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2(7); 1999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9;42(7): 855-860.
Development of KVSS Test (Korean Version of Sniffin' Sticks Test).
Seok Chan Hong, Yeong Seok Yoo, Eun Seo Kim, Sok Chon Kim, Soo Hong Park, Jin Kuk Kim, Seong Ho Kang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Pochon Jungmun Medical University, Sungnam, Korea. pjmuent@nownuri.net
2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n-Kuk University, Chungju, Korea.
한국형 후각검사 KVSS Test의 개발
홍석찬1 · 유영석1 · 김은서1 · 김석천1 · 박수홍1 · 김진국2 · 강성호2
포천중문의과대학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1;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2;
주제어: KVSS Test후각검사정상후각후각감퇴후각소실.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As a society develops, olfactory disturbance increases with the increased industrial disaster, traffic accidents,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chronic sinusitis and allergic rhinitis from air pollution, Parkinson's disease and Alzheimer's disease from aging process. Nevertheless, there is no practical clinical test of olfactory function in Korea. Authors decided to develop the "Korean olfactory test" using the odorants which are familiar to Koreans.
MATERIALS AND METHODS:
KVSS Test (Korean Version of Sniffin' Sticks Test) is composed of KVSS Test I (screening test) and KVSS Test II (comprehensive test). KVSS Test I was performed on 120 controls with normosmia, 39 patients with hyposmia, and 24 patients with anosmia. KVSS Test II was performed on 117 controls with normosmia, 29 patients with hyposmia, and 22 patients with anosmia. The subjects ranged in ages from 20 to 69 years.
RESULTS:
In KVSS Test I, the range of scores (smell test) was 5.36-7.34 in normosmia, 3.41-6.73 in hyposmia, and 1.14-3.16 in anosmia. In KVSS Test II, the range of T.D.I. score (the sum of olfactory threshold score, odor discrimination score, and odor identification score) was 25.98-35.48 in normosmia, 17.01-30.63 in hyposmia, and 7.32-14.06 in anosmia (p<0.001).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KVSS Test I and II are suitable for the routine clinical assessment of olfactory performance in Koreans.
Keywords: KVSS TestNormosmiaHyposmiaAnosmia
서론 사회가 산업화되고 현대화되어 감에 따라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증가 등에 의한 후각장애가 증가하고 있으며, 공기오염 등에 의한 상기도 감염, 만성 부비동염, 알레르기성 비염 등에 의해서도 후각장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인구의 노령화에 따른 파킨슨병, 알쯔하이머병 등에 의한 후각장애도 증가하고 있다.1)2) 따라서 후각장애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검사 법이 필요하게 되었으, 각 국가에서는 그 나라의 현실에 맞는 여러 가지의 후각 검사 법이 개발되게 되었다. 미국에서는 UPSIT(University of Pennsylvania Smell Identification Test)3)4)이나 CCCRC Test(Connecticut Chemosensory Clinical Research Center Test)5)등의 검사 법이 개발되었고, 일본에서는 T & T Olfactometer6) 등이 개발되어 후각기능의 평가에 이용 되어왔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한국인에게 익숙한 냄새를 이용한 검사 법이 아직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외국의 검사 법이 그대로 국내에 들어와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 법은 비용이 비싸며, 사용상의 불편함이 많고, 무엇보다 검사에 사용되는 냄새가 한국인에게 익숙한 냄새가 아니기 때문에 후각기능을 정확히 평가하기가 어려웠었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에게 익숙한 냄새를 사용한, 간편하고 정확한 한국형 후각검사를 개발하기로 