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64(7); 2021 > Article

Review

문 1. 18세기 말까지도 와우는 물론, 전정과 세 반고리관 모두 청각을 담당하리라는 관점은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19세기에 들어 반고리관이 청각보다는 신체 평형과 관련 있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비로소 내이 생리 연구는 크나큰 전환점을 맞게 되는데, 그렇다면 이를 최초로 보고한 생리학자는 누구인가?
① 도미니코 코투뇨(Domenico Cotugno)
② 안토니오 스카파(Antonio Scarpa)
③ 피에르 플로렌스(Pierre Flourens)
④ 요한 펄킨예(Johann Purkinje)
⑤ 프로스퍼 메니에르(Prosper Ménière)
문 2. 19세기 중반 오스트리아 빈에서 정신과 의사로 명성이 높았던 요젭 브로이어(Josef Breuer)는 내이 전정 생리도 깊이 연구하여 혁신적인 결과들을 잇달아 내놓았다. 다음 중 브로이어 연구 결과가 아닌 것은?
① 두위 변환 시 반형낭반에 막과 팽대부릉정은 내림프액 흐름을 따라 움직인다.
② 두위 변환 시 난형난반과 팽대부릉에 유모세포가 전정신경을 자극하면 뇌가 두위를 인식한다.
③ 전정은 선 가속 운동을, 반고리관은 각 가속 운동을 감지한다.
④ 반고리관 내림프액 흐름이 있을 때 반사적으로 안진이 생긴다.
⑤ 안진에는 느린 성분(slow phase)과 빠른 성분(fast phase)이 있다.
문 3. 아래 인물 중 한 사람은 오스트리아 빈에서 이과 의사로 있으면서 회전의자를 이용하거나 귀에 냉·온수 주입으로 일으킨 반고리관 대류현상(칼로리 반응)을 이용해 현기라는 주관적 증상을 안진이라는 객관적 징후로 검증해내는 등 전정 생리 연구에 높이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1914년에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지명, 1916년에 수상하였으며, 1921년에는 두위 현기가 이석 질환임을 최초로 발표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 누구인가?
① 구스타프 레치우스(Gustaf Retzius)
② 엔스트 이발트(Ernst Ewald)
③ 아담 폴리처(Adam Politzer)
④ 로베르트 바라니(R´obert B´ar´any)
⑤ 게오르크 폰 베케시(Georg von B´ek´esy)
문 4. 1952년 영국 런던에 이과 의사 찰스 홀파이크(Charles Hallpike)와 마가렛 딕스(Margaret Dix)는 환자 100예에서 특정 두위를 취했을 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기와 안진을 분석 발표하였는데, 이때 나타난 현기와 안진은 훗날 후반고리관 관내이석(posterior canalolithiasis)에 현기와 안진 특성으로 밝혀진다. 다음 중 그 현기와 안진 특성이 아닌 것은?
① 환자를 뒤로 뉘이면 현기와 안진은 잠복 후에 나타난다.
② 현기가 안진보다 먼저 나타난다.
③ 안진은 회전성에 처음에는 빨라지다 급격히 늦어진다.
④ 환자를 일으켜 앉히면 안진 방향은 역전된다.
⑤ 반복 검사할수록 현기와 안진은 더 강하게 나온다.

