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문 1. 상피-간엽이행(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상피세포가 전이능력과 침윤능력을 가지는 세포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② 배아 발생 동안 조직과 기관의 형성이나 성인의 상처 치유 과정에서도 발견된다.
③ 상피-간엽이행을 거쳐 간엽형 세포로 변환된 세포는 다시 상피형 세포로 바뀌지 않는다.
④ 암의 진행, 전이, 항암치료에 대한 내성 및 암줄기세포 특성을 획득하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⑤ 만성 염증에 의해 유발되어 조직의 섬유화를 일으키며, 특히 만성 염증에서 암으로 진행하는 데에도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문 2. 다음 중 상피형세포(mesenchymal phenotype)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세포골격 구성에 의해 세포의 위쪽과 기저쪽이 구분되는 극성을 유지한다.
② 정방형의 세포 모양을 보이며 주변의 세포들과의 접촉 부위에 부착단백질들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③ N-cadherin, vimentin, fibronectin 등이 검출되면 상피형세포 상태임을 알 수 있다.
④ 세포간 결합 부위를 통해 세포간 물리화학적인 정보를 교류할 수 있다.
⑤ 이동이나 모양의 변화 없이 안정적인 세포 상태를 이룬다.
문 3. 상피-간엽이행 중 발생하는 카데린 전환(cadherin switching)의 조절기전과 유도인자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상피-간엽이행에서 가장 초기에 일어나고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② 부착연접에서 세포막 단백질이 N-cadherin에서 E-cadherin으로 전환되는 것을 말한다.
③ E-cadherin이 소실되면 상피세포 간의 연결이 느슨해지고, 세포골격이 재구성되어 극성이 소실된다.
④ E-cadherin과 N-cadherin은 구조적으로 비슷하며 둘 다 세포내부에서는 α−, β− 및 p120 catenin과 연결되어 있다.
⑤ 상피-간엽이행이 시작하게 되면 Snail, Slug, ZEB1, ZEB2, E47, Twist 등의 다양한 전사인자들이 TGF-β, HGF, EGF, Wnt, Notch 등의 경로를 통해 카데린 전환을 일으킨다.
문 4. 카데린 전환이 일어난 후 세포간 결합이 붕괴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카데린 전환에 의해 세포연접부위에서 cadherin의 분포가 변하게 되면 Ras-related GTP-binding protein(RhoA, Rac1, Cdc42)들도 재배열된다.
② RohA는 actin stress fiber를 강화시켜서 세포간 결합을 안정화시킨다.
③ Rac1은 branch-like actin protrusion을 만들어 lamellipodia 등을 형성한다.
④ 세포연접에 N-cadherin이 많이 존재하며 안정적으로 결합이 유지되고 있을 때는 Rac1이 N-cadherin 근처에 많이 분포하다가 E-cadherin으로 바뀌게 되면 Rac1이 세포연접부위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⑤ Rac1이 연접부위가 없는 다른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부위를 중심으로 액틴에 의한 세포골격이 형성되게 되고 세포의 무게중심이 세포연접부위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지게 된다.
Otology
문 1. 다음 중 급성 저주파 난청(acute low-tone hearing loss, ALHL)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후미로성 병변과 연관성이 높다.
② 메니에르병(Meniere’s disease)으로 진행할 수 있다.
③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에 인공와우이식의 좋은 대상이다.
④ 성별에 상관없이 남여가 비슷한 비율로 발생한다.
⑤ 60대 이상의 고령에서 흔하다.
문 2. 다음 중 급성 저주파 난청(ALHL)의 병인으로 가능성이 높은 것은?
가. 와우수종(cochlear hydrops)
나. 이소골 단절(ossicular disruption
다. 자가면역반응(autoimmune response)
라. 이독성 약물(ototoxic drug)
① 가
② 가, 나
③ 가, 다
④ 나, 다, 라
⑤ 라
Rhinology
문 1. 알레르기 초기, 후기 반응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옳은 것을 고르시오.
① Histamine, tryptase와 같은 preformed mediator는 early phase 때만 작용한다.
② Eosinophil은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ICAM), vascular cell adhension molecule(VCAM), selectin 등의 도움을 받는 cellular infiltration에 의해 항원 노출부위 조직에 분포하게 된다.
③ Allergic reaction에 작용하는 T cell, B cell 등은 innate immunity에 속하는 system이다.
④ IL-4, 5는 Th2 cell에서만 분비되며, eosinophil recruitment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IL-13은 eosinophil에서 분비되며, hyperresponsiveness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⑤ Nasal mucosa에 allergen exposure가 되어도 eye symptom이 생기는 이유는 allergen이 tagging된 antigen presenting cell이 이동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문 2. 다음은 코막힘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내용을 고르시오.
① 비강에서 가장 큰 저항을 보이는 부분은 비밸브 부위이다.
