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2(3); 1999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9;42(3): 298-305.
Spontaneous, Positional, Positioning and Post Head Shaking Nystagmus in Unilaterally Labyrinthectomized Cats.
Sa Yong Chae, Eun Ju Jeo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N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vinent@shinbiro.com
한쪽 미로를 제거한 고양이에서 자발안진, 두위안진, 두위변환안진, 두진후안진의 측정
채세용 · 전은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고양이안진3차원적 안구 운동 측정장치미로제거술.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Unilateral vestibular dysfunction evokes many bothersome symptoms such as nausea, vomiting, vertigo, ataxia, and positional change. W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vestibular signs after a loss of unilateral vestibular function. MATERIALS & METHOD: We evaluated the serial changes of eye movements and body posture after unilateral labyrinthectomy which was performed on five cats. Data obtained from three of these cats. The eye movements were measured in vertical, horizontal and torsional planes using magnetic search coils, with eyes open in light and eyes open in darkness. The eye movements were recorded with head in neutral, tilted, hanging, and Dix-Hallpike position, and after head was shaken.
RESULTS:
1) Spontaneous nystagmus was present for the first three days. 2) Head tilting positional nystagmus was present only on the first day after the operation. Head hanging position produced nystagmus with high slow phase eye velocity for 4 weeks. 3) Positioning nystagmus was recorded for 4 weeks and it was more prominent when labyrinthectomized ear was undermost. 4) Head shaking nystagmus around the pitch and roll axis was evoked within one week, but in the yaw axis it persisted for 4 weeks. When the cat was tilted to the lesion side, the intensitiy of positional and positioning nystagmus was stronger.
CONCLUSION:
Unusual positions such as head hanging and Dix-Hallpike position evoked prolonged nystagmus. Head shaking in the yaw axis could be used on a long term basis to understand unilateral vestibular dysfunction.
Keywords: CatNystagmusThree dimensional measurementUnilateral labyrinthectomy
서론 내이 평형기관은 머리의 운동에 따른 안구와 사지 운동의 조절을 통하여 시각, 고유수용체와 함께 공간에서의 신체 위치에 변화가 있을 때 적합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한쪽 말초 내이 평형기관이 염증성 질환, 외상, 종양, 수술 등으로 손상을 받으면 양쪽 말초 내이 평형기관으로부터 중추로 가는 구심성 신호의 차이로 인해 자발안진, 머리편위(head deviation), 운동실조, 오심, 구토, 빈맥, 발한, 어지러움증 등 안구 위치, 자세, 자율 신경계의 실조를 나타내게 된다. 