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문 1. 성대주입술을 시행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주입된 물질의 양이 충분하지 않아 불충분한 내전이 일어나면 음성, 만족도 및 기능적인 문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필요한 경우 재주입을 고려할 수 있다.
② 부적절한 주입 위치에 주입 시 충분한 양의 주입에도 불구하고 만족할 만한 성대의 내전 효과를 보지 못할 수 있다.
③ 주입물의 과도한 양을 사용하는 경우 호흡곤란이나 과도한 음성을 보이는 음성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④ 과도하게 주입한 경우, 일시주입물의 경우 주입물의 흡수 과정을 지켜보면서 일정 시간 관찰하기 보단 즉시 수술적 제거가 필요하다.
⑤ 영구주입물이 과도하게 주입된 경우에는 흡수가 되지 않아 지속적인 음성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문 2. 외래에서 국소마취하에 성대주입술을 시행하던 중 후두의 근육이 갑자기 무의식적으로 수축하며 성대가 조이는 양상의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성대주입술 중에 시술을 어렵게 하는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 하나인 후두 연축이다.
② 마취가 충분하지 않을 때를 포함하여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③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고음의 휘파람 소리인 협착음(stridor), 질식 또는 목이 조이는 느낌이 나타날 수 있다.
④ 후두 연축이 발생하면 성대주입술을 중단하고,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⑤ 후두 연축이 완화된 후에도 시술을 다시 재개하면 안된다.
문 3. 성대주입술에서 주입 물질에 따른 적절한 주입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가지방은 근육층의 혈관 공급이 더 풍부하고 주입물의 생존과 효과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근육층에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과 같이 주입 후 흡수되는 속도가 효과의 기간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성대인대에 가까운 성대근육층에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히알루론산과 같은 물질의 경우 표층에 주입할수록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④ 영구주입물은 근육층에 주입하되 성대인대보다 표층에 주입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⑤ 환자의 상태와 증상, 기간을 고려하여 적절한 주입물을 선택하고, 성대의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고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용량을 주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문 4. 성대주입술 중 발생하는 출혈이나 혈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술 시 가는 바늘을 사용해 출혈은 드물고 발생 후에도 호흡 곤란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별다른 처치 없이 관찰하여도 된다.
② 숙련되지 않은 시술자의 반복적인 술기로 인해 조직이나 혈관 손상으로 출혈이 유발될 수 있다.
③ 경윤상갑상막(transcricothyroid) 접근법의 경우 다른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출혈이 적다고 알려져 있으나, 성대 점막 밑의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④ 경구강(transoral) 또는 경갑상설골막(transthyrohyoid) 접근법의 경우 주사침의 점막 천공으로 인해 출혈에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출혈이 기관 내부로 발생하여 기침을 유발할 수 있다.
⑤ 뇌경색을 예방하기 위해 복용하는 소용량의 항응고제는 복용을 중지할 필요는 없지만, 혈관수술 후 전색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용량의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는 담당의와 상의하여 일시적으로 중단한 후에 시술하는 것이 안전하다.
Otology
문 1. 이명의 치료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① 인지행동치료의 목적은 이명 소리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다.
② 근거중심의학에 따르면 경구 복용 약물이 가장 효과가 우수하다.
③ 청력이 거의 정상인 경우 보청기 사용이 권장된다.
④ 소리치료와 인지행동치료는 치료의 기전이 동일하다.
⑤ 이명재훈련치료는 소리치료와 지시적 상담으로 구성된다.
문 2. 이명 치료 결과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뇌의 기능적 그리고 해부학적 촬영을 통해 영상학적으로 판정한다.
② 환자의 불편감과 이명의 크기를 설문지와 상담을 통해 판정한다.
③ 뇌파의 변화를 통해 치료 전 뇌의 반응과 치료 후 뇌의 반응을 비교한다.
④ 청력검사를 시행하여 고주파수 순음의 역치를 측정하여 판정한다.
⑤ 환자 본인보다는 보호자와 가족의 기술을 정량화하여 평가한다.
Rhinology
문 1. 다음은 부비동 내시경 수술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Uncinectomy는 uncinate의 하부 1/3과 상부 2/3 사이에 절개를 넣어 앞쪽으로 lacrimal bone에 닿을 때까지 연장시키며, 하부는 내측으로 회전시켜 제거한다.
② Maxillary sinus의 accessory ostum만 열어주고, natural ostium을 연결시키지 않으면, 술후 mucus recirculation과 persistent infection의 원인이 된다.
③ Posterior ethmoidectomy를 위해서는 basal lamella의 vertical parte의 inferomedial portion으로 들어간다.
