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6(4); 2003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3;46(4): 341-344.
A Case of Condyloma Acuminatum of Pharynx.
Jung Han Kang, Ki Seok Kang, Jung Me Park, Hyo Jin Lee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Seoul Adventist Hospital, Seoul, Korea. han700516@hanmail.net
2Department of Pathology, Seoul Adventist Hospital, Seoul, Korea.
인두 점막에 발생한 뾰족콘딜로마(Condyloma Acuminatum) 1예
강정한1 · 강기석1 · 박정미1 · 이효진2
서울위생병원 이비인후과1;해부병리과2;
주제어: 뾰족콘딜로마인두.
ABSTRACT
Condyloma acuminatum is one of the four types of common human venereal diseases that have viral etiology. Also known as a "moist wart", condyloma acuminatum is most often seen on the mucosal surface of the anogenital area. However, occurrences on the mucosal surface of head and neck regions are quite rare. We have recently encountered a case of condyloma acuminatum on the mucosal surface of pharynx, verified by histologic examination. We report a case of condyloma acuminatum on the mucosal surface of pharynx with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Keywords: Condylomata acuminataPharynx

교신저자:강정한, 130-192 서울 동대문구 휘경2동 29-1  서울위생병원 이비인후과
              전화:(02) 2210-3559 · 전송:(02) 2210-3558 · E-mail:han700516@hanmail.net

서     론


  
뾰족콘딜로마는 주로 성접촉에 의해 전염되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HPV) 6, 11형에 의해 발생된다. 발생부위는 주로 생식기나 항문주위의 점막이며 인두 점막에서 발생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Heidingsfeld가 1901년 처음으로 구강에 발생한 뾰족콘딜로마를 발표한 이후 외국에서는 두경부 영역에 발생한 뾰족콘딜로마의 예들이 드물게 발표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발표된 예가 없다.1)
   저자들은 인두 이물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인두 점막에서 발생한 뾰족콘딜로마 1예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환자는 63세 남자로 수년 전부터 시작된 구인두 이물감을 주소로 본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였으며 다른 특이 증상은 없었다. 과거력상 임질성 요도염과 비임질성 요도염으로 치료받은 병력은 있었으나, 생식기나 항문주위에 사마귀(wart)가 생긴 적은 없었다. 신원 미상의 여러 여성과의 성접촉 경험이 있으며 구강성교(fellatio)의 경험도 있었으나 동성애의 경험은 없었다.
   이학적 검사상 구인두에서 비인두에 걸쳐 사마귀 모양의 융기들이 다발성으로 있었으며(Fig. 1), 생식기, 항문, 구강, 하인두와 성대에는 이상소견이 보이지 않았다. 배우자에 대한 생식기, 항문, 구강에 대한 검사는 환자의 협조가 없어 시행하지 못했다. 검사소견은 일반혈액검사, 소변검사, 심전도검사, 간기능검사, 흉부X-선검사, VDRL,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항체검사는 모두 정상범위이거나 음성이었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구인두에서 구인두강으로 돌출한 작은 조직이 보이고 주위조직을 침범한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Fig. 2). 사람유두종바이러스 DNA PCR검사상 유두종바이러스 6형이 확인 되었고(Fig. 3), 외래에서 절개생검(incisional biopsy) 후 시행한 조직검사상 편평상피의 과증식과 상피세포의 핵주위에 공포형성을 보이는 원반세포증(koilocytosis) 소견을 보였다(Fig. 4). 이상의 검사 소견으로 인두점막에 발생한 뾰족콘딜로마로 진단하고 완전 절제를 위해 수술을 시행하였다.
   전신마취 하에서 목젖 당김기를 이용하여 비인두와 구인두의 병변을 노출시킨 후 전기소작기를 이용하여 3 mm의 절제연을 두고 병변을 절제하였다. 절제된 병변은 우측에 1.5×0.3 cm, 좌측에 1.3×0.3 cm 크기의 사마귀 모양이 었다(Fig. 5). 술 후 시행한 조직학적 검사도 동일한 소견을 보였다. 환자는 수술 후 4개월간 추적 관찰중이며 특별한 재발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고     찰