급성 증상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중추신경계 재조정과 말초 수용기의 부분적 재생을 통한 보상작용에 의해 회복되며 회복에 대한 평가는 중추신경계의 신경 활동성이나 안구 운동, 자세 반사등을 관찰하므로써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1-3) 이 연구는 사람과 같이 전안(frontal eye) 동물이면서 뇌간의 구조가 사람과 유사한 고양이의 한쪽 내이 평형기관을 완전히 제거한 후 회복 과정의 경과 중에 나타나는 안진의 출현과 머리 위치에 따른 변화 및 그 시간적 변화를 3차원적 안구 운동 측정장치를4)5) 사용하여 측정하므로써 내이 평형기관 손상 후 회복 과정의 일부를 관찰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재료의 선택 건강한 고양이를 암수 구별 없이 선택한 후 평형 기능과 관계 있는 신경계의 선별 검사(neurologic screening test)(Table 1)에 정상이고 실내조명하에 눈을 뜬 상태(eyes open in light, EO:명시야)와 빛이 차단된 캄캄한 데에서 눈을 뜬 조건(eyes open in darkness, ED:암시야)에서 자발안진, 두위안진, 두위변환안진, 두진후안진을 자기장 탐지 코일 장치(magnetic search coil system)를6)7) 이용한 3차원적 안구 운동 측정장치로 검사하여 안진이 없는 고양이 5마리(체중:1.9∼3.7 kg)를 선택하였다. 안진 검사 방법 자극 장치 자극 장치는 조정 컴퓨터, 모터 조절기, 모터로 구성되며 2대의 모터(Megatorque, NSK, Japan)가 마주보고 하나의 회전축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놓여 각각의 모터 조절기에 따라 동시에(synchronized) 움직인다. 동물 고정 Xylazine(3 mg/kg) 및 케타민(20 mg/kg)을 이용한 전신 마취 하에 직경 2 mm의 Steinmann pin(Zimmer, Warsaw, Indiana, USA)을 사용하여 상악골 핀 고정(transmaxillary pin fixation)을 실시하였다. 핀의 양끝을 고정 상자(restraining box)에 있는 핀잡이(pin holder)로 고정하고, 고양이의 몸은 자루(restraining bag)에 넣어 역시 고정 상자에 Velcro로 고정시켰다. 고정 상자는 모터 회전축의 동물대(animal platform) 위에 조임 나사로 고정시켜 동물의 머리와 몸이 하나로 움직이게 하였다. 고정 상자는 90도 눕힐 수 있고 동물대는 회전축 위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여 머리의 수평회전(horizontal, yaw) 운동, 수직회전(vertical, pitch) 운동, 관상회전(torsional, roll) 운동이 가능하게 하였다. 실험중 동물의 위치 및 움직임을 비디오 카메라와 모니터를 이용하여 감시하였고 실험 도중 동물의 안전에 문제가 예상되거나 동물이 이상 반응을 보이는 경우에는 즉시 조작을 중단하고 살펴보았다. 안구 운동 측정 안구 운동의 측정은 탐지 코일(search coil), 자기장 코일(field coil), 보정 코일(calibration coil) 및 탐지용 전기회로로 이루어진 자기장 탐지 코일 장치(magnetic search coil system)를 이용하였다. 동물을 고정한 후 0.5% pontocaine 2∼3방울을 점안하여 각막과 결막을 표면 마취한 다음 왼쪽 눈의 각막 위에 안구 코일을 위치시키고 중앙부를 가볍게 눌러 부착시켰다. 탐지 코일로 사용한 안구 코일(eye coil)은 직경 약 13 mm의 투명한 반구형 실리콘 판에 직경 0.04 mm 동선을 원형과 8자형으로 감아 심어 제작하여 원형 코일은 안구의 수평회전(yaw) 운동과 수직회전(pitch) 운동을, 8자형 코일은 안구의 관상회전(roll) 운동을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자기장 코일은 직경 20 cm Helmholtz형 코일 2쌍을 머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정육면체의 고정 상자 위의 서로 마주 보는 시상면(sagittal plane)과 수평면(horizontal plane)에 1개씩 고정하여 각각 쌍을 이루도록 하고 시상 코일은 안구의 수평회전 운동을, 수평 코일은 안구의 수직회전 운동과 관상회전 운동때 안구 코일의 움직임에 따라 각 자기장에서 전압이 유도되게 하였다. 안구 위치 보정 코일은 시상 면의 자기장 코일과 10도씩 전후로 대각선 위치에 1쌍, 수평면의 자기장 코일과 10도씩 전후, 좌우로 대각선 위치에 2쌍, 모두 3쌍이 있어 각각 안구의 수평, 수직, 관상회전 운동때 정해진 안구의 위치가 나타내는 전압의 크기를 알 수 있게 되어 유도되는 전압을 안구 위치로 환산하는 보정에 이용하였다. 보정 코일의 실제 위치 각도와, 안구 운동과 자기 유도된 전압 사이의 관계, 그 측정치의 민감도(sensitivity), 안구 위치와 유도 전압 사이의 직선 관계(linearity) 등은 모형 안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극 방법 자발안진(spontaneous nystagmus)은 자연스러운 머리 위치(neutral head position), 즉 머리를 바로 하고 눈이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내이의 바깥 반고리관의 평면이 지면과 나란하게 놓이도록 외이도와 외안각을 잇는 선이 23도 앞으로 숙이게(23 degree nose down) 놓은 위치에서(head upright neutral position) 모터의 움직임 없이 안구의 운동을 측정하여 1분 이상 안진이 계속될 때 