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문 1. 다음은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설명은?
① 코골이는 수면호흡장애의 하나로서 호흡기류가 좁아진 상기도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호흡잡음이다.
② 코골이는 나이와 성별에 따라 유병률이 달라진다.
③ 단순 코골이의 경우에도 심혈관계 질환과 관계될 수 있다.
④ 소아에서는 신경인지장애나 행동장애 등의 신경정신학적 질환과 관련이 없다.
⑤ 코골이에 대한 체계적인 역학연구는 폐쇄성수면무호흡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문 2. 다음 중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지 않은 단순 코골이의 일차적 치료로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체중조절
② 자세치료
③ 구강 내 장치
④ 상기도 근기능 운동
⑤ 상하악전진술(maxillomandibular advancement)
문 3. 양압기를 사용하는 52세 여자 환자가 수면 중 구강호흡으로 인해 양압기 순응도가 감소하여 내원하였다. 최근 강아지를 키우면서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심해졌다고 했다. 환자의 구강호흡을 개선시키기 위해 우선 적용해야 할 것으로 적합한 것은?
① 비강확장밴드
② 비강분무스테로이드제
③ 비강스텐트
④ 턱끈
⑤ 입테이프
문 4. 다음은 구강호흡과 턱끈 및 입테이프에 관한 설명이다.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수면 중 구강호흡은 양압기의 순응도를 증가시킨다.
② 구강호흡은 상기도 감염이나 치과적 문제와 연관성이 낮다.
③ 양압기 사용시 턱끈과 입테이프는 구강호흡을 방지하고 공기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④ 턱끈과 입테이프는 상기도의 구조적 변화보다는 상기도의 근육 긴장도를 높여 효과를 나타낸다.
⑤ 턱끈과 입테이프는 반드시 양압기와 같이 사용해야 한다.
Go to : 

Otology
문 1. 다음 중 청성뇌간반응검사(auditory brainstem response)의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자극음의 강도가 낮을수록 잠복기가 짧아진다.
② 신생아는 성인에 비해 잠복기가 길게 나타난다.
③ Click 음을 이용한 경우 저음역에 대한 반응이 주된 반응이다.
④ V파는 와우핵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⑤ 미로성 난청의 경우 I파의 잠복기가 연장되고 V파의 잠복기는 단축된다.
문 2. 고빌리루빈혈증으로 교환수혈을 받고 2주간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받고 퇴원 전(제태연령 36주)에 시행한 청력선별검사에서 양쪽 모두 통과(pass)하였다. 향후 방침은?
① 측두골전산화단층촬영
② 학령기까지 경과 관찰
③ 보청기 처방
④ 생후 3개월째 청성뇌간반응검사
⑤ 생후 6개월째 청성뇌간반응검사
Go to : 

Rhinology
문 1. 부비동의 발생과 해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접형동은 다른 부비동들과 달리 비낭의 후단에서 발생하는 유일한 부비동이며 부비동 중에서 가장 늦게 발생한다.
② Onodi 봉소는 접형동의 변이로 발생하며 주로 접형동 후상방에 위치하며 시신경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③ 전두동의 후벽 및 하벽은 전벽에 비해 약 50% 정도의 두께로 얇아서 염증이 이곳을 통하여 두개 내 혹은 안와 내로 파급되기도 한다.
④ 비루관 후벽에서 개구부의 전벽까지의 거리가 평균 5 mm 정도밖에 안되므로 내시경수술시 back biting forcep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비루관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⑤ Haller 봉소는 사골봉소가 중비갑개 부착부위와 사골포의 후외측에서 안와저-상악동 천장 부위로 함기화된 것으로 사골 누두와 상악동 자연공의 외측에 위치하며 하안와봉소(infraorbital ethmoidal cell)라고도 불린다.
문 2. 수면 시에 지속적인 코골이와 수면중 발한, 기상 후 두통, 주간 과잉행동 및 주의력 부족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4세 남자 소아의 수면다원검사이고 apnea hyponea index (AHI)가 4로 측정되었다. 다음 중 옳은 설명은?
① 소아에서도 성인과 유사하게 주간 졸음이 흔하게 나타난다.
② 소아에서도 폐쇄성 수면무호흡은 남아에서 여아에 비해서 2배 정도 많다.
③ 소아에서는 호흡장애의 형태가 무호흡보다는 지속적인 부분적 상기도 폐쇄로 인한 폐쇄성 저환기증의 형태로 나타난다.
④ 소아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기준이 AHI 5를 초과하는 경우 비정상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폐쇄성 무호흡으로 진단할 수 없다.
⑤ 수면 다원 검사상에서 obstructive sleep apnea pattern이 보이며 10초 이상 지속시에 무호흡으로 계산하나 소아에서는 짧은 시간의 무호흡에도 산소포화도가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무호흡 또는 저호흡이 5초 이상 지속시에 호흡장애로 정한다.
Go to : 