   뾰족콘딜로마는 인간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에 의해 발현되는 성병(sexually transmitted disease)으로 주로 성기와 직장 주위의 점막에 부드럽고, 분홍색의 꽃양배추 모양으로 나타난다.1) Heidingsfeld가 1901년 처음으로 혀에 발생한 뾰족콘딜로마를 발표한 이후 두경부 영역의 점막에서의 뾰족콘딜로마의 발생은 1987년까지 30예 만이 보고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보고된 예가 없다.2) 그러나 생식기와 항문 주위의 점막과 유사한 상피로 구강점막이 덮여있고 구강성교(fellatio)와 부연법(rimming, oral-anal sex)이 일반화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3) 최근 들어 미국에서 이비인후과 영역 특히 구강점막에서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이는 이성간의 성문화의 문란과 구강성교를 많이하는 동성애자들의 증가도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1) Panici 등4)은 구강성교의 경험이 있는 생식기의 콘딜로마환자 101명을 대상으로 질확대경검사를 이용하여 구강내를 검사한 결과 38명에서 조직학적으로 콘딜로마를 진단할 수 있었고, Silverman 등5)은 386명의 남자 동성애자 중 19%에서 구강내 사마귀가 발견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구강내 뾰족콘딜로마의 전파 경로는 성행위에 의한 것이 중요한 경로인 것으로 보이나 성행위의 경험이 없는 6세 여아에서 보고 된 예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성행위에 의한 경로 이외의 전파 경로가 있으리라 생각되며,1)2) 혈행성 전파를 주장하는 이도 있다.6) 본 증례의 환자에서도 문란한 성생활과 구강 성교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사마귀의 바이러스성 원인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여러 종의 사람유두종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며 이중 6형과 11형은 생식기 사마귀, 1형과 4형은 피부에서의 사마귀, 16형과 18형은 음문(vulva) 또는 자궁경부에서의 종양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7) 본 증례에서는 인간유두종바이러스 6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단은 병변의 임상적 양상과 조직학적인 검사에 의해 이루어진다.1) 병변은 감염된 사람과의 성적 접촉 1~3개월 후 작은 크기의 다발성의 백색 또는 분홍색 결절로 발생되며 빠르게 증식하고 융합되면서 꽃양배추모양의 큰 병변을 형성하며,6)8) 두경부 영역에서의 발생부위는 혀, 입술, 잇몸, 입천장, 구개편도와, 성대, 설소대와 하인두 등이다.2) 조직학적으로 상피세포의 수지상 증식이 특징적이며 극세포증(acanthosis), 이상각화증(parake-ratosis) 그리고 상피세포의 핵주위 공포형성(perinuclear vacuolization)을 보이는 원반세포증이 주된 소견이다.9) 구강내에서의 여러 종류의 상피의 과증식 질환들은 유사하게 보이므로 조직학적 검사에 기초하여 사마귀모양 암종(verrucous carcinoma), 보통사마귀(verruca vulgaris), 국소적상피 과증식증(focal epithelial hyperplasia), 편평유두종(squamous papilloma)과 감별해야 한다.1) 본 증례에서는 구인두에서 비인두에 걸쳐 다발성의 병변을 보이며 조직학적으로도 편평상피의 과증식과 원반세포증을 보이고 있었다.
   생식기에서의 사마귀는 20%에서 25%가 성병(sexually transmitted disease)과 동반되므로 구강내 사마귀가 있는 경우에도 임질, 매독, 클라미디아 감염 등의 성병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며,1) 본 증례에서는 현재 성병에 대한 검사는 모두 음성을 보였으나 임질성 요로염과 비임질성 요로염의 과거력은 있었다. 1988년까지 영문으로 보고된 두경부 영역의 뾰족콘딜로마 환자 중 성기나 직장에 대한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던 20명 중 12명이 성기나 직장의 병변을 동반하고 있었으며, 성적 배우자의 검사가 가능 했던 13명의 환자 중 6명에서 성적 배우자의 성기나 직장에 발생한 병변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6명의 환자 중 4명이 재발하여 25%의 재발률을 보이고 있었다.1) 본 증례에서는 성기나 직장에서는 병변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배우자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치료는 냉동외과술, 전기소작술, 레이저치료 등 수술적인 방법이 주로 사용되며, podophyllin과 5-fluorouracil 같은 세포독성물질(cytotoxic agent), human leukocyte interferon과 같은 면역요법(immunotherapy) 등이 이용되고 있다. 수술적인 방법을 시행할 때에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정상 점막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위의 정상 점막을 수 mm 절제연을 두고 절제해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10) Butler 등1)은 수술적 방법과 면역요법을 같이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임상의들이 두경부 영역의 점막에 발생한 사마귀 형태의 병변을 가진 환자를 접하게 될 때에는 조직학적 검사와 함께 성행위를 포함한 문진과 생식기와 항문주위를 포함하여 이학적 검사를 반드시 시행하여야 하며,4) 성기와 항문주위의 뾰족콘딜로마가 악성으로 변환되는 예가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므로 두경부 영역에서 발생한 뾰족콘딜로마의 악성 변환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4)11)