자발안진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두위안진(positional nystagmus)은 머리를 관상 면에서 각각 우측과 좌측으로 90도 기울였을 때(right or left tilting)와 수직면에서 180도 뒤로 머리를 젖힌 상태(head hanging)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모터의 움직임을 초당 5도로 느리게 설정하여 급격한 움직임에 따라 두위변환안진이 생기지 않도록 하였고 기록상 3개 이상의 안진이 연이어 나타날 때 두위안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두위변환안진(positioning nystagmus, DixHallpike nystagmus)은 머리를 수직정중면에서 우측 또는 좌측으로 45도 향하게 한 후 각각 머리의 정중면에서 뒤쪽으로 초속 85도로 135도 회전시켜 주로 좌, 우의 뒤 반고리관을 자극하게 하였다. 두진후안진(post head shaking nystagmus)의 측정을 위해 먼저 머리의 수평회전 운동축(yaw axis), 수직회전 운동축(pitch axis), 관상회전 운동축(roll axis)을 다음과 같이 정하였다. 수평회전 운동축은 외이도와 외안각을 연결하는 선에 수직선으로 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두 모터의 위치 때문에 머리와 몸은 자연스런 머리 위치에서 90도 왼쪽으로 눕힌 자세였다. 수직회전 운동축은 자연스러운 머리 위치에서 양쪽 외이도를 지나는 선으로 하였다. 관상회전 운동축은 자연스러운 머리 위치에서 양쪽 외이도와 외안각을 잇는 두 선을 포함하는 평면과 머리의 수직 정중면이 만나는 선으로 하였다(Fig. 1). 두진은 이 세 축을 모터의 회전축과 일치시킨 후 2 Hz의 주파수로 20초간 머리를 양 방향으로, 진폭 20도로 흔든 후 안구 운동을 기록하였다. 모터가 멈춘 후 2초 이후에 세 개 이상의 안진이 연속적으로 나타날 때 안진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모든 안진은 고정시에 의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명시야와 암시야에서 최소한 1분 동안 기록하였다. 실험중 동물의 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특별한 조작은 하지 않았으며 자극과 기록 과정을 신속하게 진행시켜 동물이 겪는 불편을 최소한으로 하였다. 내이 평형기관 제거 수술 방법 Ketamine(20 mg/Kg) 및 xylazine(3 mg/Kg)을 사용하여 전신 마취를 한 후 유양부를 경유하여(transmastoid) 왼쪽 내이 평형기관을 제거하였다. 고양이를 오른쪽으로 눕히고 머리 밑에 베개를 베어 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세를 취하였다. 고양이의 왼쪽 후이개 부위에 탈모제를 바르고 5분 후에 거즈로 깨끗이 닦아 내어 털을 제거하였다. Povidine 용액으로 후이개 부위를 깨끗이 소독한 후 수술을 진행하였으며 전기 담요를 이용하여 체온을 유지하였다. 후이개 부위에 약 3 cm 길이의 피부 절개를 한 후 측두골 비늘부와 유양부의 접합부를 확인하고 골막을 절개한 후 치과용 전기 드릴을 사용하여 비늘부를 중뇌막 가까이 까지 제거한 후 안면신경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조심하며 옆반고리관, 뒤반고리관, 위반고리관과 그 팽대부, 전정(vestibule)의 골성미로를 제거한 후 미세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세 개의 팽대부, 원형낭, 난형낭의 신경 상피를 모두 제거하였다. 혹시 남아 있을 수 있는 미세한 신경 상피를 파괴할 목적으로 젠타마이신(gentamicin, 80 mg/2 ml)을 적신 젤폼(gelfoam)으로 미로를 제거한 부위를 채운 후 피하조직과 피부층을 각각 3-0 silk로 봉합하였다. 수술 후 3일간 ampicillin 7 mg/kg를 대퇴부에 근주하였고 7일째에 피부 봉합사를 제거하였다. 측두골 표본 제작 한쪽 미로의 완전한 제거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술후 146일째에 케타민(20 mg/Kg) 및 xylazine(3 mg/Kg)으로 마취한 후 흉골을 절개하고 좌심실을 통하여 생리 식염수 500 ml를 주입하고 연이어 10% formalin 400 ml를 주입하여 심장내 관류(intracardiac perfusion)를 실시하였다. 고양이의 양쪽 측두골을 떼어 내어 연부조직 및 골막을 제거하고 2주간 10% formalin에 고정하고 2달간 5% trichloroacetic acid에 탈회하였다. alcohol로 탈수하고 xylene 용액에서 투명 과정을 거친 후 paraffin에 침투시키고 포매하였다. 