악하부, 설근부와 경부 상부에 생긴 이소성 갑상선을 각각 경구강법을 이용한 수술적 절제와 주기적 관찰을 시도하였으며, 그 외 Misaki 등9)이 2예, Rosen과 Walfish가 1예로 이중에 정상적으로 기관전부에 갑상선조직을 갖는 예는 없었고,9)10) Kuehn 등11)이 소개한 1예는 설근부와 설골하부의 이중 이소성 갑상선과 정상 경부 갑상선 조직을 모두 갖는 예였다. 저자들이 경험한 예는 설근부와 후두전부에 이소성 갑상선이 위치하였으며 정상 경부 갑상선은 없었다.
   이소성 갑상선의 진단을 위해 구인두에 대한 전반적인 시진과 경부 촉진을 통해 갑상선이 정상적인 위치에 있는지 관찰한다. 갑상선 기능검사에서는 대부분 정상소견을 보이며 기능 저하를 보이나 기능 항진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확진을 위한 99mTc와 I123이나 I131을 이용한 갑상선 동위 원소 검사는 크기와 이소성 갑상선의 활동성의 측정 및 정상 경부 갑상선 조직의 확인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생검으로 인한 기관내 출혈이나 갑상선 중독증 등의 합병증을 막을 수 있다.6)8)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는 병변의 크기와 범위를 결정하는데 정확한 정보를 줄 수 있으며, 자기공명 검사는 시상면에 대한 정보와 주위 조직과의 관계를 명확히 해준다. 본 예에서는 경부에서 시행한 조직 세침흡인 검사상 정상적인 갑상선 조직이 있었고, 설근부는 검사하지 않았지만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와 갑상선 동위 원소 검사상 동일 성질로 밝혀져서 이중 이소성 갑상선으로 진단했다.
   치료의 목적은 구인두의 폐쇄로 인한 증상을 없애고, 갑상선 기능을 최대한으로 보전시키는 것으로,5) 병변의 크기, 증상의 유무, 환자의 나이, 갑상선기능의 상태, 궤양이나 출혈, 낭성 변종, 혹은 악성종양을 합병하는 상태인가 등이 치료 방침 결정의 중요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12)
   내과적 치료의 주류는 갑상선 호르몬을 이용한 억제요법으로 Thyroid stimulation Hormon(TSH) 분비를 억제시켜 갑상선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주로 경한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그리고 이소성 갑상선의 기능이 저하되어 TSH가 증가되어 있는 상태에 일차적으로 고려될 수 있으나, 갑상선 크기의 감소율이 매우 늦고 극적인 결과는 기대하기는 어렵다.5) 방사선 동위 원소 치료는 증상이 있으면서 수술적 절제가 적합하지 않은 노인들에게 이용할 수 있으나 어린이에게는 성선과 다른 기관에 해로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시행해서는 안된다.5)8) 자가이식수술은 갑상선 기능 저하가 없고 퇴행 혹은 낭성 변종이 보이지 않은 폐쇄성 증상을 갖는 아이들에게 유용하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이식되어진 조직들이 재 기능을 되찾는 약 4개월간은 갑상선 기능 저하가 생길 수 있다.7)8) 수술적 치료는 증상을 보이는 일부 환자 군과, 억제 요법을 시행함에도 증상이 악화되어지는 경우 혹은 출혈, 연하곤란, 기도폐쇄, 발성곤란을 동반한 갑상선의 비대 시에, 그리고 갑상선 중독증이나 악성이 의심되는 경우에, 그리고 미용을 목적으로 시행된다.4)5)13) 경구강법과 정중 및 외측 인두절개술이 이용되고 있으며 설근부에 갑상선 조직을 남기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잔류조직이 다시 비대해지면서 점액부종을 일으키기 때문이다.5) 본 예에서는 소아이면서 증상이 경미하고, 정상 갑상선 호르몬치를 보이고 있어 주기적 추적관찰중이다. 대부분의 이소성 갑상선은 증상이 없거나 경하여 조언과 주기적 경과 관찰만으로도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에서 갑상선 주사는 술전 경부 중앙의 종물이 있는 모든 경우에 꼭 시행되어야만 한다는 사실과, 드물지만 경부 중앙 혹은 설근부의 종물이 있는 경우에 이중 이소성 갑상선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환자의 나이, 크기, 증상에 따라 여러 가지 치료방침을 생각해야 한다.


REFERENCES

  1. Wertz ML, Phoenix, Ariz. Management of undescended lingual subhyoid thyroid glands. Laryngoscope 1974;84:507-21.

  2. Lee JH, Ha SW, Kim JH, Do YH, Kim CA. One case of the lingual thyroid. Korean J Otolaryngol 1987;30:799-802.

  3. Yun JB, Jang HG, Yoo YS. Two cases of lingual thyroid. Korean J Otolaryngol 2000;43:1008-11.

  4. Rakesh K, Shikha K, Ritesh G, Atul M. Dual thyroid ectopy: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Nucl Med 2000;25:253-4.

  5. Kalan A, Tariq M. Lingual thyroid gland: Clinical evaluation and comprehensive management. Ear Nose Throat J 1999;78:340-9.

  6. Baughman RA. Lingual thyroid and lingual thyroglossal tract remnants: A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study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 1972;34:781-99.

  7. Hazarika P, Murty PS, Nooruddin SM, Zachariah J, Rao NR. Lingual thyroid. Ear Nose Throat J 1988;67:161-5.

  8. Hazarika P, Siddiqui SA, Pujari K, Shah P, Nayak DR, Balakrishnan R. Dual ectopic thyroid: A report of two cases. J Laryngol Otol 1998;112:393-5.

  9. Misaki T, Koh T, Shimbo S, Kasagi K, Konishi J. Dual-site thyroid ectopy in a mother and son. Thyroid 1992;2:325.

  10. Rosen RB, Walfish PG. The subhyoid ectopic median thyroid.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 1967;96:544.

  11. Kuehn PG, Newell RC, Reed JF. Exophthalmos in a women with lingual sublingual and lateral lobe thyroid glands. N Engl J Med 1966;274:652.

  12. Guneri A, Ceryan K, Igri E, Kovalnikaya A. Lingual thyroid: The value of magnetic resonence imaging. J Laryngol Otol 1991;105:493-5.

  13. Williams JD, Sclafani AP, Slupchinskij O, Douge C.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he lingual thyroid gland. Ann Otol Rhinol Laryngol 1996;105:312-6.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405
View
12
Download
Related articles
A Case of Dual Ectopic Thyroid  2018 March;61(3)
A Case of Ectopic Lingual Thyroid  1987 ;30(2)
Dual Ectopic Thyroid: A Case Report.  2001 August;44(8)
A Case of Dual Ectopic Thyroid.  2009 March;52(3)
Robotic Thyroidectomy.  2010 August;53(8)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