Head and Neck
문 1. 다음 중 레이저 수술 중 발생하는 기도 화재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기도 화재의 세 가지 요소는 발화원, 연료, 산소이다.
② 기도삽관튜브, 수술용 소독포, 타월 등이 화재의 연료가 되는 경우가 많다.
③ 기도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방화재에 싸여있고 기낭(cuff)에 메틸렌블루가 함유된 튜브를 사용하여야 안전하다.
④ 기도 화재가 발생하면 마스크로 산소분압을 30% 이상 유지하며 즉시 튜브를 제거한다.
⑤ 기도 안에 남이 있는 물질들에 의해 화재가 계속될 수 있으므로 생리식염수를 분사하여 진화한다.
문 2. 다음은 유럽후두과학회의 레이저 성대절제술의 분류에 따른 절제범위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옳은 것은?
① 상피하 성문절제술(type I)은 subepithelial cordectomy이며 성문의 점막 상피와 레인케 공간을 제거한다.
② 인대하 성문절제술(type II)은 subligamental cordectomy이며 성문근 일부와 성문 인대를 제거한다.
③ 경근 성문절제술(type III)은 transmuscular cordectomy이며 점막상피, 레인케 공간, 성문 인대와 성문근 사이가 절제된다.
④ 전 성문절제술(type IV)은 동측 전교련부와 피열연골을 포함하는 전체 성문을 절제한다.
⑤ 확장 성문절제술(type V)은 반대측 성문, 피열연골, 후두실, 성문하부까지 연장가능하며 절제에 포함하는 구조물에 따라 Va부터 Vd까지 분류한다.
Go to :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④
해 설 습관적 코골이는 만성피로나 집중력 저하 등 삶의 질과 관계된 증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소아에서는 신경인지장애나 행동장애 등의 신경정신학적 질환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문 2. 답 ⑤
해 설 상하악전진술은 가장 침습적인 방법이고 출혈, 감염, 부정교합, 기도폐쇄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 단순 코골이 환자에서 시행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 3. 답 ②
해 설 알레르기 비염 증상으로 인해 수면 중 구강호흡이 발생한 경우이며 다른 방법보다는 우선적으로 알레르기 비염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문 4. 답 ③
해 설 턱끈과 입테이프는 양압기 사용시 입으로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Otology
문 1. 답 ②
해 설 자극음의 강도가 높을수록 잠복기가 짧아지며 감각신경성 난청이 있는 경우 잠복기가 연장된다. V파는 외측 융대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로성 난청의 경우 I파의 잠복기가 연장되고 V파의 잠복기는 미세하게 연장되어 I-V파 간 잠복기는 오히려 단축된다. 청력역치평가에서 Click 음을 이용한 경우 1-4 kHz의 고음역에 대한 반응이 주된 반응이다.
참고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233-8.
문 2. 답 ⑤
해 설 난청의 고위험군으로 선별검사에서 pass가 나왔으나 6개월에서 1년간격으로 정기적인 청력검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689.
Rhinology
문 1. 답 ②
해 설 Onodi 봉소는 접형동의 전상부를 침범하는 후사골동 봉소 중 가장 후방에 있는 봉소이다. 종종 접형동으로 오인되지만 대개 이 봉소의 내하방에 접형동이 있으며 시신경이 내강에 노출됐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1-27.
문 2. 답 ③
해 설 ① 소아에서는 성인과 다르게 수면 분절에 의한 주간 증상은 드물게 나타난다.
② 남녀 성별의 차이는 소아에서는 보이지 않는데 이는 성호르몬의 영향이 없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④ 소아에서는 AHI가 1을 초과하는 경우 비정상으로 간주한다.
⑤ 성인에서는 무호흡이 10초 이상 지속시에 무호흡으로 계산하나 소아에서는 두번의 호흡주기 동안 무호흡 혹은 저호흡이 있는 경우를 호흡장애로 정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635-59.
Go 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