REFERENCES

  1. Butler S, Molinari JA, Plezia RA, Chandrasekar P, Venkat H. Condyloma acuminatum in the oral cavity: four cases and a review. Rev Infecti Dis 1988 May-Jun;10:544-50.

  2. Lucente FE, Nash M, Gould WJ, Srinivasan K. Condylomatous lesions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Laryngoscope 1987 Dec;97:1410-16.

  3. Judson FN. Condyloma acuminatum of the oral cavity. Sex Transm Dis 1981 Jul-Sep;8:218-9.

  4. Panici PB, Scambia G, Perrone L, Battaglia F, Cattani P, Rabitti C, et al. Oral condyloma lesions in patients with extensive genital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m J Obstet Gynecol;1992 Aug. p.451-8.

  5. Silverman SJ, Migliorati CA, Lozada-Nur f, Greenspan D, Conant MA. Oral findings in people with or at high risk for AIDS: a study of 375 homosexual males. J Am Dent Assoc 1986;112:187-92.

  6. Choukas NC, Toto PD. Condyloma acuminatum of oral cavit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2 Oct;54:480-5.

  7. Levinson W, Jawetz E. DNA nonenveloped virusws. Medical microbiology & immunology. 5th ed. Launge;1998. p.202-5.

  8. Swan RH, Mcdaniel RK. Rome WC. Condyloma acuminatum involving the oral cavity. Oral Surg. 1981 May. p.503-8.

  9. Cotran RS, Kumar V, Robbins SL. Head and neck, Male genital system, Female genital system.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th ed. Saunders;1994. p.739-40, 1008-9, 1041-2.

  10. Manganaro AM. Oral condyloma acuminatum. Gen Dent 2000 Jan-Feb;48(1):62-4;quiz.

  11. Yoon HS, Ryu BY, Lee YJ, Kim HK, Choi CS.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situ associated with condyloma acuminatum of the anus. J Korean Surg Soc 1993;45:597-602.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4,461
View
33
Download
Related articles
A Case of Cholesterol Granuloma in the Nasal Septum  2023 December;66(12)
A Case of Carcinosarcoma Originating From Maxillary Sinus  2022 October;65(10)
A Case of Rapid Growing Myoepithelioma of the Maxillary Sinus  2023 September;66(9)
A Case of Spindle Cell Lipoma on Nasal Dorsum of Nose  2021 January;64(1)
A Case of Blue Nevus of Posterior Wall of Pharynx  2020 April;63(4)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