활주형 박절기 (sliding microtome)를 사용하여 10 μm 두께로 박절하여 10개의 절편당 1개씩을 취하여 Hematoxylin-eosin으로 염색하였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 수술후 안구 운동 측정 술후 1일, 3일, 7일, 14일, 21일, 28일에 자발안진, 두위안진, 두위변환안진 및 두진후안진을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 IBM PC에서 DOS를 이용한 LABMaster A/D board(Lab Master DMA, Scientific Solutions Inc, Solon, Ohio, USA)에서 4개의 analog 채널 중 채널 1, 2, 3에는 안구의 수평, 수직, 관상면의 위치를, 채널 4에는 자극 모터의 위치를 기록한 후8) (Fig. 2) Matlab(version 4.2, Math Works Inc., Natick, Massachusetts, USA) 분석 프로그램에서 안진의 완서상 기울기를 커서를 이용하여 구한 후 일정한 보정 값(10도=2 volt)으로 환산하여 안진의 완서상 속도(slow phase eye velocity, SPEV)를 구하였으며 기록중 최대의 속도를 나타내는 연속된 5개의 안진을 골라 평균하여 완서상 속도로 정하였다. 결과 마취 회복 과정에서 죽은 2마리를 제외한 3마리의 고양이 중 28일까지 추적 검사가 가능했던 2마리의 고양이(C1, C2)와 6일까지 추적 검사가 가능했던 1마리의 고양이(C3)는 수술 직후 건측을 향한 수평회전성 안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안진은 수술후 1일째에는 세 마리 모두에서 명시야와 암시야에서 나타났으며 3일째에는 두마리(C1·C3)에서만 관찰할 수 있었고 계속 나타나지 않다가 28일째에 C1이 암시야에서 수평면의 안진을 4.4 deg/sec으로 나타냈다(Fig. 3). 안진의 평균 완서상 속도는 암시야에서 1일째 수평면 28.9 deg/sec, 수직면 5.1 deg/sec, 관상면 9.3 deg/sec, 3일째 수평면 3.8 deg/sec, 수직면 0 deg/sec, 관상면 0.9 deg/sec였다. 명시야에서는 1일에 수평면 30.3 deg/sec, 수직면 0 deg/sec, 관상면 0.6 deg/sec였다. 머리를 우측과 좌측으로 기울였을 때의 두위안진은 1일째에 세 마리 모두 명시야·암시야에서 나타났고 3일째는 C1만, 21일째는 C2만, 28일째는 C1만 나타났다. 3일째에 C1이 우측으로 기울인 자세에서 수평면의 2.5 deg/sec의 안진을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좌측으로 기울였을 때에만 안진이 나타났다(Fig. 4). 180도 머리를 뒤로 젖힌 상태의 두위안진의 경우 C1은 28일째까지 명시야·암시야에서 모두 관찰할 수 있었다. C2는 7일째까지는 명시야·암시야 모두, 14·21일째에는 명시야에서만 관찰할 수 있었고 28일째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술후 3일까지만 생존한 C3는 1일째에는 명시야·암시야에서, 3일째에는 암시야에서만 나타났다(Fig. 5). 두위변환안진은 전반적으로 좌측으로 돌린 경우 더 빠른 속도의 안진이 유발되었다. C1은 28일째까지 좌우측 모두 명시야·암시야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C2는 우측으로 돌린 경우 1, 7, 21일째에 명시야·암시야 모두, 좌측으로 돌린 경우 14일째까지는 명시야·암시야 모두, 21일째는 명시야, 28일째는 암시야에서만 나타났다. C3는 1일째에만 명시야·암시야에서 관찰되었다(Fig. 6). 두진후안진은 수평회전 운동후에는 완서상 속도 4.1±3.0 deg/sec의 안진이 주로 수평 방향으로, C1은 3, 14, 28일째에, C2는 1, 21일까지 나타났다(Fig. 7). 수직회전 운동후 세 마리 모두 1일에는 수직 성분이 34∼45 deg/sec로 빠르게 나타났으나 3일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수직 성분이 0∼4 deg/sec로 감소하였다(Fig. 8). 관상회전 운동후 세 마리 모두 1일째 수평면에서 완서상 속도 17∼28 deg/sec, 관상면에서 0∼8 deg/sec의 안진이 있은 후 3일째부터는 소실되었다(Fig. 9). 암시야와 명시야의 두 조건하에서 완서상 속도는 일관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총 378개의 자극 조건하에서 암시야에서 더 빠른 속도를 보인 경우가 87회, 명시야에서 더 빠른 속도를 나타낸 경우가 51회였다. 마취에서 깨어 거동을 할 수 있게 된 후부터 수술후 3일째까지 특징적인 머리진탕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머리가 우상방을 향하는 회전운동으로 좌측으로 느리게 회전한 후 빠른 속도로 제 위치로 돌아가는 양상이었다. 그후 28일째까지는 머리가 좌측 하방으로 고정된 상태로 지속되었다. 3일까지는 걷거나 서 있을 때 좌측으로 계속 몸이 기울고 쓰러져서 혼자서 서 있는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웠으며 자발안진, 머리진탕과 함께 몸이 좌측을 향해 흔들거리는 것을 볼 수 있었다. 7일째에는 혼자서 서거나 걷는데 어려움은 없었으나 좌측으로 몸이 기울어져 있고 간혹 좌측으로 쓰러졌으며 14일째에는 이와 같은 증상이 훨씬 경해지고 드물게 일어났다. 21일째 이후에는 머리는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었으나 자세를 잡거나 걸어다니는데 어려움은 없었다. 