하였다. KVSS Test(Korean Version of Sniffin' Sticks Test)는 1996년 독일의 G. Kobal이 개발한 Sniffin' Sticks7)8)를 변형시킨 것으로 한국인에게 익숙한 냄새를 사용하여 후각기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게 만들었으며 저자들은 정상후각, 후각감퇴, 후각소실을 가지고 있는 한국인들을 대상으로하여 KVSS Test를 실시하고 그것을 점수화하여 객관적인 후각기능을 평가하는 지표로 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저자들은 1998년 4월부터 1998년 9월까지 포천중문의대 분당 차병원 건강 관리과와 이비인후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 및 보호자 그리고 병원 직원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선별검사(Screening test)인 KVSS Test I과 포괄검사(Comprehensive test)인 KVSS Test II로 구분 지어 실시하였으며, 각각 정상후각, 후각감퇴, 후각소실로 나누어 점수화하였다. 피검자 자신이 정상적인 후각을 가지고 있고 이비인후과 외래에서 실시한 코 내시경 검사에서 정상 비강상태를 가진 사람을 정상후각, 약간의 냄새를 맡을 수 있지만 자신의 후각능력이 감소되었다고 느끼는 사람을 후각감퇴, 그리고 전혀 냄새를 맡을 수 없다고 느끼는 사람을 후각소실에 포함 시켰다. KVSS Test I은 정상후각 120명, 후각감퇴 39명, 후각소실 24명을 검사대상자로 하였고(Table 1), KVSS Test II는 정상후각 117명, 후각감퇴 29명, 그리고 후각소실 22명을 대상자로하였다(Table2). 재료 KVSS Test I은 후각검사용 펜 8개와 미각검사용 스프레이 4개, 검사자가 착용하는 장갑, 그리고 후각검사 시 피검자가 보고 답할 수 있는 보기 집으로 이루어져 있다(Fig. 1). 각각의 후각검사용 펜에는 후각물질이 담겨있는 탐폰이 들어 있으며, 펜의 뚜껑을 열고 좌우로 흔들어주면 항상 일정한 농도의 냄새가 나오도록 장치되어져 있고, 미각검사용 스프레이는 단맛, 짠맛, 신맛, 쓴맛 의 4가지 맛이 나는 물질이 담겨있다. KVSS Test II는 후각 역치검사(Olfactory threshold test), 후각 식별검사(Odor discrimination test), 그리고 후각 인지검사(Odor identification test)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각 역치검사와 후각 식별검사 시 피검자가 착용하는 수면 마스크, 장갑, 그리고 후각 인지검사 시 사용되는 보기 집이 있다(Fig. 2). 후각 역치검사와 후각 식별검사는 각각 3쌍으로 된 16가지의 후각검사용 펜으로 검사를 하며, 후각 역치검사에는 부탄올(n-Butanol)을 이용하였으며 최고 농도인 4% 에서 1:2의 비율로 희석시켜 16번 까지의 후각검사용 펜으로 되어있고, 후각 식별검사는 각 3쌍 중 2가지는 같은 냄새가 나며 나머지 한 가지는 다른 냄새가 나게 만들어져 있으며, 후각 인지검사는 한국인에게 익숙한 16가지의 냄새가 담겨 있게 하였다. 방법 KVSS Test I, II는 모두 조용하고 환기가 잘되는 다른 냄새가 없는 곳에서 시행되었다. 검사를 하기 전 피검자는 어떠한 음식도 먹지 않았으며 흡연을 안하였고, 피검자에게 문진을 하여 후각상태에 대한 정보, 약물복용, 질병의 유 무, 흡연, 음주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였다. KVSS Test I 검사자는 양손에 장갑을 끼고 1번 후각검사 펜의 뚜껑을 열고 펜을 피검자의 코 가까이 2∼3 cm 떨어지게 놓고, 3∼4초 정도 좌우로 흔들어 냄새를 맡게 한 후에 4가지의 보기 중 1개를 선택하게 하였는데, 피검자가 결정을 할 수 없을 때에도 반드시 1개를 선택하게 하였다(Table 3). 위의 방법으로 8번까지의 후각검사용 펜으로 검사를 하여 피검자가 선택한 냄새를 검사용지에 기록하여 정답을 맞힌 개수를 점수로 기록하였다. 각각의 검사동안 순응(adaptation)을 막기 위하여 약 30초 정도의 간격을 두고 시행하였다. 참고로 미각검사를 위하여는 미각검사용 스프레이를 입안에 분무를 한 후 피검자가 느끼는 맛을 선택하게 하여 기록한 후 정답을 맞힌 점수를 기록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후각에 대한 결과만 발표하기로 하였다. KVSS Test II 후각 역치검사(Olfactory threshold test), 후각 식별검사(Odor discrimination test), 후각 인지검사(Odor identification test) 의 순서로 시행하였고, 각 3개의 검사 사이에는 약 3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시행하였다. 후각 역치검사 (Olfactory threshold test) 검사자는 장갑을 끼고, 피검자는 수면마스크를 착용하게 한 후, 가장 고 농도인 1번 펜의 냄새를 맡게 하여 익숙하게 한다. 그후 순응을 피하기 위하여 약 3분정도 경과 후, 가장 저 농도인 16번부터 검사를 시작하며, 3개의 펜을 무작위 순으로 맡게 하여 부탄올이 함유된 펜을 선택하게 한다. 부탄올이 포함된 펜을 맞히지 못하고 용제가 포함된 펜을 선택 하게 되면, 2단계 높은 농도의 번호로 올라가게 된다. 부탄올이 포함된 펜을 2번 연속 맞힐 때까지 올라가며, 맞히면 1단계 내려가는 방법으로 7개의 전환점이 생길때까지 시행한다. 7개의 전환점 중 마지막 4개의 전환점의 점수를 평균하여 후각역치검사의 점수로 기록한다(Table 4).9) 후각 식별검사(Odor discrimination test) 검사자는 장갑을 끼고 피검자는 수면마스크를 착용한 후, 3쌍으로 이루어져있는 펜을 차례로 피검자가 맡게 하는데, 이중 2개는 같은 냄새가 나며 나머지 1개는 다른 냄새가 나게 되어있다. 피검자가 1번부터 16번까지의 각의 냄새에 대하여 다른 냄새가 난다고 느껴지는 것을 선택하게 하여 정답을 맞힌 개수를 점수로 기록하였다(Table 5). 후각 인지검사(Odor identification test) KVSS Test I과 같은 방법으로 16개의 후각검사용 펜을 피검자가 맡게 한 후, 4개의 보기를 보고 그 중 1개를 선택하게 하여 정답을 맞힌 개수를 점수로 기록하였다(Table 6). 