Otology

문 1. 인공와우는 보청기를 통해 큰 이득을 얻을 수 없는 고심도의 청각 장애인에게 이식된 전극을 통해 청신경을 자극하여 뇌에서 소리를 인지하도록 돕는 청각 재활방법이다. 인공 와우와 그의 외부 음향처리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근에는 동시 양측 인공와우 이식이 영유아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고 성인에서도 양측 인공와우를 시행하거나 고려하는 추세이다.
② 인공와우에서 한 번에 가장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부분이 외부 음향처리기의 교체이다.
③ 인공와우의 외부 음향처리기는 소리를 받아들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그 신호를 체내에 이식된 임플란트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④ 인공와우의 외부 음향처리기는 땀, 습기 등의 노출에 강해 착용 기간이 11년 이상 15년 이하인 집단에서 교체율은 50%를 넘기지 않는다.
⑤ 2000년대 초부터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가 시행되어 인공와우 대상자가 조기에 발견되었고, 다양한 연구들에서 인공와우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문 2. 인공와우 이식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청각적 이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의 인공와우를 사용하고 유지함에 있어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부담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인공와우의 외부 음향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음향처리기를 교체한 이유로는 음향처리기의 수리가 불가능한 부분의 손상이나, 수리 서비스 종료로 인한 수리 불가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② 음향처리기의 교체 방법은 의료급여 적용을 받아서 구입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③ 판매회사의 프로모션 행사 등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하나의 음향처리기를 사용하는 기간은 평균 10년 안팎이다.
④ 인공와우 착용 기간이 긴 집단일수록 교체율과 교체 빈도가 높았다.
⑤ 비교적 단기간에 음향처리기의 착용편의성이나 더 잘 듣기 위해서 교체한 사례들은 대부분 수리 불가, 분실, 노후와 관련되었다. 그 외에 음향처리기를 교체한 이유들 중에 대부분은 판매회사의 무료교체 프로모션 행사로 인한 교체였다.

Rhinology

문 1. 관상 CT에서 하얀색 별표가 표시하는 것은?
kjorl-64-7-527i1.jpg
① Optic nerve
② Vidian nerve
③ Cavernous sinus
④ Internal carotid artery
⑤ Sphenopalatine nerve
문 2. 표준 수면다원검사(level I polysomnography)에서만 측정할 수 있는 항목은?
① 수면 시간
② 뇌파 신호
③ 무호흡 지수
④ 저호흡 지수
⑤ 혈중 산소포화도

Head and Neck

문 1. 55세 여자 환자가 전신무력감, 피로감, 구역감 등의 증상으로 내과를 방문하여 시행한 혈액 검사상 이온화 칼슘수치가 7.0 ml/dL, 혈청 칼슘 수치는 13 mg/dL,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는 800 pg/mL이었다. 99mTc-56 sestamibi scan이 아래와 같을 때, 이 환자에 대한 수술 중 반드시 필요한 검사는?
kjorl-64-7-527i2.jpg
① 경부 초음파
② 되돌이 후두 신경 모니터링
③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
④ 혈중 이온화 칼슘 수치
⑤ 혈중 갑상선 호르몬 수치
문 2. 구인두암 원발 부위의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Transoral robotic surgery
② Transoral lateral oropharyngectomy
③ Lateral pharyngotomy approach
④ Mandibulotomy approach
⑤ Maxillary swing approach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③
해 설 내이에서 ① 코투뇨는 외임파액을, ② 스카파는 막 미로와 내임파액을 처음 발견하였으며, 플로렌스 보고 이후, ④ 펠킨예는 두위 현기를 처음 언급하였으나 소뇌와 연관지어 설명하였으며, ⑤ 메니에르는 난청을 동반한 어지럼증이 뇌 질환이 아닌 내이 질환임을 최초로 임상사례를 들어 발표하였다.
문 2. 답 ⑤
해 설 브로이어는 ① 유체역동설(hydrodynamic theory), ②, ③ 유모세포자극론(shear theory)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후세 전정생리학 연구에 표본이 되었다. 한편 브로이어는 ④ 반고리관 내림프액 흐름으로 생기는 안진은 확인하였으나, ⑤ 안진 성상까지는 밝혀내지 못했다.
문 3. 답 ④
해 설 ① 1881년 레치우스는 모든 종에 동물 난형낭반에서 감각상피 구조를 밝혀냈으며, ② 1892년 이발트는 저명한 학자들이 제시한 이론들을 동물실험으로 면밀히 검증하였으며, ③ 폴리처는 이과 의사로 바라니를 지도하였고, ⑤ 1961년에 베케시는 와우 기저막에 이동파 이론(travelling wave theory)으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다.
문 4. 답 ⑤
해 설 Dix-Hallpike maneuver를 반복할수록 현기와 안진은 더 약해지거나 사라진다. 이러한 피로현상(fatigability)이 관내이석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특징이다.