④ Sphenoid sinus의 ostium을 찾는 가장 쉬운 방법은 superior turbinate의 하방 1/3을 제거하는 것이며, 이때 olfactory fiber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⑤ Sphenoid sinus를 열어준 뒤 ethmoidcetomy를 마무리할 때에는 앞쪽의 middle turbinate 기시부에서 시작하여 skull base를 확인하며 뒤로 진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문 2. 내시경 수술로 처리할 수 없는 전두동 질환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골성형 전두동 폐쇄술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수술 전에 10피트 거리에서 촬영한 Caldwell 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전두동의 주형을 만들어 소독한다.
② 절개 방법에는 눈썹 절개(brow incision), 관상 절개(coronal incision), 이마 중앙의 주름을 따라 절개하는 방법(mid forehead incision)이 있으며, 이중 눈썹 절개는 전두동이 작은 사람, 대머리인 사람에서 적당하며 감염을 막기 위해서 수술 준비 시에 눈썹을 깎아야 한다.
③ 전두동 외벽의 골부를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을 때에는 드릴이 두개강내로 뚫고 들어가거나 술후 골성형피판이 전두동 내로 빠지는 것을 막기위해 드릴을 전두동 외벽에 수직으로 세우고 구멍을 뚫는다.
④ 전두동 폐쇄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모든 전두동 점막과 내벽의 피질을 제거하고 전두관을 영구적으로 막아야하고 적절한 물질을 이용하여 전두동을 폐쇄해야 한다.
⑤ 전두동을 노출하고 점막을 제거 시에는 전두동 내벽을 드릴로 갈게 되는 경우 이식된 지방으로 혈류 공급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 점막 제거만으로 충분하다.
Head and Neck
문 1. 갑상선 림프종에 임상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Hashimoto 갑상선염이 있는 경우 잘 발생한다.
② 평균 발병 연령은 60-65세이다.
③ 대부분 비호지킨 림프종이다.
④ 대개 완만한 성장을 보인다.
⑤ 조직검사에서 미분화 소세포가 관찰된다.
문 2. 갑상선 림프종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초음파 검사상 후방 증강이 있는 균질한 저에코 종괴가 특징이다.
② 세침흡인검사보다 핵침조직검사나 절개생검이 추천된다.
③ 갑상선에 국한된 경우 수술적 치료가 적합하다.
④ 진행된 병변은 방사선 조사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다.
⑤ 갑상선외 침범이 없으면 5년 생존율은 80% 정도로 양호하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④
해 설 과도하게 주입된 일시주입물로 인한 호흡곤란 등 위험한 증상이 발생하거나, 오랜 시간 관찰에도 흡수되지 않아 지속적인 음성 변화를 보인다면 수술적 제거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문 2. 답 ⑤
해 설 마취나 진통 조절에 대해 다시 평가하고,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후두 연축이 완화되었을 때 시술을 조심스럽게 재개할 수 있다.
문 3. 답 ③
해 설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과 같이 주입 후 흡수되는 속도가 효과의 기간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성대인대에 가까운 성대근육층에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너무 표층에 주입되는 경우 점막의 움직임이 감소되고 음성 장애가 심해질 수 있다.
문 4. 답 ①
해 설 시술 시 가는 바늘을 사용하기 때문에 출혈이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초기에 소량의 출혈이 발생하면 시술을 멈추고 압박이나 관찰 등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혈종으로 인한 호흡곤란이나 지속적인 출혈로 인한 기도 흡인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모니터링과 필요 시 즉각적인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Otology
문 1. 답 ⑤
해 설 약물 치료는 아직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난청이 명확한 경우 보청기나 인공와우를 시도해 볼 수 있다. 소리치료의 기전은 차폐 효과와 습관화에 해당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904.
문 2. 답 ②
해 설 아직까지 이명을 객관적으로 측정 또는 영상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에, 환자 본인의 주관적 반응과 설문지를 통해 치료 효과를 판정하게 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888.
Rhinology
문 1. 답 ⑤
해 설 Skull base가 앞쪽이 높고 뒤쪽이 낮기 때문에, 뒤쪽부터 시작하여 앞쪽으로 진행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398-409.
문 2. 답 ④
해 설 ① 수술 전에 6피트 거리에서 촬영한 Caldwell 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전두동의 주형을 만들어 소독한다.
② 눈썹 절개는 전두동이 작은 사람, 대머리인 사람에서 적당하며 수술 준비 시에 눈썹을 깎지 않고 그대로 둔다.
③ 드릴을 안쪽으로 45-60도 정도 기울여서 구멍을 뚫는다.
⑤ 전두동 내 점막을 제거 시에는 전두동 내벽을 드릴로 갈아야 Foramen of Breschet 부위에 끼어 있는 점막이 다시 자라나서 발생하는 재발을 방지할 수 있고 이식된 지방으로 혈류 공급이 좋아지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3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