고찰 한쪽 내이 평형기관을 제거한 후 자발안진은 고양이에서 2∼5일,1) 토끼에서 4∼7일9) 흰쥐에서 2∼5일10) 이내에 소실되며 원숭이에서는 점차 감소하여 수개월까지 지속할 수 있다.3) 본 실험에서도 자발안진은 3일까지만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실험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실험에서 암시야에서 자발안진의 1일째 평균 SPEV는 수평면 28.9 deg/sec, 수직면 5.1 deg/sec, 관상면 9.3 deg/sec였고, 3일째 급격히 감소하여 수평면 3.8 deg/sec, 수직면 0 deg/sec, 관상면 0.9 deg/sec였으며 이는 다른 연구와 유사한 속도였으나 자발안진의 소실 경향은 원숭이에서 보다는 급격히 감소하였다.4)11-13) C1에서 28일째에 암시야에서 수평면의 안진이 4.4 deg/sec로 다시 나타났는데 이는 한쪽 미로제거술을 받은 동물들에서 자발안진이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기는 하지만 의식의 명료도와 같은 다른 조건들에 의해서도 다양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변동하는 양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두위안진의 원인으로는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양성 발작성 두위현기증, 두위 알코올 안진(positional alcohol nystagmus) 등과 같은 말초성 기원이 있으며 뇌간이나 소뇌의 병소, 폐쇄성 뇌수두증, 제 4 뇌실의 병소, 다발성 경화증, 두부 수상, 비정상적인 경부반사 등과 같이 중추성 원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17) 두위안진의 기전은 비정상적인 경부반사나14) 소뇌의 병변으로 인한 전정안구반사 경로의 이상,15) 팽대부릉정(cupula crista ampullaris)이나 내림프의 부력이나 밀도에 생긴 상대적인 차이 등으로 설명하여 왔지만18)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저자들의 실험에서 머리를 좌우측으로 90도 기울였을 때 1일째에만 안진이 있었고 3일 이후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1일째는 자발안진이 있던 시기였으며 두위안진과 자발안진의 평균 완서상 속도를 paired t-test로 검정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Table 2) 이 시기의 두위안진은 자발안진과 구분할 수가 없다고 생각된다. 두위안진이 7일, 14일째에는 소실되었다가 21, 28일째에 좌측 두위안진시 다시 나타났는데 이는 자발안진이 소실되었다가 다시 나타난 것과 같이 감소하는 경향 중 작은 변동을 보인 것이라고 생각된다. 180도 뒤로 머리를 젖힌 상태에서는 4주까지 강한 안진이 주로 수직면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는 이 자세가 고양이가 일상적으로 취하기 어려운 자세이기 때문에 안진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하며 미로를 제거하지 않은 고양이에서도 관찰되어 그 기전에 대해서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8) 두위변환안진은 빠른 속도로 자극하여 직선가속도와 회전가속도가 함께 자극되도록 하는 검사로서 말초성의 경우 전형적인 양상은 잠복기, 피로성(fatigability), 순응성(adaptation), 습관성(habituation)이 있고 안진의 방향은 아래쪽 귀를 향하여 나타난다. 그러나 모든 두위변환안진이 말초성 원인으로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때로 중추성 병변으로 인해 두위변환안진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많은 경우 비전형적인 안진을 보이게 돼 말초성 안진과 구분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만14)19) 예외도 있다.22) 본 실험에서 두위변환안진은 좌·우 양쪽에서 28일째까지 지속되어 나타났는데 왼쪽에서 더 빠른 속도의 안진이 나타났다. 두위변환안진이 이와 같이 빠른 속도로 지속해서 나타난 것은 180도 머리를 뒤로 젖히는 자세와 마찬가지로 비정상적인 자세이며, 빠른 속도 자극에 대해 한쪽 미로를 제거한 상태로 중추성 보상 과정이 진행 중인 고양이가 쉽게 적응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실험에서 안진의 방향은 좌·우 어느 쪽으로 Dix-Hallpike 체위를 취하던지 항상 정상쪽으로 향하였고 잠복기, 피로성(fatigability), 순응성(adaptation), 습관성(habituation)이 없어 미로제거술을 받아 뒤반고리관이 없는 상태임을 고려할 때 중추성 두위안진의 가능성을 시사하나 말초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이상으로 볼 때 한쪽 미로를 제거하는 것과 같이 전정계에 특정한 변화가 있는 상태에서 180도 머리를 뒤로 젖히거나 Dix-Hallpike 체위를 취하는 등의 특정한 자극에 대한 중추 신경계의 반응이 안진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으며 가능성은 적으나 잠복적인 자발안진이 체위 변화로 유발될 가능성도 있으나 그 정확한 기전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두진후안진은 말초 및 중추성 병변에서 모두 나타날 수 있지만 전정기능의 이상을 나타내는 민감한 검사법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인에서는 Frenzel 안경을 착용하고 검사한 경우 두진후안진이 나타나지 않으며 한쪽 미로의 이상이 있는 경우는 34∼94%에서 관찰할 수 있다고 하며 자극후 5∼20초간 일시적으로 지속된다. 