② 코막힘과 관련된 검사를 하기 전에 검사 환경에 익숙해지고 운동에 의한 변화, 외부 공기에 노출되어 나타나는 점막의 변화를 없애고 환자의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약 20~30분간 쉬게 해야 한다.
③ 음향 통기도 검사 시에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며 큰 소리가 없는 환경에서 실시한다.
④ 음향 통기도 검사는 비강의 단면적과 부피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비침습적이어서 피검자의 도움 없이 간단히 측정이 가능하여 3세 정도의 소아에게도 실시할 수 있다.
⑤ 음향 통기도 검사는 결과의 재현성이 높으며 한번 측정한 결과로 비강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어서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이다.
Head and Neck
문 1. 아래와 같은 조기성문암(T2 glottic cancer N0M0)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경구강 레이저 수술이 방사선 치료에 비하여 우수한 치료 성적을 보인다.
② 전교련부 침범이 있는 경우 경구강 레이저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③ 치료 후 음성의 질은 방사선 치료가 더 우수하다.
④ 개방적 후두 부분 절제술은 금기이다.
⑤ 경구강 레이저 수술 후에는 대부분의 경우 방사선 치료를 추가해 주는 것이 좋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③
해 설 상피-간엽이행은 세포의 표현형이 변하는 가역적인 과정으로, 상피-간엽이행을 거쳐 이동한 세포가 다시 정착하기 위해 간엽-상피이행(mesenchymal-epithelial transition)을 거치게 된다.
문 2. 답 ③
해 설 간엽형세포에서 결합조직의 특성인 vimentin, N-cadherin. fibronectin 등이 발현되고, 상피형세포에서는 표피세포의 특성인 E-cadherin, cytokeratin 등이 발현된다.
문 3. 답 ②
해 설 세포막 연접부위에서 E-cadheri이 감소하고 N-cadherin이 증가하게 되는 과정을 카데린 전환(cadherin switching)이라 한다.
문 4. 답 ④
해 설 Rac 1은 E-cadherin가 가까이 있으며 N-cadherin이 세포연접 부위에 많이 존재할 때에는 N-cadherin과 떨어져 반대편 free edge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Otology
문 1. 답 ②
해 설 10~20% 정도에서 재발이 되고 메니에르병으로 진행한다.
문 2. 답 ③
해 설 이소골 단절은 저주파 및 고주파에 걸쳐 전음성 난청형태를 보이며 이독성 약물은 저주파보다는 고주파 난청과 관련이 있다. 급성 저주파 난청은 와우수종과 자가면역반응에 대한 연관성으로 이뇨제와 스테로이드 등으로 치료한다.
Rhinology
문 1. 답 ②
해 설 ① Mast cell에서 분비되는 mediator들은 early phase, late phase에 모두 작용한다.
참고 문헌: Flint P, Haughey B, Lund V, Niparko J, Robbins K, Regan JT, et al. Cummings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6th ed. Amsterdam: Elsevier Health Sciences;2014. p.616.
③ Innate immunity: toll-like receptors, antimicrobial peptides, phagocytic cells, natural killer(NK) cells, and complement. Adaptive immunity: lymphoid stem cells 로부터 분화된 T cells, B cells, and NK cells.
참고 문헌: Flint P, Haughey B, Lund V, Niparko J, Robbins K, Regan JT, et al. Cummings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6th ed. Amsterdam: Elsevier Health Sciences;2014. p.594-602.
④ IL-4: Th2 cell, eosinophil 등에서 분비, Th2 cell differentiation에 역할. IL-5: Th2 cell, eosinophil, mast cell 등에서 분비, eosinophil 분화, 동원에 역할. IL-13: T cell, NK cell, eosinophil 등에서 분비, eosinophil 분화, 동원에 역할.
참고 문헌: Flint P, Haughey B, Lund V, Niparko J, Robbins K, Regan JT, et al. Cummings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6th ed. Amsterdam: Elsevier Health Sciences;2014. p.606-7.
⑤ Eye symptom은 neural response로 인해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 Flint P, Haughey B, Lund V, Niparko J, Robbins K, Regan JT, et al. Cummings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6th ed. Amsterdam: Elsevier Health Sciences;2014. p.613.
문 2. 답 ⑤
해 설 환자의 상태를 한번 측정한 결과로는 비주기등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하는 비강의 상태를 표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3회를 측정하여 측정치의 평균으로 결과를 얻는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외과학. 2판. 서울: 일조각;2002. p.1018-9.
Head and Neck
문 1. 답 ③
해 설 경구강 레이저 수술은 방사선 치료와 경구강 레이저 수술 모두 우수한 치료 성적을 보인다. 전교련부 침범이 있을 경우 다양한 면을 고려해서 치료 방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병변의 범위가 불명확하거나 전교련부 노출이 어려울 경우 개방적 후두부분 절제술을 고려할 수도 있다. 추가 방사선 치료는 절제연 침범이 있거나 성문주위 공간 침범이 있는 등의 나쁜 예후가 예측될 경우에 시행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489-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