Otology

문 1. 답 ④
해 설 ① 양측 인공와우의 이득에 대한 연구결과가 꾸준히 보고되면서 최근에는 동시 양측 인공와우 이식이 영유아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고 성인에서도 양측 인공와우를 시행하거나 고려하는 추세이다.
② 한번에 가장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부분이 외부 음향처리기의 교체이다.
③ 인공와우의 외부 음향처리기는 소리를 받아들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그 신호를 체내에 이식된 임플란트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④ 인공와우의 외부 음향처리기는 땀, 습기 등의 지속적인 노출에 약하다. 인공 와우 착용 기간이 11년 이상 15년 이하인 집단에서 교체율 50%를 넘기기 시작해서 16년 이상인 두 집단에서는 한 명을 제외하고 모두 1회 이상 음향처리기를 교체하였다.
⑤ 2000년대 초부터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가 시행되어 인공와우 대상자가 조기에 발견되었고, 다양한 연구들에서 인공와우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문 2. 답 ⑤
해 설 ① 음향처리기를 교체한 이유로는 음향처리기의 수리가 불가능한 부분의 손상이나 수리 서비스 종료로 인한 수리 불가한 경우가 전체의 33.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② 음향처리기의 교체 방법은 의료급여 적용을 받아서 구입한 경우가 전체의 46.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③ 연구결과를 통해 판매회사의 프로모션 행사 등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하나의 음향처리기를 사용하는 기간은 평균 10년 안팎인 것을 알 수 있었다.
④ 인공와우 착용 기간이 긴 집단일수록 교체율과 교체 빈도가 높았다.
⑤ 비교적 단기간에 음향처리기의 착용편의성이나 더 잘 듣기 위해서 교체한 사례들은 대부분 판매회사의 무료교체 프로모션 행사와 관련되었다. 그 외에 음향처리기를 교체한 이유들 중에 대부분은 수리 불가, 분실, 노후로 인한 교체였다.

Rhinology

문 1. 답 ①
해 설 Onodi cell이 후방으로 접형동부위로 신전되어 신경공 근처 혹은 주변으로 위치하는 정상 변이이며, 관상면 CT에서 접형동의 위쪽으로 시신경공을 둘러싸는 세포를 볼 수 있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61.
문 2. 답 ②
해 설 Level III 검사는 4~7개의 측정변수를 가지는데, 최소한 2개의 호흡변수(airflow, respiratory effort)와 1개의 심장신호, 맥박 산소측정기를 포함하며 뇌파신호는 측정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Level IV 검사는 대개 산소포화도 측정채널을 포함하여 2개 이하의 측정변수를 가진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653.

Head and Neck

문 1. 답 ②
해 설 일차성 부갑상선 항진증이 의심되며 국소화 검사에서 다발성 병변이 의심되어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면서 순차적인 부갑상선 절제술을 진행해야 한다.
참고 문헌: Flint P, Haughey B, Lund V, Niparko J, Robbins K, Thomas JR, et al. Cummings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6th ed. Canada: Saunders;2015. p.1929-56.
문 2. 답 ⑤
해 설 Maxillary swing approach는 비인두 혹은 측두하와 공간 접근 시 필요한 술식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외과. 파주: 군자출판사;2018. p.439-58.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811
View
52
Download
Related articles
Self-Test Examination  2024 November;67(11)
Self-Test Examination  2024 October;67(10)
Self-Test Examination  2024 September;67(9)
Self-Test Examination  2024 August;67(8)
Self-Test Examination  2024 July;67(7)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