사람에서는 한쪽 내이 평형기관을 제거한 후 암시야에서 수평회전 운동후 두진후안진은 수평면에서 평균 3.8 deg/sec였고 수직면에서는 위쪽을 향한 더 약한 안진이 보고되었다.20) 본 실험에서 수평회전 운동후 안진은 28일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나타나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한쪽 내이 평형기관을 제거한 후 추적 검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수술 후 1일과 3일에 수평회전 운동후 안진이 자발안진보다 약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급성기에는 안구 속도 저장 신경구조(central velocity storage)의 활동성 역시 일시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생각되었다. 시각 조건중, 깜깜한 데에서 눈을 뜨고 측정하는 방법은 눈을 뜨는 자체가 각성을 유지시키고 빛과 시선 고정을 차단하여 안진의 반응을 증가시키며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개방성 신호 전달 회로(open loop system)인 내이-안구 반사 회로 자체의 불안정성이 안진의 출현 빈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21) 본 실험에서 명시야와 암시야 하의 완서상 속도는 paired t-test로 검정한 결과 p-value가 0.37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그 이유는 암시야 환경에서는 동물이 졸게 되는 경우가 많아 의식의 명료도가 떨어져서 오히려 명시야의 완서상 속도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하등 포유류는 한쪽 내이 평형기관을 제거한 후 초기에는 보행이 불가능하며 동측으로 머리가 편위되고 동측 신전근의 긴장이 감소되는 반면 사람에서는 보행은 가능하고 대신 수술한 쪽으로 몸이 편위되며 목의 편위나 신전근 긴장도의 변화는 미미하다. 두부 진탕은 토끼에서 약 12일까지,9) 고양이에는 급성기(4주이내)2)에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두부 운동은 안구운동보다 빨리 소실된다고 한다. 본 실험에서는 두부 진탕은 3일째까지 나타났으나 두부편위는 28일까지 지속되어 있었다. 결론 일측 미로제거 후 자발안진은 예상대로 3일간 일시적으로 나타났지만 머리를 뒤로 180도 젖힌 위치(Stenger position)에서의 두위안진과 Dix-Hallpike 동작시에 두위변환안진이 4주 관찰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위변환 안진의 경우 안진 방향이 정상쪽으로 향하고 안진 의 잠복기와 같은 위치를 유지할 때 피로가 없이 지속되는 등 알려져 있는 말초성 특징과는 다른 특성들을 보였으며 이 같은 결과가 후반규관을 포함한 일측 미로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발생하였음을 고려할 때 중추성 기전을 시사할 수도 있어 앞으로 더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이같은 방법으로 장기간 두위 및 두위 변환 안진을 관찰 할 수 있다면 두위안진의 기전을 연구하는 동물 모델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Precht W, Shimazu H, Markham CH. A mechanism of central compensation of vestibular function following hemilabyrinthectomy. J Neurophysiol 1966;29:996-1010. 2) Ried S, Maioli C, Precht W. Vestibular nuclear neuron activity in chronically hemilabyrinthectomized cats. Acta Otolaryngol (stockh) 1984;98:1-13. 3) Fetter M, Zee DS. Recovery from unilateral labyrinthectomy in rhesus monkey. J Neurophysiol 1988;59:370-93. 4) Chae SY, Paek SH, Patel S, Suh BD. The measurement of canal-ocular reflex. Korean J Otolaryngol Suppl 1995;38:21 5) Chae SY, Paek SH, Patel S, Suh BD. Three dimensional measurement of canal-ocular reflex in normal cat. Abstract of the 41st anniversary meeting of Catholic Medical College, Seoul;1995. p.5-8. 