위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점수를 합쳐 T.D.I. score(Threshold-Discrimination-Identification score)로 산출하여 기록하였다. 통계 KVSS Test I, II에 의해 얻어진 기록들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에 의해 통계 처리되었다. 결과 KVSS Test I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정상후각, 후각감퇴, 후각소실의 점수는 Table 7과 같았다. 각 군간의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정상후각의 결과를 연령별, 성별로 구분하면 Table 8과 같았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수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KVSS Test II 후각 역치검사, 후각 식별검사, 그리고 후각 인지검사를 하여 나온 점수를 모두 합하여 T.D.I. score로 산출하였고, 정상후각, 후각감퇴, 후각소실 의 점수는 Table 9 와 같았다. 각 군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상후각의 점수를 연령별, 남녀별로 구분하면 Table 10과 같았다. T.D.I. score는 연령이 증가 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각 연령에서 남자보다는 여자의 점수가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 고찰 1889년 Hans Zwaardemaker10) 에의해 후각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도입된 이후 수은 방법이 개발 되어왔으며, 현재까지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미국에서 개발된 UPSIT(University of Pennsylvania Smell Identification Test)와 이것을 보완한 CC-SIT(Cross-Cultural Smell Identification Test), CCCRC test(Connecticut Chemosensory Clinical Research Center Test), 일본에서 개발된 T & T olfactometer 이다. UPSIT은 40개의 미세캡슐(microencapsulation)에 냄새가 담겨있으며, 이것을 펜으로 긁어서 냄새 맡기(scratch and sniff)를 하여 냄새를 알아 맞히게 하여 연령별, 성별로 된 백분위 수에서 후각 상태를 파악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한국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냄새가 많으며, 일 회용이므로 비용이 많이드는 단점이 있고, 후각인지 검사만 있다. CC-SIT 는 UPSIT 을 보완하여 미국에 사는 여러 민족들에게 익숙한 냄새 12가지를 사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이다. CCCRC test는 눌러 짜내는 그릇(squeeze bottle)으로 1:3의 비율로 희석된 부탄올에 대한 후각 역치 검사를 하고, 10개의 냄새가 담겨있는 병으로 다항식 선택 법으로 후각 인지검사를 하여 합성 점수(composite score)를 산출한다. T & T olfactometer는 5가지의 냄새를 10배씩 희석하여 감지 역치(detection threshold)와 인식 역치(recognition threshold )를 구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방법으로, 사용되는 냄새가 강하기 때문에 탈취 장치가 설치 되어있는 장소가 필요하며,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검사 방법들에 비해 저자들이 개발한 KVSS Test 는 후각검사용 펜을 이용하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고, 장소에 대한 제약이 크지 않으며, 검사방법이 쉽고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후각 역치검사, 후각 식별검사, 후각 인지검사 결과를 합하여 후각판정을 하기 때문에 정확한 후각기능을 측정할 수 있다. G. Kobal의 Sniffin' Sticks Test에서 검사-재검사 신빙성(testretest reliability)은 후각 역치검사에서는 상관계수가 0.61, 후각식별검사는 0.54, 후각인지검사는 0.73의 결과가 나왔고, 3가지 모두 합한 점수는 0.72로 합산한 점수가 후각기능을 더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고 하였다.8) KVSS Test I은 8가지의 냄새를 사용하였으며, 이 중 1번부터 6번까지는 후각 신경에 대한 검사이며, 7번은 삼차 신경에 대한 검사이며, 8번은 꾀병에 대한 검사였었다. KVSS Test I, II 모두 연령이 증가할 수록 점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다른 여러 후각검사에서 확인되었었다.11-14) 그리고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점수가 더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0.745 ),이는 다른 여러 논문들15-17) 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고 생각된다. 1998년 비엔나에서 열린 ISIAN 학회에서 스위스의 Dr. Welge-Luessen 의 연구18)에서 T.D.I. score가 30이상을 정상후각, 15점 이하를 후각소실 그리고, 두 점수 사이를 후각감퇴로 규정지은 결과와 저자들의 결과가 일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KVSS Test는 인공 향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오랜 기간 사용 할 수 있으며 값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결론 이상의 검사 결과로 저자들이 개발한 KVSS Test는 한국인 에게 익숙한 냄새를 사용하여 후각 역치검사, 후각 식별검사, 후각 인지검사를 하였기 때문에 한국인의 후각기능을 정확하게 평가 할 수 있었으며, 여러 번 사용 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KVSS Test 는 한국인의 후각기능을 평가 하는데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REFERENCES
