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56(9); 2013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13;56(9): 610-610.
doi: https://doi.org/10.3342/kjorl-hns.2013.56.9.610
Book Review: Atlas of Regional and Free Flap fo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2nd Edition.
Atlas of Regional and Free Flap fo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2<sup>nd</sup> Edition
Mark L. Urken · Mack L. Cheney · Keith E Blackwell · Jeffrey R. Harris · Tessa A. Hadlock · and Neal Futran



이 책은 1995년에 출간된 Atlas of regional and free flap fo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1판의 개정판으로 2012년 출판되었다. 약 17년만에 나온 개정판으로 두경부외과로서 한 권은 가지고 있을 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내용은 1995년에 나온 1판과 유사하나, 그 동안 새로 소개된 여러 피판의 설명이 추가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paramedian forehead flap, submental island flap이 국소피판으로 추가되었으며, 유리피판에는 현재 많이 사용되는 anterolateral thigh flap이 추가되었고 이외에도 posterior tibial artery free flap, ulnar forearm free flap이 추가되었다. 또한 수여부의 혈관을 찾는 방법에 대한 내용도 추가되었고 기존의 내용에 일러스트레이션이 추가된 책이다.
이 책은 피판을 들어올리는 방법에 대한 술기 위주의 내용을 담고 있다. 공여부의 피판을 만드는 방법을 다루고 있는 책은 많으나, 이 책과 같이 해부학적 구조, 임상적인 의미, 각 피판의 다양한 이용법과 디자인을 광범위하게 다룬 책은 찾기 어렵다. 특히 피판을 만드는 수술적 수기도 매우 자세하게 사진과 함께 기술되어 있어 국소피판의 경우는 이 책의 내용만으로도 환자에 바로 적응할 수 있을 정도의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많은 유리피판에 대한 수술 아틀라스에 비해 뛰어난 점은 두경부의 결손에 필요한 유리피판과 국소피판을 모두 망라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리피판을 직접하는 사람에게는 당연히 가장 필요한 책이지만 유리피판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대흉근피판이나 광배근피판과 같은 국소피판을 시작하려면 가장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다.
1995년 1판이 나오고 오래 개정이 되지 않은 관계로 원본을 구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을 생각할 때 17년 만이라도 새로운 책이 나온 것은 반가운 일이고, 특히 두경부를 시작하면서 피판을 직접하고자 하는 열성이 있는 경우는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할 책으로 추천한다.

대한이비인후과학회 간행위원회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