6) Judge SJ, Richmond BJ, Chu FC. Implantation of magnetic search coil for measurement of eye position: An improved method. Vision Res 1980;20:535-8. 7) Fetter M, Sievering F. Three-dimensional eye movement analysis in benign paroxysmal positioning vertigo and nystagmus. Acta Otolaryngol (Stockh) 1995;115:353-7. 8) Kim QC. Three dimensional measurement of spontaneous nystagmus, positional nystagmus, positioning (Dix-Hallpike) nystagmus, and post head shaking nystagmus in normal cats [dissertation]. Seoul: Catholic University;1997. 9) Ann KH, Kang HJ, Jang CH, Lee JH, Yoon SW, Park BR. Recovery of the Vestibular Function After Unilateral Labyrinthectomy in Rabbits. Korean J Otolaryngol 1991;34:929-35. 10) Kim ID, Wang WK, Ha SJ, Lee JH, Jang CH, Lee JH, et al. The course of compensation and effect of flunarizine on the vestibular function in unilateral labyrinthectoimized rats. Korean J Otolaryngol 1993;36:1106-14. 11) Chae S, Igarashi M, Kim BW. Compensation of vertical vestibulo-ocular functions in squirrel monkeys after unilateral labyrinthectomy. Am J Otolaryngol 1990;11:170-3. 12) Courjon JH, Jeannerod M, Ossuzio I, Schmid R. The role of vision in compensation of vestibulo-ocular reflex after hemilabyrinthectomy in the cat. Exp Brain Res 1977;28:235-48. 13) Fetter M, Zee DS, Proctor LR. Effect of vision and of occipital lobectomy upon recovery from unilateral labyrinthectomy in rhesus monkey. J Neurophysiol 1988;59:394-407. 14) Dix MR. Positional nystagmus of central type and its neural mechanism. Acta Otolaryngol 1983;95:585-8. 15) Sakata E, Ohtsu K, Itoh Y. Positional nystagmus of benign paroxysmal type (BPPN) due to cerebellar vermis lesions. Acta Otolaryngol (Stockh) 1991; (Suppl) 481:254-7. 16) Shirabe S. Eye movement induced by lateral tilt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Acta Otolaryngol (Stockh) 1991; (Suppl) 481:51-4. 17) Watson P, Barber HO, Deck J, Terbrugge K. Positional vertigo and nystagmuis of central origin. Can J Neurol Sci 1981;8:133-7. 18) Chae SY. Spontaneous, gaze, and positional nystagmus. Clin Otol 1992;3:23-32. 19) Barber HO. Positional nystagmu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4;92:649-55. 20) Hain TG, Fetter M, Zee DS. Head-shaking nystagmus in patients with unilateral peripheral vestibular lesions. Am J Otolaryngol 1987;8:36-47. 21) Kumar A. Is spontaneous nystagmus a pathological sign? Laryngoscope 1982;92:618-26. 22) Baloh RW, Jacobson KM, Honrubia V. Persistent direction-changing positional nystagmus: Another varient of benign positional nystagmus? Neurology 1995;45:1297-301.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