1) Deems DA, Doty RL, Settle RG, Mooregilson V, Shaman P, Mester AF, et al. Smell and taste disorders: a study of 750 patients from the University of Pennylvannia Smell and Taste Center.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1; 117: 519-28. 2) Leopold DA. Physiology of olfaction. In: Cummings CW, Fredrickson JM, Harker LA, Krause CJ, Schuller DE, editors.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2nd ed. St. Louis: Mosby Year Book; 1993. p.640-64. 3) Doty RL, Shaman P, Dann M.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mell Identification Test: a standardized microencapsulated test of olfactory function. Physiol Behav 1984; 32: 489-502. 4) Doty RL, Marcus A, Lee WW. Development of the 12 item crosscultural smell identification test (CC-SIT). Laryngoscope 1996; 106: 353-6. 5) Cain WS, Gent JF, Goodspeed RB, Leonard G. Evaluation of olfactory dysfunction in the Connecticut Chemosensory Clinical Research Center. La-ryngoscope 1988; 98: 83-8. 6) Takagi SF. A standardized olfactometer in Japan. Ann NY Acad Sci 1987; 510: 113-8. 7) Kobal G, Hummel TH, Sekinger B, Barz S, Roscher S, Wolf S. Sniffin' Sticks: Screening of olfactory Performance. Rhinology 1996; 34: 222-6. 8) Hummel T, Sekinger B, Wolf S, Pauli E, Kobal G. Sniffin' Sticks: Olfactory performance assessed by the combined testing of odour identification, odour discrimination, and olfactory threshold. Chem Senses 1996; 22: 39-52. 9) Doty RL. Olfactory system. In Getchell TV, Doty RL, Bartoshuk LM, Snow JB. Smell and Taste in Health and disease. New York: Raven Press; 1991 p.175-203. 10) Zwaardemaker H. On measurement of the sense of smell in clinical examination. Lancet 1889;I: 1300-2. 11) Venstrum D, Amoore JE. Olfactory threshold in relation to age, sex, or smoking. J Food Sci 1968; 33: 264-65. 12) Cain WS, Gent JF. Olfactory sensitivity: Reliability, generality, and association with aging. J Exp Psychol 1991; 17: 382-91. 13) Ship JA, Weinffenbach JM. Age, gender, medial treatment, and medication effects on smell identification. J Gerontol 1993; 48: 26-32. 14) Doty RL, Shaman P, Applebaum SL, Giberson Sikorski L, Rosenberg L. Smell identification ability: Changes with age. Science 1984; 226: 1441-3. 15) Doty RL, Applebaum SL, Zusho GH, Settle RG. A cross cultural study on sex differences in odour identification ability. Neuropsychologia 1985; 23: 667-72. 16) Koelega HS, Koster EP. Some experiments on sex differences in odour perception. Ann NY Acad Sci 1974; 237: 234-46. 17) Cain WS. Odour identification by males and females: prediction vs. performance. Chem Senses 1982; 7: 129-42. 18) Welge-Luessen A. Assessing olfactory function using the Sniffin' Sticks test battery. In the Abstract book of E.R.S. & I.S.I.A.N. meeting '98, July 28-August 1, Vienna, Austria, p.327.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